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아 교육과 관련한 정의, 진단 및 평가, 특성, 교육적 접근 방법에 대하여 조사한 후 정리하여 서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각장애아 교육과 관련한 정의, 진단 및 평가, 특성, 교육적 접근 방법에 대하여 조사한 후 정리하여 서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청각장애아의 교육과 관련한 정의

2. 청각장애아의 진단 및 평가

3. 청각장애아의 특성

4. 청각장애아의 교육적 접근 방법
1) 청각장애학생의 언어교육방법
(1) 구어교육
(2) 수어교육
2) 종합적 의사소통법
3)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법

5.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하는 가운데 학습과 성정을 가능케 한다. 이 때 이 청각은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는 언어의 습득과 발달 및 유지에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 Clark(1989). 또한 언어발달은 만 2세가 그 결정적 시기라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청각장애 유아는 언어습득 이전에 고도의 청력손실을 입어 만 2세가 조기중재의 결정적인 시기이며, 언어능력은 언어수용이 매우 제한적이라서 언어의 내면화 과정이 일반 유아보다 지체된다. 또한 5세 정도까지 언어적 입력을 경험하지 못하면 일생동안 말을 배울 수 없다는 주장은 청각장애 어린이에게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청각수용에 의한 언어발달이 가능하더라도 특수교육을 받아야 할 정도의 청각장애 어린이면 보통 3~4년의 언어발달지체를 보인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청각장애 학교 유치부 과정은 만 3세 이후부터 가능하고 만 3세 이전에 청각장애로 진단받은 유아는 일부 사설 언어교육실이나 병원, 복지관에서 제한된 언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어서 언어발달의 결정적인 시기인 영아 및 저학년 초기의 언어적 환경 교육에 많은 제한을 두고 있다. Jonson, Liddell, & Erting(1989)도 청각장애 어린이에게 국어교육의 잠재적인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조기에 모국어를 습득시키고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뿐만아니라 William(1970)의 연구에 의하면 2세 이전에 조기교육이 이루어진 청각장애유아가 조기교육을 받지 않는 경우보다 더 좋은 말하기 능력을 가졌다고 하였다.
청각장애 유아의 조기 청각학습과 교수의 초점은 시각보다는 청각의 사용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이것은 지능적인 의사소통 기술의 발달과 음성언어의 수용에 있어 가장 효과적이고 적절한 감각 양식이 청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각장애 유아의 언어치료는 발성상의 치료라는 차원보다는 여러 소리를 자연스럽게 들을 수 있는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자연히 말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게 된다. 이러한 청각장애 교육방법이 청각법 또는 구화 교육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청각장애 교육방법인 청각법에 대해 Pollack(1997)는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첫째. 청각장애아를 되도록 초기에 발견하고, 둘째, 잔존청력을 최대한 개발시키기 위하여 양쪽 귀에 보청기를 착용시키며, 셋째. 보청기는 어린이가 깨어 있는 시간 동안 항상 끼워주고, 넷째. 청각적으로 송환효과를 줄 수 있는 기구를 활용하고, 다섯째. 청각만으로 언어를 수용시키며 여섯째. 청각장애아를 일반 저학년와 함께 통합하는 환경을 만들고, 일곱 번째. 부모 특히 어머니가 어린이에 대하여 충분한 청각적 자극을 주도록 하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청각장애아 교육과 관련한 정의, 진단 및 평가, 특성, 교육적 접근 방법에 대하여 조사한 후 정리하여 서술해 보았다. 최근 들어 청각장애아교육 분야는 인구통계학적으로, 방법론적으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고, 학교교육 방법면에서도 뚜렷이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Arehart(1999)는 청각장애 영유아를 담당하는 교사들은 청각장애영유아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며,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구화-청각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Harrington과 Powers(2004)는 디지털 보청기나 특히 인공와우와 같은 보조공학기술이 성장함에 따라 청신경적 재활이나 공학기기의 기술적인 관리에 있어서도 교사들의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제기하고 있다. Maribeth와 Sharon(2006)은 청각장애아교육 예비교사는 구화교육 프로그램의 전문가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구화교육 프로그램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청각장애아교육 교사들에게 어떠한 수행능력들이 요구되는지 구화학교 관리자들과 일반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행하여, 구화교육 양성 프로그램의 개혁과제를 밝히기도 하였다. 이러한 변화들을 통해 청각장애아교육 교사들은 이에 대처하는 교육방법에 대한 새로운 개혁과 쇄신이 요구되고 있다.
참고문헌
권순우(2005). 청각장애 학교교육과정 재구조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김기영(2011). 특수학교 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태강, 정은희(2014).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연구. 특수교육학연구.
박인수(2010). 청각장애 특수학교 개별화교육계획 수립과 운영에 대한 질적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11.25
  • 저작시기202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04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