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포스트모더니즘 개념
2.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배경
3.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4. 모더니즘 VS 포스트모너니즘 비교분석
(1) 모더니즘
(2) 포스트모더니즘
5. 포스트모더니즘 사례연구
(1) 광고분야 사례연구
(2) 미술분야 사례연구
(3) 음악분야 사례연구
(4) 영화분야 사례연구
6. 결론 및 나의생각
<참고문헌>
2.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배경
3.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4. 모더니즘 VS 포스트모너니즘 비교분석
(1) 모더니즘
(2) 포스트모더니즘
5. 포스트모더니즘 사례연구
(1) 광고분야 사례연구
(2) 미술분야 사례연구
(3) 음악분야 사례연구
(4) 영화분야 사례연구
6. 결론 및 나의생각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번 중인 두 명의 경찰에게 총을 쏜 혐의로 체포되었다. 그룹 “퍼블릭 에너미”의 멤버인 플레이버 플라브는 뉴욕에서 이웃 사람에게 총격을 가하려 했던 혐의로 체포되었다.
갱스터 랩 가수들이 소외당한 빈민가 주민들을 노래한 반면에, 그 음악의 대부분의 팬과 청취자들은 사실상 교외에 사는 백인 청소년들이었고, 그들은 그들에게 정체감-백인 검둥이를 희망하는 자들에 대한 욕지거리인 ‘백인 검둥이’로 알려진 사람들-을 주는 대의명분과 양식을 찾고 있었다. 많은 흑인들은 갱스터 랩 음악을 인종차별적이며 흑인의 품위를 떨어뜨린다고 강력하게 비난하였다.
(4) 영화분야 사례연구
포스트모던 영화의 전형으로 데이비드 린치의 <푸른 벨벳>(1986)을 꼽는다. 노만 덴진(Norman Denzin)은 <푸른 벨벳>을 여러 가지 이유로 포스트모던하다고 본다. 첫째로 이 영화는 상이한 장르들과 유사 장르들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뒤섞인 당황스러운 혼성모방을 제시한다.
이 영화의 플롯은 미국 럼버턴이라는 작은 전통적인 도시에 살고 있는 중류계급 출신의 두 젊은이인 제프리와 샌디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두 젊은이들은 정신장애가 있는 나이트클럽 가수인 도로시 발렌스와 가학성 정신병증세를 보이는 그녀의 애인 프랭크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폭력과 왜곡된 성애의 세계로 점차 빠져 들어간다. 도로시의 아들과 남편의 유괴(이것이 이 영화 시작부분에서 제프리가 발견한 잘린 귀의 원린이 되는 것이 명백하다)와 관련된 미스테리는 결코 진정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영화의 끝부분에서 프랭크는 살해되고 제프리와 샌디는 정상적인 교외의 결혼생활로 돌아온다.
덴진은 이 영화가 포스트모던 양식에 따라 소도시 영화전통을 유행하는 포르노 영화와 혼합시켰다고 주장한다. 이 영화는 “재현불가능한 것”(썩어가는 귀, 무절제한 성행위, 잔인성, 정신이상)과 평범한 것을 혼합시켜 나아가 두 영역을 분리시키는 경계들에 도전하기 때문에 포스트모던하다고 본다.
또한 이 영화는 시간을 다루는데 있어서 관객이 안전하게 그 시대를 알아보도록 허락하지 않는다. 첫장면은 하얀 말뚝 울타리와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환상적으로 강렬하게 피어나는 장미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1940년대 소방차가 나무가 늘어선 교외의 거리를 따라 천천히 미끄러져 내려간다. 주요 색깔들은 그 색깔이 1940년대, 1950년대의 미국 영화에서 사용한 칙칙한 테크니컬러 수법에 대한 기억들을 불러내어 이 세상의 어린애 같은 단순성을 아이러니컬하게 고집함으로써 그 장면을 하나의 인용으로 만들고 있다. 그러나 시간의 부호화는 몇 분 뒤에는 1950년대, 1960년대, 1980년대의 자동차들과 기술과 의상들이 나타남으로써 다음 장면에서 혼란을 겪게 된다.
이 영화에서 사람들은 그들의 성, 신화, 폭력, 정치를 모두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영화는 포스트모던한 사람들이 원하는 영화로 지목된다.
6. 결론 및 나의생각
왜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야 하는가? 이 시대의 흐름을 잘 분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아무런 생각 없이 살다 보면 그 시대 주요한 정신의 흐름에 휩쓸려가기 쉽다. 따라서 그 시대의 정신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아무 생각 없이 살아간다면 분명 그 사람의 가치관과 사상은 그 시대의 사상에 푹 물들어 살아 가고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 우리의 인생을 결정짓는 가치관과 사상이 무엇이 건전하며 옳은 것인가를 알아가려면 현재 흐르는 이념이 무엇인지를 살펴 보아야만 한다. 그러므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포스트모더니즘 인 것이다
<참고문헌>
포스트모더니즘, 휴 실버만
누가 포스트모더니즘을 두려워하는가? 박삼종, 배성민
대중문화의 이해, 김창남
갱스터 랩 가수들이 소외당한 빈민가 주민들을 노래한 반면에, 그 음악의 대부분의 팬과 청취자들은 사실상 교외에 사는 백인 청소년들이었고, 그들은 그들에게 정체감-백인 검둥이를 희망하는 자들에 대한 욕지거리인 ‘백인 검둥이’로 알려진 사람들-을 주는 대의명분과 양식을 찾고 있었다. 많은 흑인들은 갱스터 랩 음악을 인종차별적이며 흑인의 품위를 떨어뜨린다고 강력하게 비난하였다.
(4) 영화분야 사례연구
포스트모던 영화의 전형으로 데이비드 린치의 <푸른 벨벳>(1986)을 꼽는다. 노만 덴진(Norman Denzin)은 <푸른 벨벳>을 여러 가지 이유로 포스트모던하다고 본다. 첫째로 이 영화는 상이한 장르들과 유사 장르들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뒤섞인 당황스러운 혼성모방을 제시한다.
이 영화의 플롯은 미국 럼버턴이라는 작은 전통적인 도시에 살고 있는 중류계급 출신의 두 젊은이인 제프리와 샌디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두 젊은이들은 정신장애가 있는 나이트클럽 가수인 도로시 발렌스와 가학성 정신병증세를 보이는 그녀의 애인 프랭크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폭력과 왜곡된 성애의 세계로 점차 빠져 들어간다. 도로시의 아들과 남편의 유괴(이것이 이 영화 시작부분에서 제프리가 발견한 잘린 귀의 원린이 되는 것이 명백하다)와 관련된 미스테리는 결코 진정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영화의 끝부분에서 프랭크는 살해되고 제프리와 샌디는 정상적인 교외의 결혼생활로 돌아온다.
덴진은 이 영화가 포스트모던 양식에 따라 소도시 영화전통을 유행하는 포르노 영화와 혼합시켰다고 주장한다. 이 영화는 “재현불가능한 것”(썩어가는 귀, 무절제한 성행위, 잔인성, 정신이상)과 평범한 것을 혼합시켜 나아가 두 영역을 분리시키는 경계들에 도전하기 때문에 포스트모던하다고 본다.
또한 이 영화는 시간을 다루는데 있어서 관객이 안전하게 그 시대를 알아보도록 허락하지 않는다. 첫장면은 하얀 말뚝 울타리와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환상적으로 강렬하게 피어나는 장미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1940년대 소방차가 나무가 늘어선 교외의 거리를 따라 천천히 미끄러져 내려간다. 주요 색깔들은 그 색깔이 1940년대, 1950년대의 미국 영화에서 사용한 칙칙한 테크니컬러 수법에 대한 기억들을 불러내어 이 세상의 어린애 같은 단순성을 아이러니컬하게 고집함으로써 그 장면을 하나의 인용으로 만들고 있다. 그러나 시간의 부호화는 몇 분 뒤에는 1950년대, 1960년대, 1980년대의 자동차들과 기술과 의상들이 나타남으로써 다음 장면에서 혼란을 겪게 된다.
이 영화에서 사람들은 그들의 성, 신화, 폭력, 정치를 모두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영화는 포스트모던한 사람들이 원하는 영화로 지목된다.
6. 결론 및 나의생각
왜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야 하는가? 이 시대의 흐름을 잘 분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아무런 생각 없이 살다 보면 그 시대 주요한 정신의 흐름에 휩쓸려가기 쉽다. 따라서 그 시대의 정신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아무 생각 없이 살아간다면 분명 그 사람의 가치관과 사상은 그 시대의 사상에 푹 물들어 살아 가고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 우리의 인생을 결정짓는 가치관과 사상이 무엇이 건전하며 옳은 것인가를 알아가려면 현재 흐르는 이념이 무엇인지를 살펴 보아야만 한다. 그러므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포스트모더니즘 인 것이다
<참고문헌>
포스트모더니즘, 휴 실버만
누가 포스트모더니즘을 두려워하는가? 박삼종, 배성민
대중문화의 이해, 김창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