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영미드라마 ) the real inspector hound라는 소설을 읽고 자유주제 작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영미드라마 ) the real inspector hound라는 소설을 읽고 자유주제 작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the real inspector hound’에서의 극중극
2) 다양한 콘텐츠에서의 극중극
3) 추리물의 장르적 특성과 극중극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There is no game’에서는 게임 내에 이름 그대로 ‘극중극’이라는 에피소드를 포함했다. 즉 게임 안에 게임이 있는 것이다. 그 틀이 되는 바깥의 게임에서 개발자 역할을 하는 캐릭터와 소통을 하면서 내부의 게임을 플레이해 나가게 되는 것이다. 특히 게임 화면을 넘기면 드라마 세트장의 뒷면과 같은 화면이 나오거나, 개발자의 코딩 화면이 노출되는 등의 묘사로 사용자가 마치 게임 개발에도 참여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냈다. 문학작품의 경우 관중은 내용의 바깥에서 바라보기만 하지만, 게임의 경우 사용자로써 콘텐츠 개입도가 높기 때문에 개발자와 직접 소통하는 것 같은 형식으로써 더 큰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연극에서와 마찬가지로 게임에서 존재하는 개발자와 사용자라는 이중적 구조에서 둘 사이의 간극을 허물고 해체하는 모습을 보인다.
3) 추리물의 장르적 특성과 극중극
추리물은 장르 특성상 관객의 집중력을 유발한다. 관객은 작품을 보면서 작품 내에서 발생한 사건의 용의자를 색출하고 범인을 판별해내기 위해 적극적으로 추리에 임하게 되기 때문이다. ‘the real inspector hound’에서 내부 극으로 쓰인 작품은 쥐덫(Mousetrap)을 연상시킨다. ‘쥐덫’은 영국의 대표적인 추리소설 작가인 아가사 크리스티가 쓴 단편과 희곡을 바탕으로 제작된 연극이다. 해당 소설은 거센 폭설이 내린 날 여관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을 다루고 있다. 외부인이 드나들기 어려운 고립된 현장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으로 관객들은 자연스레 등장인물 사이에서 범인을 유추해내려 몰입하게 된다.
추리물 안에서 범인이 누구인지 정체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극 줄거리가 범인을 맞추기 위해 전개되는 작품을 통틀어 ‘후더닛(who done it)’라고 분류한다. 이 장르는 아가사 크리스티가 주도적으로 발전시켰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아가사 크리스티는 소설에서 사건 현장을 설정할 때 외부인이 출입하기 어려운 고립된 상황으로 설정했는데, 이는 이미 등장한 등장인물 사이에서 범인을 찾아낼 수 있도록 유도한 것이었다. 외부인이 범인일 가능성이 생기면 극 몰입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the real inspector hound’의 내부 극에서도 고립된 상황에서 시체가 발견되었다. 관객들은 극 설정과 전개에 따라 자연스럽게 시체의 신원이 누구일지, 등장인물 중 범인은 누구일지 추리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와중에 극중극 기법으로 외부극의 평론가들이 내부 극에 개입하고, 시체는 내부극의 등장인물, 드러지 부인의 남편이 아닌, 외부 극에서 평론가가 계속 언급하고 찾던 힉스인 것으로 밝혀진다. 이에 평론가들도 용의자로 지목되고, 관객들은 극 외부에서 외부인으로서 극을 관람하고 비평한다고 생각했던 평론가까지도 살인사건의 용의선상에 두고 추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the real inspector hound’는 관객의 적극적인 개입과 추리를 유도하는 후더닛 장르만의 장르적 특성과 연극과 현실 간의 경계를 뛰어넘는 극중극 기법을 함께 적용했다. 살인사건은, 심지어 고립된 상황에서의 살인사건은 일반적으로 자주 발생하는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인위적인 연극적 요소로 여겨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극중극 기법을 통해 연극 바깥의 등장인물들을 살인사건에 피해자와 용의자로 개입시킴으로써 관객들은 마치 현실 세계의 사람이 범죄를 당한 것 같은 느낌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관객들은 실제 살인사건의 범인을 추리하는 것과 같이 연극의 추리에 더 적극적으로 몰입할 수 있게 된다. 즉 ‘the real inspector hound’는 후더닛 장르와 극중극 기법을 결합시킴으로써 관객의 몰입을 극대화한 작품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3. 결론
연극을 구성, 연출하는 요소는 배우, 관객, 소품, 대본 등으로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극중극 기법은 연극의 기본이 되는 구조, 극 무대와 관객으로 구분되는 틀을 해체하고, 현실세계와연극의 허구간의 경계를 허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극 안에 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연극의 소재로 연극을 사용하는 것이 필연적인데, 이 과정에서 연극 자체를 비판하는 자성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도 극중극 기법의 특징 중 하나로 살펴볼 수 있었다.
여기서 더 나아가 극중극 기법은 연극에서 뿐만 아니라 전혀 새로운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이 과정에서 동일한 기법이더라도 콘텐츠마다 그 특성에 따라 전혀 다른 효과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연극에서는 허구와 현실의 경계를 허문다는 점에서 관객의 개입을 유도한 반면, 드라마는 이미 결론지어진 이야기를 내부 이야기로 사용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이야기와 동떨어져 있다는 인상을 주는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다른 문학작품뿐만 아니라 전혀 다른 분야인 게임 콘텐츠에서도 활발히 활용되고 있었다. 게임 콘텐츠에서는, 사용자 개입의 정도나 자율성이 크기 때문에 연극에서보다 더 적극적으로 극중극 기법을 활용할 수 있었다. 즉, 게임 내용뿐만 아니라 개발에까지 관여할 수 있다는 것을 표현하여 보여줌으로써 게임 사용자들의 관심을 이끌었다. 이외에도 애니메이션, 영화, 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에서 극중극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극중극은 셰익스피어의 희곡에서도 사용됐을 정도로 그 역사가 깊다. 고전적인 연극적 기법임에도 불구하고 현대에서도 다양한 콘텐츠로 활용되면서 그 활용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장시키고 있으며, 새로운 장르를 개척해나가고 있다는 것을 알아볼 수 있었다.
4. 참고문헌
톰 스토파드의 <진짜 하운드 경위>(1968)에 나타난 제시적 연극 기법 연구, 주지희, 한양대학교, 2012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5838
극중극의 특성 및 그 의미에 대한 연구, 이용복, 한국연극학회, 2012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112527
The Real Inspector Hound의 극중극 기법과 서술적 재현 방식 연구, 김현주,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13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3.01.05
  • 저작시기202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25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