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의 개념과 한국의 장애 아동 현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의 개념과 한국의 장애 아동 현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장애의 개념
2) 장애에 대한 법률적 정의
3) 장애 아동의 현황
참고문헌

본문내용

. 우리나라의 경우, 그 개념은 장애아동에 관한 중요한 관련 법규인 특수교육진흥법에 명시되어 있듯이 시각장애아, 청각 장애아, 정신지체인, 지체부자유아, 정신장애아, 언어장애아 및 기타 심신장애아 등에 대하여 특수아동의 개념과 같이 보고 있다. 장애아동의 대부분은 정서적인 중복 장애, 감각기관의 손상, 운동장애, 주의 산만 등의 조건들 때문에 실제 능력을 다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정경아, 2007년). 그러므로 여기서는 나이에 의한 구분을 통해 장애 아동의 현황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88년 11월부터 장애인 등록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등록 장애인은 법적 장애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보건복지가족부의 2005년 및 2008년 등록 장애인 현황을 보면, 2005년 1,699,329명에서 2008년 2,137,226명으로 3년 사이에 등록 장애인 수는 약 43만 8천 명이 늘어나 전체 25.8%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장애인등록제도가 처음으로 도입된 1988년 이후 2008년에 이르기까지 장애인의 장애인 등록 시기를 1988년~1992년, 1993년~1997년, 1998년~2002년, 2003년~2008년 등 네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제도 도입 초창기인 1988년~1992년은 전체의 4.8%만이 등록을 하였으며, 1993년~1997년은 전체의 5.5%, 1998년~2002년은 전체의 31.1%, 2003년~2008년은 전체의 58.6%의 장애인이 등록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보건복지가족부.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 2009년).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가 선진화 되면서 장애인복지에 관한 관심과 예산이 늘어났고, 사람들의 인식도 높아져 제도의 혜택을 누리는 장애인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유수옥 외, 역 장애유아 통합교육 전략, 창지사, 2006.
이소현 외, 장애유아통합 유치원 교육과정, 학지사,2001.
전경원, 유아특수교육, 창지사, 2004.
김종현 외, 특수아동의 이해와 지도, 공동체, 2007.
김정권이유훈. 일반학교에서의 장애학생 지원체제 - 질적교육으로의 전환,
안산: 국립특수교육원,1997.
이소현 (2004). 장애 유아의 사회적 통합 촉진을 위한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 활동이 일반
유아들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4(2), 159-179.
한국통합교육학회(2005). 통합교육. 학지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10.26
  • 저작시기202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8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