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받은 Liver Cirrhosis 간경변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2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받은 Liver Cirrhosis 간경변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2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질병 보고서(Care study)
1. 질병명 및 정의
2. 원인 및 위험요인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적 검사
6. 치료적 관리
7. 간호중재
8. 예후 및 합병증

Ⅱ. 간호사례보고서 양식(Case study)
1. 간호사정

본문내용

11
1 Cap
독성 간질환, 만성간염, 간경변의 보조치료
경미한 설사
임부는 신중투여
Ulcerlmin Suspension
10.2
~
10.11
1
Pkg
위산과다, 위십이지장궤양,급성위염
변비, 구갈, 구역, 설사
투석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 금기
Lasix Tab
10.3
~
10.11
20
mg
고혈압, 심성부종, 신성 부종, 간성 부종, 말초 혈관성 부종
저나트륨혈증. 빈혈,식욕부진,청각장애
무뇨. 신부전, 중증 간장애, 중증 저 나트륨 중증 저 칼륨 혈증, 혈압저하, 탈수증, 수유부 금기
Aldactone Tab
10.3
~
10.11
50mg
고혈압증. 원발성 알도 스테론증, 저칼륨 혈증, 심성 부종, 신성 부종, 간성 부종, 특발성 부종
저나트륨 혈증. 고칼륨 혈증. 태사성 산증, 식욕부진, 구토, 구갈, 변비 등
무뇨, 급성 신부전, 중증 신기능 장애, 중증 간부전, 고칼륨 혈증. 애디슨병 투여 금기
2) 대상자의 간호문제 목록
1# 식욕 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2# 간성복수와 관련된 체액 과다
3#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4# 출혈 경향과 관련된 체액 부족
5# 질병과정과 관련된 지식 부족
3) 간호과정
#1. 식욕 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밥맛도 없고 아무것도 먹기 싫어요”
입원 당시 168cm 53Kg로 저체중을 보인다. (BMI: 18.78)
밥공기의 1/3만 드신다.
간호 진단
식욕 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기대되는 결과
[단기 목표]
매주 0.5kg의 체중이 증가한다.
더 이상 체중이 감소되지 않는다.
대상자는 2/3이상 밥을 먹는다.
[장기 목표]
영양 요구에 대해 이해하고 적절한 식이요법에 대해 3가지 말할수 있다.
간호 중재
간호 계획
1. 매일 몸무게를 측정 한다.
2. 1일 요구되는 적절한 비타민을 포함하여 균형잡힌 고탄수 화물, 저 단백식이를 제공한다.
3. 대상자의 식욕을 돋구는 환경과 식이를 계획한다.
4. 식사전에 구강 간호를 해준다.
5.소량씩 자주 음식을 제공하고, 환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6. 대상자와 가족을 교육 한다.
이론적 근거
1. 대사요구량을 충족 시키지 못하면 체중이 감소 된다.
2. 부족한 영양을 보충할 수 있고, 간에 무리를 주지 않는 저단백식이를 제공한다.
3. 식욕이 저하된 대상자의 식욕을 돋구면 섭취가 증가되고, 영양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
4. 구강 위생은 미각을 증진 시킨다.
5. 대상자가 대사요구에 맞는 식이섭취를 유지 증진하기 위함이다.
6. 대상자가 퇴원후에도 적절한 식이요법을 할수 있도록 하기위함이다.
간호 수행
1. 매일 같은 시간에 몸무게를 측정 하였다.
(10월 2일: 52.5 Kg/ 3일: 53Kg/ 4일: 53.2Kg/ 5일: 53.5Kg/ 6일53.5Kg/ 7일: 53.7Kg 8일: 54Kg/ 9일: 54Kg/ 10일:54Kg/ 11일54.5Kg)
2. 저단백식이를 제공하였다.
3. 깨끗하고 상쾌한 환경을 유지 하게 하였다.
4. 구강청결제를 사용하거나 칫솔질로 입안을 깨끗하게 하였다.
5. 소량씩 음식을 제공하고 대상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6. 대상자와 가족을 교육 하였다.
(식사전 구강간호, 깨끗한 환경제공, 소량씩 자주 음식 섭취 저 단백 식이)
간호 평가
10월 11일 체중이 54.5Kg으로 증가 하였다.
대상자는 3/2이상의 밥을 먹는다.
영양 요구에 대해 이해하고 적절한 식이요법에 대해 3가지 말하였다. (식사전 구강간호, 깨끗한 환경제공, 소량씩 자주 음식 섭취 저 단백 식이)
#2. 간성복수와 관련된 체액 과다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다리랑 배가 너무 부어올라서
힘들어..”
“배가 부어 올라서 그런지
답답해”
전신 부종이 관찰된다.
10월 1일 전해질 변화가 나타났다. ( Na :140 mmol/L
K ▼ : 2.8 mmol/L)
10월 3일 AC:82.2로 측정된다.
10월 3일 I/O 3일1400/850으로 배설량 보다 섭취량이 많다.
간호 진단
간성 복수와 관련된 체액 과다
기대되는 결과
[단기 목표]
10일 뒤 혈청 나트륨과 칼륨이 정상 수준을 유지한다.
복부 둘레가 감소한다.
[장기 목표]
대상자와 가족이 건강문제에 대한 관리방법을 5가지 말할수 있다.
간호 중재
간호 계획
1.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2. 수분섭취를 제한한다.
3. 저염식이를 제공한다.
4. 처방된 이뇨제를 투여한다.
5. 반 좌위를 취해준다.
6.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7. 대상자와 가족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1. 배설량보다 섭취량이 많을 때 과도한 수분이 조직에 남게 된다.
2. 부종 형성을 제한 하고 조직으로부터 과잉수분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3. 염분의 과다 섭취는 조직내로 수분을 축적하게 한다.
4. 부종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5. 복수로 인한 호흡곤란을 완화 시켜주기 위함이다.
6. 침상안정은 배뇨를 용이하게 하여 복수를 완화 시킨다.
7. 대상자와 가족이 퇴원후에도 적절한 관리법과 식이요법을 수행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간호 수행
1. 매일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 하였다.
( 3일1400/850 4일1000/2400 5일1500/1600 6일1400/2300 7일1800/2500
8일1700/2150 9일1550/1400 10일1400/1900 11일2500/2800 )
3. 저염식이를 제공해 주었다.
4. 처방된 이뇨제를 투여 해주었다.
(Aldactone Tab, Lasix Tab을 경구로 투여)
5. 복수로 인해 호흡이 곤란 할때 앉아 있도록 교육 하였다.
6. 배뇨를 위해 침상안정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7. 대상자와 가족을 교육 하였다.
(매일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고 기록하기, 이뇨제 치료식이제한, 특히 나트륨 제한)
간호 평가
전체적인 부종은 육안적으로 빠져 보였다.
10월 11일 AC: 78.5로 줄어 들었다
10월 11일 전해질 수치가 정상 이었다.
( Na :136 mmol/L K : 3.6 mmol/L)
대상자와 가족이 다음을 설명 할 수 있었다.
(매일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고 기록하기, 이뇨제 치료식이제한, 특히 나트륨 제한)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2.12.28
  • 저작시기201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1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