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K-pop의 정의
2. 특정 선율이 반복되는 후크송적 면모
3. 트렌디한 안무와 멜로디
4. 마케팅 전략
5. 혹독한 훈련을 통한 완성도 높은 작품 완성 추구
6. 정책적 지원
7. 팬덤의 영향력
2. 특정 선율이 반복되는 후크송적 면모
3. 트렌디한 안무와 멜로디
4. 마케팅 전략
5. 혹독한 훈련을 통한 완성도 높은 작품 완성 추구
6. 정책적 지원
7. 팬덤의 영향력
본문내용
간의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문화로 자리 잡았다. 이렇게 팬들은 자발적으로 소비를 하는 팬슈머(Fansumer)가 되어 아티스트들의 굿즈와 상품을 소비하며 더 나아가 아티스트 및 소속사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이에 점차 한국 아티스트와 소속사, 기획회사는 K팝 팬을 하나의 자산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으며 오늘날 K-pop 관련 기획사, 소속사는 새로운 팬덤 경제(Fandom Economy)를 또 다른 성장 전략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도를 지속하고 있다. 이렇게 전 세계적인 팬덤은 K-pop을 이끄는 성장 동력이자 자산이다. 한국국제교류재단과 외교부는 2020년, ‘2020 지구촌 한류 현황’ 백서를 제작했다. 2020년 9월 기준, 전 세계 한류 동호회 수는 1,835개에 달하며 한류 팬 수는 1억 500여만 명에 달한다. 이는 2015년 3,500만 명에서 대략 3배 늘어난 수치이다. 그리고 팬덤 경제의 규모는 7조 9,000억 원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일반 음원 시장의 규모가 2013년에서 2019년 사이 연평균 5.7%씩 감소하였으나 K-pop 음반 시장 규모는 연평균 28%씩 증가하여 타 음반 시장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성장하고 있다.
추천자료
[K-POP]아시아를 넘어 미국, 유럽으로 뻗어나가는 K-pop의 모든 것 - 신한류를 이끄는 케이팝...
한류의 인터넷 활용
글로벌기업으로써의 성공 사례,YG엔터테인먼트,와이지엔터테인먼트,YG분석
신한류 K-POP(케이팝)의 현황과 K-POP의 성공요인
SM엔터테인먼트 해외진출 마케팅사례분석과 SM엔터테인먼트 중국시장진출 성공전략 제안
K-POP의 국가별 열풍 현황과 향후전략
[사업분석] 이마트 사업 계획서 - 동남아 해외 진출 전략 {이마트 SWOT 분석, STP 분석, 성공...
에잇세컨즈 성공요인과 SWOT분석및 에잇세컨즈 마케팅 4PSTP분석및 향후전략 아이디어제시에...
K-POP의 해외 진출 성공 요인 분석 - 소녀시대를 중심으로
[보고서]한국현대문화(K-POP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