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묘호란의 정의
2. 광해군 시기
3. 인조 즉위와 향명배금정책
4. 정묘호란 발발과 전개
5. 정묘호란의 결과
2. 광해군 시기
3. 인조 즉위와 향명배금정책
4. 정묘호란 발발과 전개
5. 정묘호란의 결과
본문내용
의주, 평양 등을 함락시키고 파죽지세로 한양까지 진격하였다. 이에 인조 및 조선 조정은 강화도로 피난하였다.
5. 정묘호란의 결과
정묘호란이 발발하자 조선군은 격렬히 저항하였으며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 후금군을 괴롭혔다. 실제 평안북도 철산에서는 정봉수가, 용천에서는 이립이 거병하여 후금과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기도 하였다. 한창 명나라와 전쟁 중이던 후금은 조선이 배후를 공격할 것을 염려하여 강화를 제의하였으며 1627년 4월, 조선은 이를 받아들여 후금과 정묘약조(丁卯約條)를 맺었다. 정묘약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ㆍ정묘약조(丁卯約條)의 내용
- 후금군은 평산(平山)을 넘어서지 않을 것
- 맹약 후 후금군은 즉시 철병할 것
- 후금군은 철병 후에 다시는 압록강을 넘어오지 않을 것
- 양국은 형제국으로 칭할 것(형제맹약, 兄弟盟約)
- 조선은 후금과 맹약을 맺되 명나라에 적대하지 않을 것
후금은 조선과 그다지 유리한 조건이 아닌 조약을 맺으며 강화를 체결하였는데 그 이유는 명나라와의 계속된 전쟁 상황에서, 많은 수의 군대를 조선에 묶어 두는 것이 부담스러웠으며 조선과의 강화를 통해 명과의 전쟁 과정에서 배후를 안정시키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5. 정묘호란의 결과
정묘호란이 발발하자 조선군은 격렬히 저항하였으며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 후금군을 괴롭혔다. 실제 평안북도 철산에서는 정봉수가, 용천에서는 이립이 거병하여 후금과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기도 하였다. 한창 명나라와 전쟁 중이던 후금은 조선이 배후를 공격할 것을 염려하여 강화를 제의하였으며 1627년 4월, 조선은 이를 받아들여 후금과 정묘약조(丁卯約條)를 맺었다. 정묘약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ㆍ정묘약조(丁卯約條)의 내용
- 후금군은 평산(平山)을 넘어서지 않을 것
- 맹약 후 후금군은 즉시 철병할 것
- 후금군은 철병 후에 다시는 압록강을 넘어오지 않을 것
- 양국은 형제국으로 칭할 것(형제맹약, 兄弟盟約)
- 조선은 후금과 맹약을 맺되 명나라에 적대하지 않을 것
후금은 조선과 그다지 유리한 조건이 아닌 조약을 맺으며 강화를 체결하였는데 그 이유는 명나라와의 계속된 전쟁 상황에서, 많은 수의 군대를 조선에 묶어 두는 것이 부담스러웠으며 조선과의 강화를 통해 명과의 전쟁 과정에서 배후를 안정시키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추천자료
대한생명 레포트
나의_인간관계에_대한_분석_레포트
독일문화에대한레포트
[2016최신A+자료]간디의생애_간디의생애와 비폭력불복종운동_[간디의비폭력불복종, 간디의비...
2017년 2학기 한국정부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부 정책 과정에서 시민참여 활성화 방안)
2017년 2학기 전근대한일관계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18세기 한일관계사 사적지)
2018년 2학기 전근대한일관계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18세기 한일관계사 사적지)
2019년 2학기 전근대한일관계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18세기까지의 한일관계 사적지)
2019년 2학기 한국정부론 중간시험과제물 E형(김영란법의 취지 및 주요내용 정리)
2019년 2학기 한국정부론 중간시험과제물 D형(시민사회단체가 사회자본에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