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개발과평가 ) 나만의 프로그램 제안서(프로포절) 작성하기 - 독거 청년 외로움 해소 대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로그램개발과평가 ) 나만의 프로그램 제안서(프로포절) 작성하기 - 독거 청년 외로움 해소 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업명
2. 사업 내용 및 추진 전략
3. 예산 편성
4. 문제 의식(사업 필요성)
5. 목표 및 평가
6. 사업종료 후 지향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독거청년의 우울함이 감소하는지 확인하고, 프로그램의 단점이 있는지 확인
독거청년의 참여율 확인, 범죄에 악용되지는 않는지 확인
4개월에 한 번 평가
필요한 경우 심리 상담 주 2회 실시
우울증상 해소
(3) 목표와 평가 방법
목표
평가 도구 및 방법
측정 시기
성과목표
수행기관에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매월
산출목표
질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 및 전문가의 평가
4개월에 1번씩
(성과목표) 성과목표와 관련하여 아래 내용들에 대해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핵심 참여자가 본인 스스로 외롭지 않다, 우울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수준까지 변화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시작할 때 작성한 질문지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나서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 작성한 질문지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평가하고, 전문가가 심리 상담이나 카톡 내용을 통해서 평가한다면 달성 여부를 알 수 있다.
- 사람의 감정을 수치화 시키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심리상담에서 쓰이는 기법을 통하여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 비대면 대화를 통해서 외로움을 해소하고, 나아가 상담을 통해 우울증도 해소하여 핵심 참여자들이 스스로 외롭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평가 도구 및 방법 / 측정 시기)
- 일반적인 사람들의 우울한 정도를 수치화하여 핵심 참여자들이 일반적인 사람들의 수준까지 도달할 수 있는지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성과 지표를 설정한다.
- 질문지를 통한 설문조사는 프로그램 참여 시 작성하고, 매월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한다.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자체적인 평가를 4개월에 한 번씩 진행한다.
-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서 수치화하기 어려운 지표들도 객관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6. 사업종료 후 지향점
: 사업 수행으로 인한 기대 효과
독거청년의 사망률과 우울증의 수준을 낮추는 것이 가장 큰 기대 효과이다. 독거노인들과는 달리 독거청년들은 상대적으로 젊고 건강하기 때문에 복지의 사각에 놓여 있을 수 있고, 실제로 독거청년을 위한 프로그램은 많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 일을 하고 있거나, 건강상의 이유로 인간 관계가 좁아지고, 외로움이 커져 극단적인 선택까지 하는 청년층들이 많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이익을 바라지 않고 단순히 대화를 할 수 있는 상대가 있다는 것이 큰 힘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많은 청년들이 알게되고, 이 프로그램이 아니더라도 사회에서 스스로 누군가에게 먼저 말을 걸어 줄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되는 것이 궁극적인 프로그램의 지향점이다.
7. 참고 문헌
1) 조교환, “[동십자각] 죽음마저 소외되는 청년들”, 서울경제, 2022.04.15. https://www.sedaily.com/NewsVIew/264PB675OP
2) “청년1인가구”. 성동구청년지원센터. 2022년 05월 10일 접속. https://sdyv.org/solo/?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8129331&t=board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12.20
  • 저작시기202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1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