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바울의 생애와 선교 (1)
1) 바울의 젊은 시절
2) 바울의 회심
3) 바울의 예루살렘 방문
2. 바울의 생애와 선교(2)
1) 바울의 제1차 선교 (A.D. 46-49)
2) 예루살렘 회의 방문 (A.D. 49)
3) 안디옥 사건 (A.D. 49)
4) 음식문제들에 대한 예루살렘 훈령
5) 바울의 제2차 선교 (A.D. 50-52)
6) 바울의 제3차 선교 (A.D. 54-58)
7) 바울의 투옥
8) 바울의 마지막 생애
3. 바울신학의 배경
1) 바리새적, 유대교적 배경
2) 헬레니즘적 배경
3) 바울이 받은 계시
4) 예수, 초기 전승
5) 바울의 사도적 경험
6) 바울신학의 배경
4. 바울의 복음
1) 복음의 내용
2) 복음의 다른 표현들
3) 복음과 바울
4) 바울이 사용한 복음의 여러 특징
5. 하나님과 그의 구원사 계획
1) 하나님과 복음
2) 바울의 하나님 이해
3) 하나님의 세 가지 특성
4) 하나님의 구원사 계획
6. 구원사에서 그리스도의 역할
1) 선재하시는 아들
2) 그리스도 (Christos)
3) 주 (Kyrios)
4) 고난, 죽음, 부활
5) 주와 성령
7. 그리스도 사건의 효과들(1)
1) 칭의 (Justification)
2) 구원 (Salvation)
3) 화해 (Reconciliation)
4) 속죄 (Expiation)
8. 그리스도 사건의 효과들(2)
1) 구속 (Redemption)
2) 자유 (Freedom)
3) 성화 (Sanctification)
4) 변화 (Transformation)
5) 새창조 (New Creation)
6) 영화 (Glorification)
1) 바울의 젊은 시절
2) 바울의 회심
3) 바울의 예루살렘 방문
2. 바울의 생애와 선교(2)
1) 바울의 제1차 선교 (A.D. 46-49)
2) 예루살렘 회의 방문 (A.D. 49)
3) 안디옥 사건 (A.D. 49)
4) 음식문제들에 대한 예루살렘 훈령
5) 바울의 제2차 선교 (A.D. 50-52)
6) 바울의 제3차 선교 (A.D. 54-58)
7) 바울의 투옥
8) 바울의 마지막 생애
3. 바울신학의 배경
1) 바리새적, 유대교적 배경
2) 헬레니즘적 배경
3) 바울이 받은 계시
4) 예수, 초기 전승
5) 바울의 사도적 경험
6) 바울신학의 배경
4. 바울의 복음
1) 복음의 내용
2) 복음의 다른 표현들
3) 복음과 바울
4) 바울이 사용한 복음의 여러 특징
5. 하나님과 그의 구원사 계획
1) 하나님과 복음
2) 바울의 하나님 이해
3) 하나님의 세 가지 특성
4) 하나님의 구원사 계획
6. 구원사에서 그리스도의 역할
1) 선재하시는 아들
2) 그리스도 (Christos)
3) 주 (Kyrios)
4) 고난, 죽음, 부활
5) 주와 성령
7. 그리스도 사건의 효과들(1)
1) 칭의 (Justification)
2) 구원 (Salvation)
3) 화해 (Reconciliation)
4) 속죄 (Expiation)
8. 그리스도 사건의 효과들(2)
1) 구속 (Redemption)
2) 자유 (Freedom)
3) 성화 (Sanctification)
4) 변화 (Transformation)
5) 새창조 (New Creation)
6) 영화 (Glorification)
본문내용
로 만들어진 덮개에서 온 것으로 \"덮어주다\", \"씻어내다\"를 의미한다.
바울은 로마서 3:25에서 그리스도 사건의 효과로 이 이미지를 사용하였는데 여기서 그는 레위기 16장의 속죄일에 대한 구약적 연관성을 반영시킨다.
그리스도는 그의 죽음을 통해서 혹은 그의 피를 흘리심으로 속죄일 의식이 매년마다 옛 이스라엘에 대해 상징했던 것을 단번에 인간들을 위해 성취하셨다.
인간의 죄를 속죄하기 위해 흘린 그리스도의 피는 인간을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게 했던 죄를 제거하였다. 바울은 아버지의 은혜스럽고 사랑스러운 주도권과 이 일을 행하신 그리스도의 사랑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스도의 죽음을 통하여 바울(모든 그리스도인들도 마찬가지로)은 \"하나님을 향하여 살기 위해\"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다.
8. 그리스도 사건의 효과들(2)
그리스도 사건들에 대한 관심
바울은 예수님의 고난, 죽음, 장사지냄, 부활, 승귀, 하늘의 중재 등의 여섯 가지 결정적인 순간들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께서 인간을 위해 성취하셨던 일이 무엇인지를 깨달았다.
바울은 그러한 성취의 효과들을 열 가지 다양한 이미지들(칭의, 구원, 화해, 속죄, 구속, 자유, 성화, 변화, 새 창조, 영화)을 사용하여 묘사하였다. 이들 각각의 이미지들은 그리스도와 그의 사역의 신비를 나타낸다.
5. 구속 (Redemption)
구속이란 말은 헬라 세계에서 노예들의 해방과 관련이 있다. 또한 이스라엘의 구속자 즉 노예가 된 친척이나 포로가 된 친척을 대가를 지불하고 되는 의무를 지는 친척의 구약적 개념과도 관련이 있다.
이 말은 이스라엘을 애굽의 속박으로부터 해방시킨 일을 가리키며 나중에는 이스라엘이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할 때도 적용되었다. 그리고 이 말은 하나님께서 마지막 날에 이스라엘을 위해 행하실 일에 대한 종말론적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바울은 이러한 배경을 가진 구속이라는 이미지를 그리스도의 고난, 죽음 등이 속박과 노예상태에서 죄인들을 해방시키는 일종의 속전으로 인정하는데 사용하였다.
바울은 그리스도를 \"우리의 구속함\"으로 부른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으로 말미암아\" 인간들이 자유함을 얻고 의롭다 함을 받았다. 바울은 그리스도인들에게 대해 \"값으로 산 것\"이 되었다고 말한다.
(롬3:24)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
(고전6:20) \"값으로 산 것이 되었으니 그런즉 너희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
(고전7:23) \"너희는 값으로 사신 것이니 사람들의 종이 되지 말라\"
6. 자유 (Freedom)
이 단어는 헬라의 도시 또는 로마의 도시에 사는 시민들의 사회적 지위로서의 자유에 대한 그리스-로마의 개념과 관련이 있다. 바울은 이 이미지를 그리스도 사건에 적용하여 그리스도 예수께서 인간을 해방시켜 그들에게 자유 도시 및 자유 국가의 시민권을 부여하셨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로 \"우리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는 것이다\".
바울의 원리는 고린도후서 3:17에 나온다.
\"주의 영이 계신 곳에는 자유함이 있느니라.\"
(갈5:1) \"그리스도께서 우리로 자유케 하려고 자유를 주셨으니 그러므로 굳세게 서서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
바울이 말하는 종은 \"죄와 사망\"의 종, \"자아\"의 종, 그리고 \"율법\"의 종을 가리킨다.
(갈5:13) \"너희가 자유를 위하여 부르심을 입었으나 그러나 그 자유로 육체의 기회를 삼지 말라\"
자유는 방종이 아니다. \"오직 사랑으로 서로 종노릇하라.\"고 말한다.
7. 성화 (Sanctification)
이 이미지는 구약성경에서 기원하는데 여호와께 봉헌하기 위해 물건과 사람들을 세속적인 것이나 비속한 것으로부터 구별시키는 일종의 의식적 용어에 기원한다.
우리는 그리스도 예수에 의해, \"성령\"에 의해 거룩하여지고 또한 거룩함을 얻었다.
(고전6:11) \"너희 중에 이와 같은 자들이 있더니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과 우리 하나님의 성령 안에서 씻음과 거룩함과 의롭다 하심을 얻었느니라\"
그리스도인들은 성도로 부르심을 입었다.
(롬1:7) \"로마에 있어 하나님의 사랑하심을 입고 성도로 부르심을 입은 모든 자에게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 좇아 은혜와 평강이 있기를 원하노라\"
8. 변화 (Transformation)
바울은 그리스도 예수께서 인간들을 서서히 \"주님께로 향하도록\" 새롭게 하시는 분으로 생각하고 있다. 창조주 하나님은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통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이 창조하는 빛을 비추셔서 그들을 변화시키신다.
(고후3:18) \"우리가 다 수건을 벗은 얼굴로 거울을 보는 것같이 주의 영광을 보매 저와 같은 형상으로 화하여 영광으로 영광에 이르니 곧 주의 영으로 말미암음이니라\"
(롬12:2)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
9. 새창조 (New Creation)
바울은 이 이미지를 세상과 인간데 대한 하나님의 창조의 구약적 언급에서 가지고 온다.
이것을 그리스도 사건에 적용하면서 바울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성을 새롭게 창조하셔서 \"새 생명\"을 주신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곧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연합한 삶이며 \"하나님의 영광\"을 공유하기로 되어 있는 삶이다.
(롬6:4) \"그러므로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세례를 받음으로 그와 함께 장사되었나니 이는 아버지의 영광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심과 같이 우리로 또한 새 생명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 함이니라\"
(갈6:15) \"할례나 무할례가 아무것도 아니로되 오직 새로 지으심을 받은 자뿐이니라\"
10. 영화 (Glorification)
이 이미지는 구약성경의 \"영광\", \"광휘\"에서 나왔는데 하나님의 임재나 혹은 그 임재의 눈부신 나타남, 특히 출애굽 당시의 현현을 나타낸다.
바울은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변화시키는 능력이 그리스도인들을 \"영광스럽게 하는 것\"으로 묘사하였다.
(롬8:30) \"또 미리 정하신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 부르신 그들을 또한 의롭다 하시고 의롭다 하신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
바울은 로마서 3:25에서 그리스도 사건의 효과로 이 이미지를 사용하였는데 여기서 그는 레위기 16장의 속죄일에 대한 구약적 연관성을 반영시킨다.
그리스도는 그의 죽음을 통해서 혹은 그의 피를 흘리심으로 속죄일 의식이 매년마다 옛 이스라엘에 대해 상징했던 것을 단번에 인간들을 위해 성취하셨다.
인간의 죄를 속죄하기 위해 흘린 그리스도의 피는 인간을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게 했던 죄를 제거하였다. 바울은 아버지의 은혜스럽고 사랑스러운 주도권과 이 일을 행하신 그리스도의 사랑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스도의 죽음을 통하여 바울(모든 그리스도인들도 마찬가지로)은 \"하나님을 향하여 살기 위해\"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다.
8. 그리스도 사건의 효과들(2)
그리스도 사건들에 대한 관심
바울은 예수님의 고난, 죽음, 장사지냄, 부활, 승귀, 하늘의 중재 등의 여섯 가지 결정적인 순간들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께서 인간을 위해 성취하셨던 일이 무엇인지를 깨달았다.
바울은 그러한 성취의 효과들을 열 가지 다양한 이미지들(칭의, 구원, 화해, 속죄, 구속, 자유, 성화, 변화, 새 창조, 영화)을 사용하여 묘사하였다. 이들 각각의 이미지들은 그리스도와 그의 사역의 신비를 나타낸다.
5. 구속 (Redemption)
구속이란 말은 헬라 세계에서 노예들의 해방과 관련이 있다. 또한 이스라엘의 구속자 즉 노예가 된 친척이나 포로가 된 친척을 대가를 지불하고 되는 의무를 지는 친척의 구약적 개념과도 관련이 있다.
이 말은 이스라엘을 애굽의 속박으로부터 해방시킨 일을 가리키며 나중에는 이스라엘이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할 때도 적용되었다. 그리고 이 말은 하나님께서 마지막 날에 이스라엘을 위해 행하실 일에 대한 종말론적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바울은 이러한 배경을 가진 구속이라는 이미지를 그리스도의 고난, 죽음 등이 속박과 노예상태에서 죄인들을 해방시키는 일종의 속전으로 인정하는데 사용하였다.
바울은 그리스도를 \"우리의 구속함\"으로 부른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으로 말미암아\" 인간들이 자유함을 얻고 의롭다 함을 받았다. 바울은 그리스도인들에게 대해 \"값으로 산 것\"이 되었다고 말한다.
(롬3:24)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
(고전6:20) \"값으로 산 것이 되었으니 그런즉 너희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
(고전7:23) \"너희는 값으로 사신 것이니 사람들의 종이 되지 말라\"
6. 자유 (Freedom)
이 단어는 헬라의 도시 또는 로마의 도시에 사는 시민들의 사회적 지위로서의 자유에 대한 그리스-로마의 개념과 관련이 있다. 바울은 이 이미지를 그리스도 사건에 적용하여 그리스도 예수께서 인간을 해방시켜 그들에게 자유 도시 및 자유 국가의 시민권을 부여하셨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로 \"우리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는 것이다\".
바울의 원리는 고린도후서 3:17에 나온다.
\"주의 영이 계신 곳에는 자유함이 있느니라.\"
(갈5:1) \"그리스도께서 우리로 자유케 하려고 자유를 주셨으니 그러므로 굳세게 서서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
바울이 말하는 종은 \"죄와 사망\"의 종, \"자아\"의 종, 그리고 \"율법\"의 종을 가리킨다.
(갈5:13) \"너희가 자유를 위하여 부르심을 입었으나 그러나 그 자유로 육체의 기회를 삼지 말라\"
자유는 방종이 아니다. \"오직 사랑으로 서로 종노릇하라.\"고 말한다.
7. 성화 (Sanctification)
이 이미지는 구약성경에서 기원하는데 여호와께 봉헌하기 위해 물건과 사람들을 세속적인 것이나 비속한 것으로부터 구별시키는 일종의 의식적 용어에 기원한다.
우리는 그리스도 예수에 의해, \"성령\"에 의해 거룩하여지고 또한 거룩함을 얻었다.
(고전6:11) \"너희 중에 이와 같은 자들이 있더니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과 우리 하나님의 성령 안에서 씻음과 거룩함과 의롭다 하심을 얻었느니라\"
그리스도인들은 성도로 부르심을 입었다.
(롬1:7) \"로마에 있어 하나님의 사랑하심을 입고 성도로 부르심을 입은 모든 자에게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 좇아 은혜와 평강이 있기를 원하노라\"
8. 변화 (Transformation)
바울은 그리스도 예수께서 인간들을 서서히 \"주님께로 향하도록\" 새롭게 하시는 분으로 생각하고 있다. 창조주 하나님은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통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이 창조하는 빛을 비추셔서 그들을 변화시키신다.
(고후3:18) \"우리가 다 수건을 벗은 얼굴로 거울을 보는 것같이 주의 영광을 보매 저와 같은 형상으로 화하여 영광으로 영광에 이르니 곧 주의 영으로 말미암음이니라\"
(롬12:2)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
9. 새창조 (New Creation)
바울은 이 이미지를 세상과 인간데 대한 하나님의 창조의 구약적 언급에서 가지고 온다.
이것을 그리스도 사건에 적용하면서 바울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성을 새롭게 창조하셔서 \"새 생명\"을 주신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곧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연합한 삶이며 \"하나님의 영광\"을 공유하기로 되어 있는 삶이다.
(롬6:4) \"그러므로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세례를 받음으로 그와 함께 장사되었나니 이는 아버지의 영광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심과 같이 우리로 또한 새 생명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 함이니라\"
(갈6:15) \"할례나 무할례가 아무것도 아니로되 오직 새로 지으심을 받은 자뿐이니라\"
10. 영화 (Glorification)
이 이미지는 구약성경의 \"영광\", \"광휘\"에서 나왔는데 하나님의 임재나 혹은 그 임재의 눈부신 나타남, 특히 출애굽 당시의 현현을 나타낸다.
바울은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변화시키는 능력이 그리스도인들을 \"영광스럽게 하는 것\"으로 묘사하였다.
(롬8:30) \"또 미리 정하신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 부르신 그들을 또한 의롭다 하시고 의롭다 하신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