북한 이탈주민과 초국적 가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 이탈주민과 초국적 가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대상 및 방법

Ⅱ. 본론
1. 북한 이탈 주민 일반 분석
1) 북한 이탈 주민 국내 현황
2) 북한이탈 주민 가족 구성 현황
2. 조선적 이주와의 비교 분석
1) 경제적 이주와 탈경제적 이주
2) 가족 전략적 이주와 생존 전략적 이주
3) 친정식구 연결망과 친구 연결망
3. 북한이탈주민의 초국적 가족
1) 북한 가족과의 관계
2) 중국 가족과의 관계
3) 중혼으로 인한 복잡한 초국적 가족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못해 식당 알바일도 해보니까 남한 남자들이 눈에 들어와요. 북한 남자들은 항상 지시형이에요. 남한 남자들은 … 여자 분한테 존칭 써주고 그렇게 하니까 집에 들어와서 내 남편을 쳐다보면 지시형인데 밖에 나가서 남자들을 보면 이게 아니다 이거에요. 그래서 여자들이 먼저 남자를 차는거에요. 내가 여기까지 이런 대접을 받으면서 살겠느냐. 남한 남자들 만나니까 이렇게 여자를 존중해주고 이벤트를 해주고 막 이러는데. 그런 것을 모르고 살았잖아요. 그게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니까 거의, 내가 봤을 때는 정확한 숫자라고는 할 수 없지만 내가 본 기준에서는 열 쌍이면 거의 8~9쌍은 헤어지는 것 같아.』
Ⅲ. 결론
‘송하나’씨의 이주 여정을 돌아보면 북한 가족과의 해체, 중국에서 가족 형성, 중국 가족과의 해체, 중국 가족과의 부분적 결합, 남한에서 가족 형성 과정을 겪어왔다. 해체와 결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초국적 가족의 범위는 계속 확대되었고 4개의 가구가 연결된 복잡한 형태를 가지게 되었다. 여기에다 다른 사례에서 많이 나타나는 이혼에 따른 가족 해체까지 더해지면 그 형태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의 가족들은 다른 여러 나라에 흩어져 있기 때문에 형태상으로는 초국적 가족의 모습을 갖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탈이라는 독특한 사회·정치·경제적 위치로 인해 나타나는 특징은 일반적인 초국적 가족과는 다르게 나타난다. 경제적 이주가 아닌 경제적 목적을 달성하기 힘든 탈경제적 이주, 가족 전략이 아닌 몰래 감행하는 생존 전략적 이주, 친정 및 확대 가족의 지지가 아닌 친구 연결망이 그 특징이다. 통신기술의 사용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북한가족과 중국 가족과의 이중적 초국적 가족, 그리고 중혼으로 인한 복잡한 가족 구성은 북한이탈주민만의 독특한 형태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의 초국적 가족은 형성의 시작부터 과정에 이르기까지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초국적 가족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초국적 가족의 끝부분에서, 즉 한국에서 북한이탈주민 가정이 취하는 전략은 다른 초국적 가족과 크게 다르지 않다. 복잡한 과정을 겪었지만 결국 경제적 목적을 추구하고, 계층 이동을 위해 자녀 교육에 집중하고, 미래를 위해 가족 전략을 수립한다.
『둘 다 빈손으로 얼마나 힘들었겠어요. 자기는 노가다 알바 뛰고, 나는 식당 알바하고. (지금은) 자영업해요. 자영업 시작한지도 2년 넘었어요. 많이 힘들게 일을 해요. 고물상을 하기 때문에. 혼자서 하니까 힘들 때도 있죠. 그래도 꿋꿋이 잘 해주네요.』
『조금 머리가 있어요. 그래가지고 6개월 동안 여기 와서 가나다라 한글을 떼려고 하니까 애가 얼마나 힘들었겠어요. 내 아들이어서가 아니라 괜찮게, 학교에서 생활 잘하고. 너무 낙후하지도 않고 너무 독출나게 잘하지도 않지만 그래도 잘하는 쪽으로 가고 있어요. 4학년 2학기부터 학교 보냈는데, 기말평가를 보니까 네 과목을 보는데 100점짜리 두 과목 나오더라구요. 두 과목이 95점 나오고 하면. 한국 엄마들이 그러더라구요. 여기 애들이 성적 이렇게 맞기 힘들다고, 사교육 시키지 않냐고 그러더라구요. … 아빠가 쟤를 잡았기 때문에 저렇게 된 거지, 지금 신랑이 안잡았으면 저렇게 못되요. 저희 아들이 좀 영리해요. 머리가. 다른 사람이 하나를 생각하면 열이 돌아가요. 그 정도로 머리가 빨리 돌아가요.』
『희망이 있을까? (웃음) 쉬울 줄 알았는데 쉬운게 하나도 없어요. 저희 같은 경우는 정부에서 학자금 대주니까 그러니까 공부하죠. 당장 먹고 살기 힘드니까. (남편 이해?) 처음에 만났을 때 내가 공부를 하겠다면 자기가 뒷바라지 하겠다고 했었어요. … 근데 공부는 쉽지는 않더라구요. 둘째를 낳고 기억력이 완전히. 지금 2학년이에요 졸업학년. 저희는 2급이 나오잖아요. 2년제를 나오면 1년 동안 현장에서 근무를 해야 시험 볼 자격이 주어져요.』
북한이라는 특수한 환경 때문에 초국적 가족의 형태는 갖췄지만 그 특징은 갖지 못했던 북한이탈주민이 한국에서의 경험과 정착 과정을 통해 초국적 가족의 특징을 갖춰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뒤따라야겠지만 그 형태와 성격이 변화하고 있음을 확실하다.
그리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정부 주도의 정착과 적응에 대한 연구와 사회복지 분야에서 시도된 가족복지와 개선에 대한 연구가 주류였는데, 초국적 가족에 대한 관점으로 분석해보고 시도해봤다는데 이 글의 의미가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심도 깊은 분석이 있을 것이라는 희망과 전망을 가지고 있다.
※ 참고문헌
권태환, 2005, 중국 조선족 사회의 변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선화, 2013,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적응이슈와 가족복지실천 방안,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김성경, 2012,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공간과 사회 제22권 2호
김영숙 외, 2014, 형제의 땅에서 낯선 이방인으로 살아가기, 사회복지연구 vol. 45(1)
김유정, 2011, 북한이탈주민 재결합 가족에 대한 지원방안, 통일연구
김현경, 2012, 북한이탈주민의 결혼행복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vol38, no1
민주평통, 2014, 북한이탈주민 정착 지원 현황
소성규 외, 2011, 북한이탈주민의 가족관계 등록과 중혼문제해소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향, 한 국법정책학회
윤여상, 2001, 남북화해·협력시대 북한이탈주민의 역할과 사회적응, 한국동북아 논총
윤인진 외, 2004, 통일시대에 대비한 남북한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이금순 외, 2003, 북한이탈주민 적응실태 연구, 통일연구원 협동연구과제 보고서
이원웅 외, 2012, 해외체류 북한이탈주민 아동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이혜경 외, 2006,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 한국사회학 제40집 5호
장혜경 외, 2000, 북한이탈주민가족의 가족안정성,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한국여성개발원
통일부, 2013,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업무 편람
Parrenas, 문현아 역, 2001, 세계화의 하인들, 여이연이론
북한인권정보센터 http://nkdb.org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http://dongposarang.or.kr
  • 가격2,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2.10.24
  • 저작시기201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8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