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서술형(공기조화 과목)요약집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서술형(공기조화 과목)요약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조냉동기계기사 필답형 요약
2. 공조냉동기계끼사 핵심공식 요약

본문내용

을 말한다
[2002/1][2016/1] 증기보일러에 부착된 인젝터의 작용
1. 급수장치의 일종으로 증기노즐에서 증기가 분출하면 노즐 부근에 압력강하가 발생하며, 이때의 진공으로 급수관에서 물이 빨려 올라오고 물과 증기가 혼합되면서 증기는 냉각 응축되고 급수의 온도는 올라가며, 속도에너지가 증가하여 고속의 수류를 만든다. 열에너지를 분사력을 이용하여 속도(운동)에너지로 전환하여 다시 압력에너지로 바꾸어서 보일러 속으로 급수하는 장치
[2005/3][2013/1][2016/3] 송풍기 번호
1. 송풍기 번호 =
※ 원심형 : 150
※ 축류형 : 100
2. 송풍기의 크기를 임펠러 지름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150의 배수를 No.1=150[mm], No.2=300[mm]
[2009/3][2010/2][2018/2] 송풍기 상사법칙
1. 풍량은 회전수 변화량에 비례
2. 전압은 회전수 변화량 제곱에 비례
3. 동력은 회전수 변화량 세제곱에 비례
[2016/3] 사각 덕트의 소음 방지 방법
1. 덕트 내장형
2. 머플러 형
3. 웨이브 형
4. 플레이트 형
5. 엘보 형
[2007/1][2011/2][2017/1] 유인 유닛방식 / 팬 코일 유닛방식
1. 유인 유닛방식(IDU) : 공조기로부터 1차공기를 고속덕트를 통하여 실내 유닛까지 보내 이 1차 공기를 유닛내에 있는 노즐로 취출시켜 그 압력차로 인한 유인력에 의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1차공기와 혼합 취출하는 공기수방식으로 유닛내에 송풍기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 공기수방식
- 송풍기 없음(압력차에 의한 유인 작용 : 고속덕트)
- 겨울철 잠열부하처리 가능
- 건코일을 사용하므로 드레인 배관이 필요 없음
- FCU방식에 비해 가격, 소음, 수명이 모두 큼
2. 팬코일 유닛방식(FCU) : 실내 유닛에 있는 코일에 냉/온수를 순환시키고 송풍기에 의해 실내공기를 코일에 순환시킴으로써 냉각 또는 가열하는 수방식이다.
- 전수방식
- 송풍기에 의한 강제순환
- 여름철 잠열부하처리 가능(습코일)
- 습코일 사용이기 때문에 별도의 드레인 배관이 필요
- 겨울철 잠열부하처리가 불가능(단열)
[2017/2] 공기 조화 장치에서 열원설비 장치 4가지
1. 증기, 온수를 위한 보일러, 난방설비, 급탕설비, 냉동기, 냉각탑
[2017/2] 덕트에 대하여
1. 일반적으로 최대 풍속이 15[m/s]를 경계로 하여 저속 덕트와 고속 덕트로 구별된다
2. 주택에서 쓰이는 저속 덕트의 주덕트 내 풍속은 약 3.5[m/s] 이상 4.5[m/s]이하로 하여야 한다
3. 공공건물에서 쓰이는 저속 덕트의 주 덕트 내 풍속은 8[m/s]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장방형 덕트의 아스펙트비는 되도록 “4” 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
5. 장방형 덕트의 굴곡부에서의 내측 반지름비는 일반적으로 0.75 정도 쓰인다
[2015/1][2017/3] 극간풍(틈새바람)을 구하는 방법 3가지, 방지하는 방법 3가지
1. 틈새바람을 결정하는 방법
- 환기 횟수에 의한 방법
- 극간 길이에 의한 방법(crack법)
- 창 면적에 의한 방법
- 출입문의 극간풍
- 건물 내의 개방문
2. 틈새바람을 방지하는 방법
- 에어커튼의 사용
- 회전문을 설치
- 충분한 간격을 두고 이중문 설치
- 실내를 가압하여 외부압력보다 높게 유지하는 방법
- 건축의 건ㅁ물 기밀성 유지와 현관의 방풍실 설치, 중간의 구획
[2014/1] 아스펙트비를 6:1로 시공해야 하는 이유 3가지
1. 덕트 내의 풍량 분배를 일정하게 한다
2. 덕트의 단면적이 크면 마찰 손실이 증가하므로 마찰 손실을 작게하기 위함이다.
3. 덕트 재료 손실 방지
[예상] 브라인의 구비조건
1. 브라인의 종류
- 무기질 : 염화칼슘(CaCl₂), 염화나트륨(NaCl), 염화마그네슘(MgCl₂) 수용액
2. 구비조건
- 비열 및 열전도율이 클 것
- 순환펌프 소비동력 절감을 위하여 점성이 적을 것
- 동결 온도가 낮을 것
- 부식성이 적고 불연성일 것
- 악취 및 독성이 없고 무해할 것
※ 브라인 부식 방지 : 수소 이온 지수값을 7.5~8.2 pH정도 유지
방청을 위해
- 산성인 경우 가성소다를
- 알칼리성인 경우 염산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중화시킨다
[예상]
1. 과냉각도(SCD) : Sub- Cooling Degree
2. 플래시 가스 : Flash gas
3. 과열도(SHD) : Super Heat Degree
4. 히트펌프 : Heat Pump
5. 중간냉각기 : Inter Cooler
6. 열교환기 : Heat Exchanger
7. 증발기 : Evaporator
8. 응축기 : Condenser
9. 압축기 : Compressor
10. 유닛쿨러 : Unit Cooler
11. 팽창밸브 : Expansion Valve
12. 수액기 : Liquid Receiver
12. 액분리기 : Accumulator(어큐물레이터)
13. 예냉각기 : Pre-Cooler
14. 전자밸브 : Solenoid Vavle
15. 역류방지 밸브 : Check Vavle(체크밸브)
16. 증발압력 조정밸브(EPR) : Evaporation Pressure Regulating Valve
17. 흡입압력 조절밸브(SPR) : Suction Pressure Regulating Valve
18. 응축압력 조절밸브(CPR) : Condensing Pressure Regulating Valve
19. 용량 조절밸브(CR) : Capacity Regulating Valve
20. 단절점 : Cut-out, 고압측 세팅압력으로 평시 닫힘회로가 이 압력에서 열림으로 전환 됨
21. 단입점 : Cut-in, 자동 복귀형 고압스위치에서 단절점에서 차단된 접점이 시스템의 압력이 서서히 강하하다가 다시 닫히는 압력
22. 작동 압력차 : Differential
23. 저압차단스위치(LPS) : Low Pressure Switch
24. 유압보호압력스위치(OPS) : Oil Pressure Switch
25. 안전밸브 : Safety Valve
26. 관찰창 : Sigth glass : 액관의 필터드라이와 팽창밸브 사이 설치
27. 가용전 : Fusible plug
  • 가격5,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22.12.12
  • 저작시기2019.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11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