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정사회사업의 주요 프로그램과 제도
I. 시설중심 프로그램
1. 교정시설
2. 보호시설
3. 민간시설
II. 지역사회중심 프로그램
III. 보호관찰제도
IV. 갱생보호제도
* 참고문헌
I. 시설중심 프로그램
1. 교정시설
2. 보호시설
3. 민간시설
II. 지역사회중심 프로그램
III. 보호관찰제도
IV. 갱생보호제도
*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록 지원하여 그들의 건전한 사회복귀를 촉진함으로써 재범을 방지하고 사회를 보호하는 데 있다.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05453호) 제3조에서 규정하는 갱생보호의 대상자는 \'형사처분 또는 보호처분을 받은 자로서 자립갱생을 위한 숙식제공, 여비지급, 생업도 구 생업조성 금품의 지급 또는 대여, 직업훈련 및 취업알선 등 보호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자\'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형사처분 또는 보호처분을 받은 사람은 처분의 내용이나 종류에 관계없이 갱생보호의 대상이 될 수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05453호) 제3조에서 규정하는 갱생보호의 대상자는 \'형사처분 또는 보호처분을 받은 자로서 자립갱생을 위한 숙식제공, 여비지급, 생업도 구 생업조성 금품의 지급 또는 대여, 직업훈련 및 취업알선 등 보호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자\'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형사처분 또는 보호처분을 받은 사람은 처분의 내용이나 종류에 관계없이 갱생보호의 대상이 될 수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