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책 <하틀랜드>에 대해
2. 미국 사회와 한국 사회에 대해
3. 참고문헌
2. 미국 사회와 한국 사회에 대해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7살에 가진 아이였다. 그녀의 집안의 내세우지 못할 특징이라고 한다면 집안 여자들이 모두 10대 임신으로 태어났다는 것이다. 어머니 지니도, 할머니 베티도 마찬가지였다. 물론 이것이 그녀의 집안에만 해당되는 일은 아니였다. 당시 사회에서는 10대 소녀가 대학을 가는 것보다 임신을 하는 것이 더 흔한 일이었다. 하지만, 흔한 일이라고 해서 능숙하게 이겨낼 일도 아니었다. 아무런 준비없이 아이를 얻은 세라 스마시의 부모는 이혼을 했고, 그녀는 할머니, 사촌 등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키워졌으며, 많은 동네를 떠돌았다. 이러한 유년시절을 보낸 그녀는 가난하고 무능한 10대 엄마 밑에서 태어나게 될 아기보다 불행한 것은 없다고 생각했고, 그녀만큼은 아이를 낳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그녀가 태어난 캔자스 주는 <오즈의 마법사>의 배경이 된 곳이다. <오즈의 마법사>에서 도로시가 소용돌이 바람을 맞는 바로 그곳이다. 그곳은 끝이 보이지 않는 황무지와 같았고, 풀 한 포기 자라지 않았다. 그들이 이곳에 정착하게 된 이유는 미국의 홈스테드법 때문이었다. 서부로 가면 농지를 싼 값에 얻을 수 있다는 말에 많은 사람들이 그곳으로 이주하였지만, 그곳에는 원주민들이 살고 버젓히 살고 있었고 빈곤한 백인들은 그들의 손으로 직접 원주민들을 내쫓고 그곳을 차지해야만 했다.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나니 이번에는 도시화의 물결이 일었다. 많은 인구가 도시로 빠져나갔고, 자연스레 캔자스의 남은 세라 스마시는 고립되었다. 아무리 인구 유출을 막는 지원 정책들이 생겨난다고 해도 학생 수 감소로 인한 학교 수 감축과 같은 일은 막을 수 없었기
그녀가 태어난 캔자스 주는 <오즈의 마법사>의 배경이 된 곳이다. <오즈의 마법사>에서 도로시가 소용돌이 바람을 맞는 바로 그곳이다. 그곳은 끝이 보이지 않는 황무지와 같았고, 풀 한 포기 자라지 않았다. 그들이 이곳에 정착하게 된 이유는 미국의 홈스테드법 때문이었다. 서부로 가면 농지를 싼 값에 얻을 수 있다는 말에 많은 사람들이 그곳으로 이주하였지만, 그곳에는 원주민들이 살고 버젓히 살고 있었고 빈곤한 백인들은 그들의 손으로 직접 원주민들을 내쫓고 그곳을 차지해야만 했다.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나니 이번에는 도시화의 물결이 일었다. 많은 인구가 도시로 빠져나갔고, 자연스레 캔자스의 남은 세라 스마시는 고립되었다. 아무리 인구 유출을 막는 지원 정책들이 생겨난다고 해도 학생 수 감소로 인한 학교 수 감축과 같은 일은 막을 수 없었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