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아가 준수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은 유아가 사회 문화적으로 지켜야 할 규율이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나아가 유아가 스스로 정해진 규율을 지키는 경험을 통하여 규율을 지켰다는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부모는 가정에서 유아가 지킬 수 있는 작은 규율을 만들고 지키게 하면서 성취감을 얻고 도덕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다가 제자리에 가져다 놓아야 한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고 쓰레기를 밖에 버리면 안된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행동할 수 없고 지켜야하는 규율이 존재한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는 유아가 장난감을 가지고 놀다가 일정한 시간이 되면 다른 친구들에게 양보를 해주어야 한다는 점을 알려줄 수 있다.
4) 심리적 요인
유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심리적 요인으로는 자아개념을 의미할 수 있다. 영아기 때는 양육자와 돌봄 행위자에게 돌봄을 받지만 이후 시간이 흘러 유아기가 되면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는 발달시기가 도래한다. 즉, 자아개념을 발달할 수 있는 시기는 유아기부터 시작이 되는 것이다. 유아기 때 부모와 같은 주 양육자가 아닌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하면서 유아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유아는 자신만의 생각과 감정들을 또래 친구와 동일시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가 자아개념을 올바르게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 유아가 또래친구와 감정과 생각을 동일시 한다면 자아개념을 습득하기에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타인인 또래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지만 자신과는 다른 존재라는 것에 대한 것을 인지해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명확히 타인에게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할 필요가 있으며 표현하는데 있어 격려를 해줄 필요가 있다. 또한 유아마다 기질이 다르기 때문에 보다 의존도가 높거나 친구와 동일시하는 경향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아마다 동일한 교육내용으로 교육을 하더라도 자아개념을 습득하는데 시기적인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교사는 유아가 시기적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유아 시기의 자아개념 습득은 자아존중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아존중감은 유아기를 거쳐 청소년기에 습득하는 주요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청소년기에 자아존중감을 습득하지 못 할 경우에는 자아에 혼란이 생기고 사회생활에 큰 지장이 생긴다. 이러한 기초가 되는 것이 자아개념이기 때문에 유아기에 자아개념을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유아기 때 적절하게 형성된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은 중요한데 이는 유아가 성장하여 아동기에 접어들고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유아 시기의 올바른 발달은 올바른 성인으로 성장하는데 초석이 되기 때문에 그 중요성과 올바른유아교육 방향을 깨닫고 실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최옥채(202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제6판. 양서원
4) 심리적 요인
유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심리적 요인으로는 자아개념을 의미할 수 있다. 영아기 때는 양육자와 돌봄 행위자에게 돌봄을 받지만 이후 시간이 흘러 유아기가 되면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는 발달시기가 도래한다. 즉, 자아개념을 발달할 수 있는 시기는 유아기부터 시작이 되는 것이다. 유아기 때 부모와 같은 주 양육자가 아닌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하면서 유아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유아는 자신만의 생각과 감정들을 또래 친구와 동일시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가 자아개념을 올바르게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 유아가 또래친구와 감정과 생각을 동일시 한다면 자아개념을 습득하기에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타인인 또래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지만 자신과는 다른 존재라는 것에 대한 것을 인지해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명확히 타인에게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할 필요가 있으며 표현하는데 있어 격려를 해줄 필요가 있다. 또한 유아마다 기질이 다르기 때문에 보다 의존도가 높거나 친구와 동일시하는 경향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아마다 동일한 교육내용으로 교육을 하더라도 자아개념을 습득하는데 시기적인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교사는 유아가 시기적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유아 시기의 자아개념 습득은 자아존중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아존중감은 유아기를 거쳐 청소년기에 습득하는 주요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청소년기에 자아존중감을 습득하지 못 할 경우에는 자아에 혼란이 생기고 사회생활에 큰 지장이 생긴다. 이러한 기초가 되는 것이 자아개념이기 때문에 유아기에 자아개념을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유아기 때 적절하게 형성된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은 중요한데 이는 유아가 성장하여 아동기에 접어들고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유아 시기의 올바른 발달은 올바른 성인으로 성장하는데 초석이 되기 때문에 그 중요성과 올바른유아교육 방향을 깨닫고 실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최옥채(202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제6판. 양서원
키워드
추천자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배우는 목적과 필요성 사회복지를 실천의 의견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2019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 등교거부를 정신분석적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공통형 - 사회복지생활과학(가정복지)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초등학교 어린...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방송통신대 2019) 교육학과 유아교육학과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초...
[2020 인간행동과사회환경 3공통] 1.Hooper 등(2009)이 제시한 인간발달의 일곱 가지 원리를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공통[생활과학, 사회복지 -2020학년도 2학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 Hoo...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매슬로(Maslow)의 인본주의 성격이론의 기본 시각과 특징 2.매슬로의 ...
[2020 인간행동과사회환경3공통][기말시험][출처표기] 1.공통적으로 인정되는 ‘인간만의 특유...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022년] (1) 인간발달 또는 인간행동에 미치는 요인들을 네 가지로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