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크 분류 및 처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쇼크 분류 및 처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쇼크의처치
2. 저혈량성 쇼크
3. 심인성 쇼크
4. 신경성 쇼크
5. 패혈성 쇼크
6. 아나필락시스성 쇼크

본문내용

gE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1형 과민반응.
표적기관(순환, 호흡, 소화, 피부)에 화학매개물질에 의한 생리적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히스타민에 의해서는 기관지 평활근 수축, 기도와 후두의 부종, 소화기 평활근 자극으로 인한 tenesmus, 구토, 설사증상이 발생함. 또 피부혈관이 파괴되어 두드러기, 홍반, 혈관부종 등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는 저혈압과 쇼크가 발생함.
이미 알고 있는 유발요인에 노출되어 있다면, 노출을 피하게 하고 즉시 생체징후, 수액과 산소요법, 심전도감시와 산소포화도를 측정이 중요하며 필요시에는 기관 내 삽관 술 시행.
EPP(1:1000)을 0.3-0.5ml(소아 0.01ml/Kg)를 피하주사하며 2차 약물로는 항히스타민제, 콜티코스테로이드, 글루카곤, 암부테롤, 아미노필린 등을 추가처방.
아나필락시스의 증상과 징후는 노출 경로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노출 30분 이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피부에는 홍반, 소양증, 두드러기, 혈관부종이 있고, 호흡기증상으로는 비염, 후두부종, 천명, 애성, 기관지경련, 기침, 호흡곤란, 호흡부전 등이 나타나며 젊은 환자의 경우 심하면 호흡곤란으로 사망할 수도 있음.
순환기증상으로 저혈압, 빈맥, 부정맥, 쇼크 등이 발생하며 노인에서의 사망원인이 될 수 있음.
소화기증상으로는 오심과 구토, 설사, 복통이 있음.
감별진단으로 혈관미주신경반응, 심근허혈, 부정맥, 천식지속상태, 경련, 후두염, 유전적 혈관부종 등이 있으며 혈관미주신경반응에서는 환자가 창백하고 발한이 나타나며 실신하기 전에 구역질호소, 맥박이 느려지고 경한 저혈압상태로 누워있으면 호전.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2.11.25
  • 저작시기2016.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03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