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SET) 상태를 일정 주기로 번갈아 하는 회로이다. 실험 결과물로도 소자를 연결하고 오실로스코프로 직접 측정해 파형을 확인해보았더니 셋(SET)과 리셋(RESET)이 번갈아가면서 출력이 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부하저항 과 에 발광다이오드를 직렬으로 연결하여 점등 여부를 확인하였다. LED가 번갈아가면서 점등되었고, 일반적으로는 저항값, 캐퍼시터의 값이 커질수록 점등횟수가 동일하려면 전류의 세기가 더욱 세져야하는데 이 실험에서는 점등의 횟수가 눈에 띄게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9. 검토 및 유의사항
(1)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종류와 사용 용도에 관하여 설명하라.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 발진기, 타이머, 플립플롭과 같이 두 개의 상태를 지니는 여러 가지 단순 시스템을 추가하는 데 쓰이는 전자 회로이다. 일정한 형태의 펄스를 발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자로, 종류에는 무안정, 단안정,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가 있다.
무안정 바이브레이터는 연속되는 구형파 펄스 발진기로 사용되며 안전 상태가 없고 2 안정상태를 가지며 시정수에 따라 정해지는 펄스폭과 주기를 가진다. 스스로 발진하며 아날로그 회로에 사용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 멀티바이브레이터는 단안정 바이브레이터는 트리거 될 때 하나의 단일 펄스를 발생시키는 회로이고 안정 상태에 있다가 트리거 신호가 들어오면 일정 시간 준안정상태에 있다가 되돌아온다. 입력펄스 1개가 들어오면 시정수로 정해지는 폭의 펄스를 얻는데, 불안정 상태에 머무는 시간에 의해 출력 펄스 폭이 정해지고 지속시간이나 파형은 트리거 펄스와는 관계가 없다. 단안정은 주로 타이머회로나 지연회로로 사용되는데 각종 스위치나 기계적 개폐 장치의 채터링 현상을 잡아주는데 효과적이어서 초인종이나 절전 등과같이 일정 시간 작동하고 멈추는 기계들에 사용된다.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 쌍안정 바이브레이터는 2개의 안정 상태를 가지며 트리거 될 때에만 다른 안정 상태로 옮겨간다. 그리고 두 안정 상태 중 어느 한 쪽에 무한히 머무를 수 있다. 흔히 flip-flop이라 하여 메모리나 카운터 등의 기본구성으로 사용되며, 디지틸 회로에 주로사용된다.
(2) 각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주파수는 어떻게 되는가?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발진 주파수 f = 1/T = 1.44/(+2)
(3) 각각의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을 관찰하여 출력 주파수를 구하여 이론적인
주파수와 비교하라.
T = 0.693RC, f = 1/T = 1/0.693RC
100Ω - 10㎌
이론 : T = 6.93*10^-4, f = 1443㎐
실제 : T = 0.4s, f =2.5 ㎐
100Ω - 330㎌
이론 : T = 0.023, f = 43.7㎐
실제 : T = 7.8s, f = 0.128㎐
330Ω - 10㎌
이론 : T = 2.27*10^-3, f = 437㎐
실제 : T = 1s, f = 1㎐
330Ω - 330㎌
이론 : T = 0.075, f = 13.3㎐
실제 : T = 18s, f = 0.055㎐
두 번째 실험에서는 부하저항 과 에 발광다이오드를 직렬으로 연결하여 점등 여부를 확인하였다. LED가 번갈아가면서 점등되었고, 일반적으로는 저항값, 캐퍼시터의 값이 커질수록 점등횟수가 동일하려면 전류의 세기가 더욱 세져야하는데 이 실험에서는 점등의 횟수가 눈에 띄게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9. 검토 및 유의사항
(1)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종류와 사용 용도에 관하여 설명하라.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 발진기, 타이머, 플립플롭과 같이 두 개의 상태를 지니는 여러 가지 단순 시스템을 추가하는 데 쓰이는 전자 회로이다. 일정한 형태의 펄스를 발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자로, 종류에는 무안정, 단안정,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가 있다.
무안정 바이브레이터는 연속되는 구형파 펄스 발진기로 사용되며 안전 상태가 없고 2 안정상태를 가지며 시정수에 따라 정해지는 펄스폭과 주기를 가진다. 스스로 발진하며 아날로그 회로에 사용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 멀티바이브레이터는 단안정 바이브레이터는 트리거 될 때 하나의 단일 펄스를 발생시키는 회로이고 안정 상태에 있다가 트리거 신호가 들어오면 일정 시간 준안정상태에 있다가 되돌아온다. 입력펄스 1개가 들어오면 시정수로 정해지는 폭의 펄스를 얻는데, 불안정 상태에 머무는 시간에 의해 출력 펄스 폭이 정해지고 지속시간이나 파형은 트리거 펄스와는 관계가 없다. 단안정은 주로 타이머회로나 지연회로로 사용되는데 각종 스위치나 기계적 개폐 장치의 채터링 현상을 잡아주는데 효과적이어서 초인종이나 절전 등과같이 일정 시간 작동하고 멈추는 기계들에 사용된다.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 쌍안정 바이브레이터는 2개의 안정 상태를 가지며 트리거 될 때에만 다른 안정 상태로 옮겨간다. 그리고 두 안정 상태 중 어느 한 쪽에 무한히 머무를 수 있다. 흔히 flip-flop이라 하여 메모리나 카운터 등의 기본구성으로 사용되며, 디지틸 회로에 주로사용된다.
(2) 각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주파수는 어떻게 되는가?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발진 주파수 f = 1/T = 1.44/(+2)
(3) 각각의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을 관찰하여 출력 주파수를 구하여 이론적인
주파수와 비교하라.
T = 0.693RC, f = 1/T = 1/0.693RC
100Ω - 10㎌
이론 : T = 6.93*10^-4, f = 1443㎐
실제 : T = 0.4s, f =2.5 ㎐
100Ω - 330㎌
이론 : T = 0.023, f = 43.7㎐
실제 : T = 7.8s, f = 0.128㎐
330Ω - 10㎌
이론 : T = 2.27*10^-3, f = 437㎐
실제 : T = 1s, f = 1㎐
330Ω - 330㎌
이론 : T = 0.075, f = 13.3㎐
실제 : T = 18s, f = 0.05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