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실험설계의 목적과 유형을 설명하고 그에 따른 장단점 기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사실험설계의 목적과 유형을 설명하고 그에 따른 장단점 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비동일통제집단설계

II. 단순시계열설계

III. 복수시계열설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깊은 비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서로 매우 유사함을 보였고 연구를 위해 충분히 비교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두 방의 실험마을의 동료집단들은 조직화를 위한 특별훈련을 받았다.
참가자들은 그들이 마을에서 직면하게 될 유사한 상황을 설정해 표현(to act out dramas-역할극)할 수 있는 기회들뿐만 아니라 조직화에 관한 정보와 정부에 요구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았다.
훈련은 3일간 진행되었다. 평가와 고려된 결과변수는 동료집단의 구성원들이 집단활동을 착수하게 되는 것들과 관련된 내용이었다. 집단 활동은 그들의 상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여섯 가지 유형들이 연구되었다. 예를 들면 \"주도적 활동(active initiative)\"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능동적 노력으로 정의되거나 또는 소극적 대응(Passive response)이나 중단(withdrawal)하려는 집단구성원들에게 효과가 있는 행사(events) 등으로 정의되었다(Tandon and Brown, 1981 : 180). 평가 자료는 저널에 실렸는데 동료집단지도자들이 자신들의 초기 기술훈련이래로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는 것들이었다. 조사자들은 독자적으로 저널을 부호화해서 코딩과정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자신들의 작업과 비교했다.
[아래의 그림]은 통제집단에서 나온 수치들과 두 개의 실험집단의 수치들에 의해 \"주도적 활동\"의 숫자를 비교한 것이다. 그림에서 두 가지를 주목할 수 있다. 첫 번째는 11개의 통제집단에 의해 비교되는 바와 같이 두 실험집단의 주도성의 수처에서 극적인 차이가 있다.
이것은 특별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시켜주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는 주도성의 수치가 통제집단들 사이에서 증가하고 있다. 조사자들은 이것을 수렴(contagion)의 결과로서 설명한다. 모든 마을 들이 서로 가까이 있기 때문에 실험집단의 동료집단 구성원들에 의해 습득된 교육이 통제집단의 구성원들에게 부분적으로 상호 작용되었다. 이 사례는 복수시계열설계(multiple time-series designs)의 강점을 나타내고 있다. 순수실험(true experiments)은 평가되고 있는 이 프로그램에는 부적절하다.
[그림] 주도성과 개입의 관계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01.18
  • 저작시기202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34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