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니 에르노 <<부끄러움>> 서평
<목차>
1. 들어가며-아니 에르노와 자전적 글쓰기
2. 자신의 삶에 대한 타자화
3. 부끄러움의 사회학
4. 나가며
<목차>
1. 들어가며-아니 에르노와 자전적 글쓰기
2. 자신의 삶에 대한 타자화
3. 부끄러움의 사회학
4. 나가며
본문내용
책, 나는 항상 그런 책을 쓰고 싶다는 욕망을 갖고 있었다.”고 말한다. (옮긴이 해설, 144)
전통적 소설에서의 고전적 주인공이 아닌 가난한 소시민의 일상을 다룬 것이자, 부끄러움에 대한 작가의 내밀한 고백에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면, 그것은 독자인 우리 자신 안의 치부를 돌아보게 만들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이 소설은 내면의 심연에 침잠하거나 사태를 개인화하기 보다는 사회적 존재로 살아가는 우리의 사회적 위치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한다. 에르노는 화자가 느꼈던 수치심의 근원을 피에르 부르디외의 시각으로 설명하고 한다. 부르디외의 아비투스나 상징폭력 등의 개념은 사회적 장(field) 속에서 사회적 행위자로 살아가는 존재로서, 존재가 처한 계급이나 물적토대의 시각으로 현상을 바라보려 한다. “부르디외는 인간집단을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에 따라 나누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한 집단에게 유한 문화자산, 혹은 상징자산과 거기에서 비롯된 생활양시과 일상적 습관을 기준으로 집단을 분석했던 사회학자였다.”(옮긴이 해설 147) 에르노는 자신이 속한 프롤레타리아 계층 ‘우리’의 세계와, 그와 대조되는 사립학교의 세계를 흡사 사회학자나 인류학자의 눈으로 상세히 묘사함으로써 잡단의 규범과 법칙을 백일하에 드러냈다.
당연히 현실을 추적하는 대신 현실을 생산하고자 하는 옛날이야기는 꾸며내지 말 것. 추억 속의 이미지를 거론하여 번역하는 데 만족하지 않고, 이 이미지를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스스로 속살을 드러내는 자료로 취급할 것. 다시 말해 나 자신의 인류학자가 될 것.(47)
냉엄한 현실에 내던져진 인간 심연을 묘사하는 아니 에르노의 담담하고 날카로운 독보적 스타일은 단순히 인간의 존재론적 불편함을 직시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그날 이후 부끄러움은 내 삶의 방식이 되었다”는 에르노는 발화할 수 없는 것을 발화함으로써, 외면하고 싶지만 외면할 수 없는 존재의 불편함을 정면으로 응시함으로써 자신의 존재와 감정을 있는 그대로 내 보이고 마침내 존재의 해방에 이르게 된다.
<참고자료>
아니 에르노, <<부끄러움>>, 이재룡 옮김, 비채, 2019
피에르 부르디외 로익 바캉,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 이상길 옮김, 그린
비, 2018, pp. 277-278.
Pierre Bourdieu : Key Concepts (Paperback, 2 ed) Michael Grenfell (엮은이) Isd2012-09-01
전통적 소설에서의 고전적 주인공이 아닌 가난한 소시민의 일상을 다룬 것이자, 부끄러움에 대한 작가의 내밀한 고백에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면, 그것은 독자인 우리 자신 안의 치부를 돌아보게 만들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이 소설은 내면의 심연에 침잠하거나 사태를 개인화하기 보다는 사회적 존재로 살아가는 우리의 사회적 위치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한다. 에르노는 화자가 느꼈던 수치심의 근원을 피에르 부르디외의 시각으로 설명하고 한다. 부르디외의 아비투스나 상징폭력 등의 개념은 사회적 장(field) 속에서 사회적 행위자로 살아가는 존재로서, 존재가 처한 계급이나 물적토대의 시각으로 현상을 바라보려 한다. “부르디외는 인간집단을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에 따라 나누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한 집단에게 유한 문화자산, 혹은 상징자산과 거기에서 비롯된 생활양시과 일상적 습관을 기준으로 집단을 분석했던 사회학자였다.”(옮긴이 해설 147) 에르노는 자신이 속한 프롤레타리아 계층 ‘우리’의 세계와, 그와 대조되는 사립학교의 세계를 흡사 사회학자나 인류학자의 눈으로 상세히 묘사함으로써 잡단의 규범과 법칙을 백일하에 드러냈다.
당연히 현실을 추적하는 대신 현실을 생산하고자 하는 옛날이야기는 꾸며내지 말 것. 추억 속의 이미지를 거론하여 번역하는 데 만족하지 않고, 이 이미지를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스스로 속살을 드러내는 자료로 취급할 것. 다시 말해 나 자신의 인류학자가 될 것.(47)
냉엄한 현실에 내던져진 인간 심연을 묘사하는 아니 에르노의 담담하고 날카로운 독보적 스타일은 단순히 인간의 존재론적 불편함을 직시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그날 이후 부끄러움은 내 삶의 방식이 되었다”는 에르노는 발화할 수 없는 것을 발화함으로써, 외면하고 싶지만 외면할 수 없는 존재의 불편함을 정면으로 응시함으로써 자신의 존재와 감정을 있는 그대로 내 보이고 마침내 존재의 해방에 이르게 된다.
<참고자료>
아니 에르노, <<부끄러움>>, 이재룡 옮김, 비채, 2019
피에르 부르디외 로익 바캉,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 이상길 옮김, 그린
비, 2018, pp. 277-278.
Pierre Bourdieu : Key Concepts (Paperback, 2 ed) Michael Grenfell (엮은이) Isd2012-09-01
추천자료
공대 독후감 경연대회 입상한 독후감입니다^^(제목: 같기도하고 아니같기도 하고)-공대생이 ...
고은 시집-「부끄러움 가득」감상,독후감
[올해최신A+자료]오세암독후감[오세암독서감상문][오세암서평][오세암]독후감 오세암독후감 ...
[올해최신A+자료][멈추면비로소보이는것들감상문][멈추면비로소보이는것들독후감][멈추면비로...
[올해최신A+자료]천번을흔들려야어른이된다독서감상문[천번을흔들려야어른이된다서평][천번을...
독후감-서울 1964년 겨울을 읽고
하버드 새벽 4시반 핵심내용 요약과 책을 읽고 새롭게 배운점 및 하버드 새벽 4시반 읽고 느...
인간실격 독후감 (인간실격 줄거리 요약과 작품해설 및 인상깊었던 구절과 인간실격에 대한 ...
라프 코스터의 재미이론 책 소개와 선정배경 및 라프 코스터의 재미이론 가장 인상깊었던 내...
남자의 자리 독후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