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안쪽에 접어 넣어 실크핀으로 고정 시키면 완성된다.
43. 핀업 구성의 기초패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수평선: 시선은 수평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거기에 맞춘 라인
② 수직선: 리듬감, 움직임과 변화를 느낄 수 있다.
③ 사선: 리드미컬하고 움직임을 느낄 수 있다.
④ 격자구성: 수평, 수직선을 크로스 시킨 것에 의한 것으로 변화와 박력을 느낄 수 있다.
44.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효과에 속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상품 디자인에 맞는 관련 상품과의 조화
② 상품이미지의 비교효과를 노린 색상, 소재, 유행의 유사성 조화
③ 상품이미지에 맞는 디자인 소품 등의 소도구와의 조화
④ 상품 이미지의 배경효과를 노린 대비상품과의 조화
45. 다음이 설명하는 것을 고르시오
- 입체감이 있고, 상품의 이미지도 잘 알 수 있다.
- 디자인, 실루엣을 잘 알 수 있다.
- 자신에게 맞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 손에 만지면서 볼 수가 없다.
- 너무 많이 놓아두면 압박감이 있다.
- 바꿔 입히기가 힘들다.
① 레이아웃 ② 효과 ③ 스페이싱 ④ 그루핑
46. 상품을 살 때 소비자의 심리 과정을 나타낸 아이드마(AIDMA)의 법칙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A ATTENTION(주목) A AWARENESS(주지) 앗! 저게 뭐야!
② I INTEREST(흥미) I INTEREST(흥미) 에, 좋다, 정말 멋져
③ D DESIRE(욕망) E EVALUATION(평가) 사버릴까?
④ M MEMORY(기억) T TRIAL(시험하다) 입어볼까?
47. 디스플레이 연출 시 각 계절 이미지에 따른 칼라 톤을 정하는데 있어서 겨울에 주로 사용하는 톤은?
① 페일 톤 ② 스모키, 덜 톤 ③ 딥, 다크 톤 ④ 그레이쉬 톤
48. 기획을 디자인한 회사와 공용으로 디스플레이를 행할 경우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한 내용으로 올바르지 못한 것은?
① 디자인 회사측과 의뢰주의 요구를 잘 이해한 후 기획서나 디자인 그림, 이미지, 형태 등을 작성하고 준비한 프리젠테이션을 행한다.
② 기획 및 디자인을 결정하면 사용물이나 수량을 발주하고 제작 도중 미비한 점이 있으면 코디네이션 과정에서 수정작업을 해야 한다.
③ 현장에서는 데코레이터 등의 스텝 테마나 기획, 디자인의 계획도를 확실히 전해 제시하여야 한다.
④ 전반적인 데코레이션 과정 작업이 끝나면 전체적으로 잘 어울릴 수 있도록 코디네이션 작업으로 마무리 하도록 한다.
49. 상품의 풍부함을 선보이는 컬러 전개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옷걸이에 상품을 나열할 때 무채색의 것은 사이에 섞이지 않도록 구석에 정리하는 쪽이 좋다.
② 중화감을 느끼는 색은 구석(후방)에 가볍게 느껴지는 색은 손앞(전면)에 놓는 것이 좋다.
③ 컬러 변화 전개를 하고 싶지만 여러 가지 디자인의 옷을 같은 옷걸이에 어떻게 해도 걸지 않으면 안될 경우는 길이가 짧은 것부터 손앞에서 구석으로 거는 쪽이 좋다.
④ 디자인이 다른 것을 같은 옷걸이에 걸친 나열을 할 경우 먼저 각각을 가벼운 색에서 무거운 색으로 나눈 후 디자인별로 나누어 전개 하는 것이 좋다.
50. 오감에 의한 VMD연출 시 후각 마케팅에 관한 내용중 틀린 것은?
① 봄에는 주로 소나무 향을 사용해 개방적 분위기를 연출 한다.
② 여름에는 후레쉬한 레몬 향 등을 이용해 시원한 분위기를 유도 한다.
③ 가을에는 헤이즐넛 등 은은한 향을 이용해 분위기를 연출한다.
④ 겨울에는 삼림욕 향 등을 이용해 상쾌한 매장 이미지를 연출 해 준다.
색채와 조명(10문항)
51. 색채학의 여러 가지 접근법 중 개인의 주관적인 감정이나 과거의 경험에 의한 기억과 연상작용, 색채의 반응에 대한 활동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어느 접근법인가?
① 화학적 접근법 ② 심리학적 접근법 ③ 미학적 접근법 ④ 물리학적 접근법
52. 색의 물리학적 분류에 의한 종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면색 ② 표면색 ③ 공간색 ④ 색광색
53. 빛의 특성과 작용중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산란의 특수한 형태
-매끈한 물체의 표면에 도달한 광자가 벽에 부딪치고 튕겨나가는 공처럼 이동방향을 바꾸어 되돌라가는 것
① 반사 ② 흡수 ③ 굴절 ④ 산란
54. 색의 3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색상 ② 명도 ③ 톤 ④ 채도
55. 색의 3요소 중 사람의 일반적인 건강상태에서는 어떤 요소의 구별이 가장 뛰어 날까?
① 색상 ② 명도 ③ 톤 ④ 채도
56. 아래의 공식은 누구의 색채조화론 공식인가?
미도(M) = 질서의 요소 (O) / 복잡한요소(C)
① JOHANNES ITTEN ② FAVER BIRREN ③ MOOM & SPENCER ④ JUDD
57. 주위의 보색이 중심의 도안에 겹처 보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색음현상 ② 채도대비 ③ 동화현상 ④ 색상대비
58. 한국의 오정색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적색 ② 황색 ③ 청색 ④ 녹색
59. 조명방식에 의한 조명의 분류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직접조명 ② 천장직부형조명 ③ 확산조명 ④ 반직접조명
60. 다음 중 조명계획의 전계과정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적정조도 기준에 의거하여 전체 실내부 공간의 적정조도 설정
② 조명의 연색성, 재료의 색과 질감에 따른 빛의 반사율에 따라 조명의 효과 고려
③ 조명기구를 선정함에 있어 시중에 판매되는 기존 기구가 아닐 경우 직접 디자인하여 제작 의뢰함
④ 조명설계에 있어서 기구의 선택은 별로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아도 무방함
답: 1-3, 2-2, 3-2, 4-1, 5-3, 6-1, 7-2, 8-4, 9-2, 10-3, 11-2, 12-1, 13-1, 14-3, 15-2, 16-1, 17-4, 18-3, 19-2, 20-1, 21-4, 22-3, 23-2, 24-4, 25-2, 26-1, 27-2, 28-4, 29-3, 30-4, 31-1, 32-4, 33-2, 34-3, 35-1, 36-4, 37-3, 38-2, 39-1, 40-2, 41-3, 42-2, 43-2, 44-2, 45-3, 46-3, 47-3, 48-4, 49-4, 50-1, 51-2, 52-4, 53-1, 54-3, 55-2, 56-3, 57-1, 58-4, 59-2, 60-4
43. 핀업 구성의 기초패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수평선: 시선은 수평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거기에 맞춘 라인
② 수직선: 리듬감, 움직임과 변화를 느낄 수 있다.
③ 사선: 리드미컬하고 움직임을 느낄 수 있다.
④ 격자구성: 수평, 수직선을 크로스 시킨 것에 의한 것으로 변화와 박력을 느낄 수 있다.
44.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효과에 속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상품 디자인에 맞는 관련 상품과의 조화
② 상품이미지의 비교효과를 노린 색상, 소재, 유행의 유사성 조화
③ 상품이미지에 맞는 디자인 소품 등의 소도구와의 조화
④ 상품 이미지의 배경효과를 노린 대비상품과의 조화
45. 다음이 설명하는 것을 고르시오
- 입체감이 있고, 상품의 이미지도 잘 알 수 있다.
- 디자인, 실루엣을 잘 알 수 있다.
- 자신에게 맞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 손에 만지면서 볼 수가 없다.
- 너무 많이 놓아두면 압박감이 있다.
- 바꿔 입히기가 힘들다.
① 레이아웃 ② 효과 ③ 스페이싱 ④ 그루핑
46. 상품을 살 때 소비자의 심리 과정을 나타낸 아이드마(AIDMA)의 법칙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A ATTENTION(주목) A AWARENESS(주지) 앗! 저게 뭐야!
② I INTEREST(흥미) I INTEREST(흥미) 에, 좋다, 정말 멋져
③ D DESIRE(욕망) E EVALUATION(평가) 사버릴까?
④ M MEMORY(기억) T TRIAL(시험하다) 입어볼까?
47. 디스플레이 연출 시 각 계절 이미지에 따른 칼라 톤을 정하는데 있어서 겨울에 주로 사용하는 톤은?
① 페일 톤 ② 스모키, 덜 톤 ③ 딥, 다크 톤 ④ 그레이쉬 톤
48. 기획을 디자인한 회사와 공용으로 디스플레이를 행할 경우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한 내용으로 올바르지 못한 것은?
① 디자인 회사측과 의뢰주의 요구를 잘 이해한 후 기획서나 디자인 그림, 이미지, 형태 등을 작성하고 준비한 프리젠테이션을 행한다.
② 기획 및 디자인을 결정하면 사용물이나 수량을 발주하고 제작 도중 미비한 점이 있으면 코디네이션 과정에서 수정작업을 해야 한다.
③ 현장에서는 데코레이터 등의 스텝 테마나 기획, 디자인의 계획도를 확실히 전해 제시하여야 한다.
④ 전반적인 데코레이션 과정 작업이 끝나면 전체적으로 잘 어울릴 수 있도록 코디네이션 작업으로 마무리 하도록 한다.
49. 상품의 풍부함을 선보이는 컬러 전개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옷걸이에 상품을 나열할 때 무채색의 것은 사이에 섞이지 않도록 구석에 정리하는 쪽이 좋다.
② 중화감을 느끼는 색은 구석(후방)에 가볍게 느껴지는 색은 손앞(전면)에 놓는 것이 좋다.
③ 컬러 변화 전개를 하고 싶지만 여러 가지 디자인의 옷을 같은 옷걸이에 어떻게 해도 걸지 않으면 안될 경우는 길이가 짧은 것부터 손앞에서 구석으로 거는 쪽이 좋다.
④ 디자인이 다른 것을 같은 옷걸이에 걸친 나열을 할 경우 먼저 각각을 가벼운 색에서 무거운 색으로 나눈 후 디자인별로 나누어 전개 하는 것이 좋다.
50. 오감에 의한 VMD연출 시 후각 마케팅에 관한 내용중 틀린 것은?
① 봄에는 주로 소나무 향을 사용해 개방적 분위기를 연출 한다.
② 여름에는 후레쉬한 레몬 향 등을 이용해 시원한 분위기를 유도 한다.
③ 가을에는 헤이즐넛 등 은은한 향을 이용해 분위기를 연출한다.
④ 겨울에는 삼림욕 향 등을 이용해 상쾌한 매장 이미지를 연출 해 준다.
색채와 조명(10문항)
51. 색채학의 여러 가지 접근법 중 개인의 주관적인 감정이나 과거의 경험에 의한 기억과 연상작용, 색채의 반응에 대한 활동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어느 접근법인가?
① 화학적 접근법 ② 심리학적 접근법 ③ 미학적 접근법 ④ 물리학적 접근법
52. 색의 물리학적 분류에 의한 종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면색 ② 표면색 ③ 공간색 ④ 색광색
53. 빛의 특성과 작용중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산란의 특수한 형태
-매끈한 물체의 표면에 도달한 광자가 벽에 부딪치고 튕겨나가는 공처럼 이동방향을 바꾸어 되돌라가는 것
① 반사 ② 흡수 ③ 굴절 ④ 산란
54. 색의 3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색상 ② 명도 ③ 톤 ④ 채도
55. 색의 3요소 중 사람의 일반적인 건강상태에서는 어떤 요소의 구별이 가장 뛰어 날까?
① 색상 ② 명도 ③ 톤 ④ 채도
56. 아래의 공식은 누구의 색채조화론 공식인가?
미도(M) = 질서의 요소 (O) / 복잡한요소(C)
① JOHANNES ITTEN ② FAVER BIRREN ③ MOOM & SPENCER ④ JUDD
57. 주위의 보색이 중심의 도안에 겹처 보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색음현상 ② 채도대비 ③ 동화현상 ④ 색상대비
58. 한국의 오정색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적색 ② 황색 ③ 청색 ④ 녹색
59. 조명방식에 의한 조명의 분류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직접조명 ② 천장직부형조명 ③ 확산조명 ④ 반직접조명
60. 다음 중 조명계획의 전계과정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적정조도 기준에 의거하여 전체 실내부 공간의 적정조도 설정
② 조명의 연색성, 재료의 색과 질감에 따른 빛의 반사율에 따라 조명의 효과 고려
③ 조명기구를 선정함에 있어 시중에 판매되는 기존 기구가 아닐 경우 직접 디자인하여 제작 의뢰함
④ 조명설계에 있어서 기구의 선택은 별로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아도 무방함
답: 1-3, 2-2, 3-2, 4-1, 5-3, 6-1, 7-2, 8-4, 9-2, 10-3, 11-2, 12-1, 13-1, 14-3, 15-2, 16-1, 17-4, 18-3, 19-2, 20-1, 21-4, 22-3, 23-2, 24-4, 25-2, 26-1, 27-2, 28-4, 29-3, 30-4, 31-1, 32-4, 33-2, 34-3, 35-1, 36-4, 37-3, 38-2, 39-1, 40-2, 41-3, 42-2, 43-2, 44-2, 45-3, 46-3, 47-3, 48-4, 49-4, 50-1, 51-2, 52-4, 53-1, 54-3, 55-2, 56-3, 57-1, 58-4, 59-2, 6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