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1 데이터 베이스의 역사
1.2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3 용어 및 예제 데이터 설명
2.1 기본 select 문
2.2 검색될 행의 제한: where 절의 사용
2.3 데이터의 정렬
3.1 함수의 개념과 종류
3.2 문자함수
3.3 숫자함수
3.4 날짜함수
3.5 데이터 유형의 변환
3.6 함수의 중첩
3.7 일반함수
3.8 조건 표현식
4.1 그룹 함수의 개념
4.2 그룹 함수의 종류 및 사용법
4.3 GROUP BY와 그룹 결과의 정렬
4.5 GROUP BY 절의 추가 기능
5.1 조인의 개념과 종류
5.2 ANSI/ISO SQL 표준 조인
5.3 오라클 전용 조인
1.2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3 용어 및 예제 데이터 설명
2.1 기본 select 문
2.2 검색될 행의 제한: where 절의 사용
2.3 데이터의 정렬
3.1 함수의 개념과 종류
3.2 문자함수
3.3 숫자함수
3.4 날짜함수
3.5 데이터 유형의 변환
3.6 함수의 중첩
3.7 일반함수
3.8 조건 표현식
4.1 그룹 함수의 개념
4.2 그룹 함수의 종류 및 사용법
4.3 GROUP BY와 그룹 결과의 정렬
4.5 GROUP BY 절의 추가 기능
5.1 조인의 개념과 종류
5.2 ANSI/ISO SQL 표준 조인
5.3 오라클 전용 조인
본문내용
n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인방식으로, 앞서 배운 Natural join이나 using절을 사용하는 조인도 Equi join(등가조인)이었다.
- ON절을 사용하여 작성된 조인문장은 열의 이름이 다른 두 테이블 간의 Equi join도 가능하다. 여러 가지 조인조건을 ON절에 직접 지정함으로써 where 절의 다른 검색조건과 조인조건이 분리되어 사용자 입장에서 고드를 이해하기도 쉬워진다.
구문
select [table1.]column, [table2.]column
from table1 join table2
on (table1.column = table2.column);
표준 조인 구문에서 on절을 사용하여 세 개의 테이블을 조인할 수도 있으며 이를 3-Way join이라고도 한다.
(6) ON 절을 사용하는 비등가조인(NON EQUI JOIN)문의 작성
- Non-Equi Join은 조인 조건에 동등연산자(등호,=)가 아닌 연산자를 사용하여 두 테이블의 관계를 기술하는 조인을 의미한다.
- ON절에는 임의의 연산자 사용이 가능하므로 비등가 조인도 가능하며, 주로 between 연산자가 많이 사용된다.
(7) ON 절을 사용하는 자체조인(SELF JOIN)문의 작성
- 일반적인 조인문장에서는 from 절에 서로 다른 테이블 두 개 이상을 지정한다.
그런데 이 self join에서는 from 절에 테이블 두 개가 실제 동일한 테이블인 것이다.
- self join은 하나의 테이블을 두 번 검색해서 조인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8) 세 개의 테이블 조인: 3 way 조인
- 3-way 조인이란 세 개의 테이블을 조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 첫 번째 조인문이 실행되는 동안 첫 번째 조인 조건은 처음 두 개의 열을 참조할 수 있지만, 두 번째 조인 조건은 세 개의 테이블에서 모두 열을 참조할 수 있다.
- 세 개의 테이블을 조인하여 더 많은 테이블을 조합하여 다양한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9) INNER JOIN과 OUTER JOIN의 개념
지금까지 배운 SQL표준 구문들은 모두 INNER JOIN(내부조인)이다.
두 테이블 조인 시 조인하는 열에 대해 양쪽 테이블 모두에서 일치하는 행만 반환하는 것이다.
조인을 수행하다 보면 한쪽 테이블에서는 조인 조건에 만족하는 값을 갖지 못한 행으로 인해 결과가 NULL이므로 조인 조건에 대해여 어느 한 쪽에 NULL 값이 있으면 조인결과에서 그 행은 출력되지 않는 것이다.
INNER JOIN의 또 다른 예로 Y_LOC테이블을 조회하면 주소정보가 8개 저장되어 있지만 각 부서의 주소를 표시하기 위해 y_dept 테이블과 조인을 하면 LOC_ID열의 값이 두 테이블에서 같은 경우에만 표시되므로 Y_LOC테이블에서 누락되는 행이 발생한다.
(10) OUTER JOIN의 사용
① LEFT OUTER JOIN : INNER JOIN의 결과와 함께 JOIN 구문을 기준으로 일치하는 행이 없는 왼쪽테이블의 행을 반환하는 조인
② RIGHT OUTER JOIN : 동일한 방식으로 일치하는 행이 없는 오른쪽테이블의 행을 반환하는 조인
③ FULL OUTER JOIN : 두 가지 결과를 함께 반환하는 조인
SQL표준 구문에서는 from 절에 left/right/full outer join을 명시하고 on절에는 조인조건만 지정하는 방식
구문
select [table1.]column, [table2.]column
from table1 [left | right |full] outer join table2
on (table1.column = table2.column);
오라클 전용 outer join에서는 조인되는 두 테이블로부터 모든 누락된 행을 하나의 sql로는 볼 수가 없지만 sql표준 구문에서는 full outer join을 사용하여 양쪽 테이블의 모든 누락된 행을 표시할 수 있다.
6.3 오라클 전용 조인
① Equi Join
② Non-Equi Join
③ Outer Join
④ Self Join
⑤ Cartesian product
오라클 주문 작성 시 표준 sql조인 구문과 다른 유의사항과 특징
- Join문을 사용하여 연관이 있는 둘 이상의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whre 절에 조인 조건을 작성해야 한다.
- 조인 방식을 where절에 지정하므로 다른 조건을 AND연산자를 사용하여 추가하여야 한다.
n개의 테이블을 조인하려면 최소 n-1개의 조인 조건이 필요하다.
(1) EQUI JOIN
- 단순조인 또는 동일조인이라고도 하는 Equi Join은 두 테이블에서 연관이 있는 데이터에 대하여 동등비교를 수행한다.
- 양쪽 테이블에 동일한 값을 저장한 열이 있어야 한다.
주로 기본키와 외래키 관계에 있는 두 테이블간에 자주 사용된다.
구문
select table1.column, table2.column
from table1, table2
where table1.column = table2.column2;
오라클 전용조인은 조인 방식을 where절에 지정하므로 다른 조건을 and연산자를 사용하여 추가하여야 한다.
(2) NON EQUI JOIN
Non-Equi Join은 조인 조건에 동등연산자(등호.=)가 아닌 연산자를 사용하여 두 테이블의 관계를 기술하는 조인을 의미한다.
(3) 세 개 이상의 테이블 조인
세 개 이상의 테이블을 조인하여 더 많은 정보를 결합할 수 있다.
추가 조인 조건은 where 절에서 AND 연산자로 결합할 수 있으며 n개의 테이블 조인을 위해서 조인조건은 최소 n-1개가 필요하다.
(4) SELF JOIN
self join은 하나의 테이블을 두 번 검색해서 조인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경우 테이블에 사용되는 별칭은 생략할 수 없다.
(5) OUTER JOIN
조인 조건에 OUTER JOIN 연산자 ‘(+)’를 사용하여 누락된 행을 반환할 수 있다. 이 연산자를 정보를 부족한 조인 옆에 넣어주면 정보가 부족한 테이블에 NULL행을 생성하여 조인을 완료해 주는 것이다.
OUTER JOIN은 OUTER JOIN연산자의 위치에 따라 어느 한쪽의 누락된 정보만 반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ON절을 사용하여 작성된 조인문장은 열의 이름이 다른 두 테이블 간의 Equi join도 가능하다. 여러 가지 조인조건을 ON절에 직접 지정함으로써 where 절의 다른 검색조건과 조인조건이 분리되어 사용자 입장에서 고드를 이해하기도 쉬워진다.
구문
select [table1.]column, [table2.]column
from table1 join table2
on (table1.column = table2.column);
표준 조인 구문에서 on절을 사용하여 세 개의 테이블을 조인할 수도 있으며 이를 3-Way join이라고도 한다.
(6) ON 절을 사용하는 비등가조인(NON EQUI JOIN)문의 작성
- Non-Equi Join은 조인 조건에 동등연산자(등호,=)가 아닌 연산자를 사용하여 두 테이블의 관계를 기술하는 조인을 의미한다.
- ON절에는 임의의 연산자 사용이 가능하므로 비등가 조인도 가능하며, 주로 between 연산자가 많이 사용된다.
(7) ON 절을 사용하는 자체조인(SELF JOIN)문의 작성
- 일반적인 조인문장에서는 from 절에 서로 다른 테이블 두 개 이상을 지정한다.
그런데 이 self join에서는 from 절에 테이블 두 개가 실제 동일한 테이블인 것이다.
- self join은 하나의 테이블을 두 번 검색해서 조인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8) 세 개의 테이블 조인: 3 way 조인
- 3-way 조인이란 세 개의 테이블을 조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 첫 번째 조인문이 실행되는 동안 첫 번째 조인 조건은 처음 두 개의 열을 참조할 수 있지만, 두 번째 조인 조건은 세 개의 테이블에서 모두 열을 참조할 수 있다.
- 세 개의 테이블을 조인하여 더 많은 테이블을 조합하여 다양한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9) INNER JOIN과 OUTER JOIN의 개념
지금까지 배운 SQL표준 구문들은 모두 INNER JOIN(내부조인)이다.
두 테이블 조인 시 조인하는 열에 대해 양쪽 테이블 모두에서 일치하는 행만 반환하는 것이다.
조인을 수행하다 보면 한쪽 테이블에서는 조인 조건에 만족하는 값을 갖지 못한 행으로 인해 결과가 NULL이므로 조인 조건에 대해여 어느 한 쪽에 NULL 값이 있으면 조인결과에서 그 행은 출력되지 않는 것이다.
INNER JOIN의 또 다른 예로 Y_LOC테이블을 조회하면 주소정보가 8개 저장되어 있지만 각 부서의 주소를 표시하기 위해 y_dept 테이블과 조인을 하면 LOC_ID열의 값이 두 테이블에서 같은 경우에만 표시되므로 Y_LOC테이블에서 누락되는 행이 발생한다.
(10) OUTER JOIN의 사용
① LEFT OUTER JOIN : INNER JOIN의 결과와 함께 JOIN 구문을 기준으로 일치하는 행이 없는 왼쪽테이블의 행을 반환하는 조인
② RIGHT OUTER JOIN : 동일한 방식으로 일치하는 행이 없는 오른쪽테이블의 행을 반환하는 조인
③ FULL OUTER JOIN : 두 가지 결과를 함께 반환하는 조인
SQL표준 구문에서는 from 절에 left/right/full outer join을 명시하고 on절에는 조인조건만 지정하는 방식
구문
select [table1.]column, [table2.]column
from table1 [left | right |full] outer join table2
on (table1.column = table2.column);
오라클 전용 outer join에서는 조인되는 두 테이블로부터 모든 누락된 행을 하나의 sql로는 볼 수가 없지만 sql표준 구문에서는 full outer join을 사용하여 양쪽 테이블의 모든 누락된 행을 표시할 수 있다.
6.3 오라클 전용 조인
① Equi Join
② Non-Equi Join
③ Outer Join
④ Self Join
⑤ Cartesian product
오라클 주문 작성 시 표준 sql조인 구문과 다른 유의사항과 특징
- Join문을 사용하여 연관이 있는 둘 이상의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whre 절에 조인 조건을 작성해야 한다.
- 조인 방식을 where절에 지정하므로 다른 조건을 AND연산자를 사용하여 추가하여야 한다.
n개의 테이블을 조인하려면 최소 n-1개의 조인 조건이 필요하다.
(1) EQUI JOIN
- 단순조인 또는 동일조인이라고도 하는 Equi Join은 두 테이블에서 연관이 있는 데이터에 대하여 동등비교를 수행한다.
- 양쪽 테이블에 동일한 값을 저장한 열이 있어야 한다.
주로 기본키와 외래키 관계에 있는 두 테이블간에 자주 사용된다.
구문
select table1.column, table2.column
from table1, table2
where table1.column = table2.column2;
오라클 전용조인은 조인 방식을 where절에 지정하므로 다른 조건을 and연산자를 사용하여 추가하여야 한다.
(2) NON EQUI JOIN
Non-Equi Join은 조인 조건에 동등연산자(등호.=)가 아닌 연산자를 사용하여 두 테이블의 관계를 기술하는 조인을 의미한다.
(3) 세 개 이상의 테이블 조인
세 개 이상의 테이블을 조인하여 더 많은 정보를 결합할 수 있다.
추가 조인 조건은 where 절에서 AND 연산자로 결합할 수 있으며 n개의 테이블 조인을 위해서 조인조건은 최소 n-1개가 필요하다.
(4) SELF JOIN
self join은 하나의 테이블을 두 번 검색해서 조인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경우 테이블에 사용되는 별칭은 생략할 수 없다.
(5) OUTER JOIN
조인 조건에 OUTER JOIN 연산자 ‘(+)’를 사용하여 누락된 행을 반환할 수 있다. 이 연산자를 정보를 부족한 조인 옆에 넣어주면 정보가 부족한 테이블에 NULL행을 생성하여 조인을 완료해 주는 것이다.
OUTER JOIN은 OUTER JOIN연산자의 위치에 따라 어느 한쪽의 누락된 정보만 반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추천자료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 [DB 마케팅]
[데이터베이스산업][DB산업]데이터베이스(DB)의 정의와 특성, 데이터베이스(DB) 시스템, 데이...
[데이터베이스] 상용데이터베이스 조사 - ORACLE, UniSQL, MySQL, MS-SQL, DB2 -
KERIS(한국교육학술정보원)종합목록DB의 중요성, KERIS(한국교육학술정보원)종합목록DB의 실...
데이터 베이스 웹 서버 구축(DB Web Server)
비주얼베이직[비베][비쥬얼베이직] 6.0 프로젝트용 DB연동 쇼핑몰 상품관리 프로그램
도서관리프로그램,DB파일(MSQL),보고서(hwp),발표용(ppt)
DB(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 계획서.PPT자료
[DB 질의(데이터베이스 질의)]DB 질의(데이터베이스 질의)의 필요성, DB 질의(데이터베이스 ...
[생산][기업마케팅][프로슈머마케팅][DB마케팅][생산과 데이터베이스마케팅][생산과 마케팅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