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청소년인성교육 ) 심리학에서는 적응유연성으로 이러한 차이를 설명한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청소년인성교육 ) 심리학에서는 적응유연성으로 이러한 차이를 설명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도 알만한 것들은 틀리지 않겠다는 작전으로 공부를 해나갔다.
그리고 수능 날이 되었고 시험을 치렀다. 기적은 없었다. 그러나 감사하게도 엄청난 실수도 없었다. 너무 잘하고 싶은 욕망을 채우진 못했지만, 그래도 할 만한 것은 시험장에서 다 하고 나왔고 후회도 미련도 없었던 것 같다. 그리고 대학에 합격하였다.
만약 인생 최악의 점수로 마지막 모의평가를 망치지 않았더라면 어땠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망치지는 않았더라도 분명 내 마음에 흡족한 점수는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실력이 그렇게 뛰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냥 나를 너무 후하게 평가해서 마치 뛰어난 실력이 있는 사람인 줄 착각하고 있었을 뿐이다. 그러면 아마도 수능 당일에 나의 불안은 더 심해졌을 것이고, 더 중요한 시험이니 더 당황해서 진짜 중요한 수능 시험을 모의평가처럼 봤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떨어지는 성적’이라는 좌절 상황 속에서 수학 시험은 나에게 아마 트라우마였던 것 같다. 생각만 해도 불안하고 두렵고, 그래서 수학 시험을 보는 그 순간에는 할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할 수 있는 것조차 생각해 내지 못하는 트라우마. 그런데 그 트라우마 때문에 있어서는 안 되는 상황에 직면했더니 오히려 그 트라우마를 털고 일어나 극복할 수 있었던 것 같다. 20점대의 수학 점수를 보고 울고불고 난리 치고, 그래서 더 좌절해서 나락으로 떨어질 수도 있었는데... 그때의 나는 다행히 그러지 않았고, 그냥 그 자리에 서서 뒤를 돌아보았던 것 같다. 아무 말씀 안 하시고 위로해 주신 담임 선생님과 부모님, 나의 수학 점수를 듣고 같이 깔깔 웃어주던 친구들. 그리고 막상 그 점수를 받고 보니 시험을 못 보아도 별로 큰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용감해진 나.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수학 공부를 열심히 해서 훌륭한 성적으로 꿈에 그리던 대학에 진학하는 해피엔딩은 없었지만,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해서 실수하지 않고 나만의 점수를 만들고 그 점수로 대학을 간, 그 모든 과정이 회복 유연성과 외상 후 성장 과정과 맞닿아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주환, 회복탄력성, 위즈덤하우스, 2011.03.
김춘경 공저, 상담학 사전 세트, 학지사, 2016.01.
이새봄, 황미리, 트라우마 피할 수 없다면 성장 디딤돌 삼으세요, 매일경제, 2011.07.08.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1/07/444700/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2.02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4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