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은 동아시아 전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①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은 어떠한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으며, 어떠한 특징을 갖고 있는지 설명하시오. ② 아울러 강화조약은 한국이나 동아시아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는지 서술하시오.
2. 전후 동아시아 정치사(1945년 3월~1953년 12월) 연표만들기
① 1945년부터 1953년은 전후 한중일 삼국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시기이다. 교재의 내용을 참조하여 전후 동아시아 연표를 만들어 제출하시오. ② 시중의 연표를 참고하되 자신에게 공부가 될 수 있도록 한 번에 작성하기보다는 여러 번에 걸쳐 작성하시오.
2. 전후 동아시아 정치사(1945년 3월~1953년 12월) 연표만들기
① 1945년부터 1953년은 전후 한중일 삼국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시기이다. 교재의 내용을 참조하여 전후 동아시아 연표를 만들어 제출하시오. ② 시중의 연표를 참고하되 자신에게 공부가 될 수 있도록 한 번에 작성하기보다는 여러 번에 걸쳐 작성하시오.
본문내용
시작
1946.5.3
전범재판, 일명 도쿄재판 시작
1946.11.3.
일본국 헌법 공포
1947.1.1.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 헌법 공포
1947.5.3.
일본 헌법 시행
1948.4.19.
제1대 중화민국 정부총통선거 실시. 장제스가 초대 총통에 당선.
1945.8.15.
해방
1945.9.9.
미군, 한반도 남쪽에 진주해 통치를 시작함.(미군정 시작)
1945.12.16.~26.
모스크바 3상 회의개최, 5년 시한부 조건 아래 신탁통치 결정.
1946.2.
김일성을 중심으로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발족
1946.3.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1946.5.
김규식과 여운형을 중심으로 좌우합작위원회 발족, 좌·우익이 힘을 합쳐 남북통일 임시정부 수립을 목표로 함.
1946.6.3.
이승만, 정읍에서 단독정부 수립 연설.
1947.4.3.
제주도 4.3 사건 발생
1947.12.
김구, 남한의 단독정부 수립 반대 천명.
1948.4.26.
김구, 김규식, 북한에서 남북대표자 연석회의 참석.
1948.05.14.
북한, 남한의 단독 선거에 대한 보복으로 송전을 중단함
1948.09.0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1948.10.12.
북한, 소련과 국교 수립
1948.12.23.
일본 A급 전범, 교수형.
1949.10.01.
중화인민공화국 정식으로 건국 선포
1950.06.07
북한, ‘평화적 조국통일 호소문’ 발표
1951.09.
태평양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샌프란시스코 강화회담 시작, 이 결과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체결.
1952.04.28.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발효
1953.10.01.
한미 상호방위조약 체결
1948.5.10.
5.10 총선거 실시. 38선 이남 지역 한정의 첫 민주선거.
1948.07.
대한민국 헌법, 국회 통과. 이승만과 이시영을 각각 대통령, 부통령으로 선출함.
1948.08.15.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
1948.09.28.
대한민국 정부, 남북교역중지 선언.
1949.01.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발족
1950.04.10.
대한민국 농지개혁 실시
1950.06.25.
6.25 전쟁 발발
1952.08.05.
2회 대통령 선거, 이승만 당선.
1952.12.03.
유엔 총회, \'한국전쟁 포로 중립국 이송안(인도안)\' 가결.
1953.07.27.
판문점에서 정전협정 체결, 6.25 전쟁은 정전 상태로 돌입.
1953.08.15.
대한민국 정부, 서울로 환도.
1946.5.3
전범재판, 일명 도쿄재판 시작
1946.11.3.
일본국 헌법 공포
1947.1.1.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 헌법 공포
1947.5.3.
일본 헌법 시행
1948.4.19.
제1대 중화민국 정부총통선거 실시. 장제스가 초대 총통에 당선.
1945.8.15.
해방
1945.9.9.
미군, 한반도 남쪽에 진주해 통치를 시작함.(미군정 시작)
1945.12.16.~26.
모스크바 3상 회의개최, 5년 시한부 조건 아래 신탁통치 결정.
1946.2.
김일성을 중심으로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발족
1946.3.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1946.5.
김규식과 여운형을 중심으로 좌우합작위원회 발족, 좌·우익이 힘을 합쳐 남북통일 임시정부 수립을 목표로 함.
1946.6.3.
이승만, 정읍에서 단독정부 수립 연설.
1947.4.3.
제주도 4.3 사건 발생
1947.12.
김구, 남한의 단독정부 수립 반대 천명.
1948.4.26.
김구, 김규식, 북한에서 남북대표자 연석회의 참석.
1948.05.14.
북한, 남한의 단독 선거에 대한 보복으로 송전을 중단함
1948.09.0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1948.10.12.
북한, 소련과 국교 수립
1948.12.23.
일본 A급 전범, 교수형.
1949.10.01.
중화인민공화국 정식으로 건국 선포
1950.06.07
북한, ‘평화적 조국통일 호소문’ 발표
1951.09.
태평양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샌프란시스코 강화회담 시작, 이 결과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체결.
1952.04.28.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발효
1953.10.01.
한미 상호방위조약 체결
1948.5.10.
5.10 총선거 실시. 38선 이남 지역 한정의 첫 민주선거.
1948.07.
대한민국 헌법, 국회 통과. 이승만과 이시영을 각각 대통령, 부통령으로 선출함.
1948.08.15.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
1948.09.28.
대한민국 정부, 남북교역중지 선언.
1949.01.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발족
1950.04.10.
대한민국 농지개혁 실시
1950.06.25.
6.25 전쟁 발발
1952.08.05.
2회 대통령 선거, 이승만 당선.
1952.12.03.
유엔 총회, \'한국전쟁 포로 중립국 이송안(인도안)\' 가결.
1953.07.27.
판문점에서 정전협정 체결, 6.25 전쟁은 정전 상태로 돌입.
1953.08.15.
대한민국 정부, 서울로 환도.
추천자료
태평양 전쟁-배경과 과정 및 결과
2021년 1학기 근현대일본정치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근대 동아시아 정치사 연표만들기)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근현대일본정치사 자기 힘으로 근대 동아시아 ...
2022년 1학기 근현대일본정치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근대 동아시아 정치사 연표만들기)
(방송통신대 근현대일본정치사 중간과제물)근대 동아시아 정치사(1853년-1945년까지) 연표만들기
근현대일본정치사 =) 근대 동아시아 정치사(1840년-1945년까지) 연표만들기
근현대일본정치사 =) 근대 동아시아 정치사(1840년-1945년까지) 연표만들기 2
근현대일본정치사 =) 근대 동아시아 정치사(1840년-1945년까지) 연표만들기
근현대일본정치사 ) 근대 동아시아 정치사(1853년-1945년까지) 연표만들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