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Bronchial Asthma (기관지천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Bronchial Asthma (기관지천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문헌고찰
1) Bronchial Asthma(기관지천식)의 정의
2) Bronchial Asthma(기관지천식)의 원인
3) Bronchial Asthma(기관지천식)의 병태생리
4) Bronchial Asthma(기관지천식)의 증상
5) Bronchial Asthma(기관지천식)의 진단검사
6) Bronchial Asthma(기관지천식)의 치료
7) Bronchial Asthma(기관지천식)의 간호

Ⅱ.본론
1.간호력

2.진단검사(Lab)

3.Drug

4.간호과정


Ⅲ.결론- 실습소감문
Ⅳ.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성세동이 나타날 수 있다. 4) 과량투여 : 심장정지로 인한 실신, 일시적인 완전심블록, 호흡곤란, 기립성 저혈압, 무의식배변, 요의 절박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간호평가
1.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의 균형을 유지함. (positive 500이하)
2. 대상자는 치료에 대해 이해한다고 말하였고, 적극적으로 임함.
3. 퇴원시 대상자는 안위의 증진을 표현함.
#2. 호흡확산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2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숨이 너무 차”
객관적자료
-얕고 불규칙적인 호흡 양상과 호흡시 보조근의 을 보임.
-쌕쌕거리는 천명음이 들림.
05-24
93+
05-25
93+
05-26
97+
05-27
94+
05-28
91-
-맥박산소포화도 측정결과
-후두내시경 결과
왼쪽 가성대: 가벼운 부종 보임.
간호목표
단기 1. 호흡양상이 기준선으로 돌아온다.
2. 비강캐뉼러를 제거한 후 호흡을 자연스럽게 한다.
---------------------------------------------------------------------------------
장기: 1. 통증, 호흡곤란, 피로가 없고 편안하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1. 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모니터한다.
2. 침상에서 휴식하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3. flower’s 자세로 해준다.
간호수행
1. 활력징후 모니터함.
-5월29일 10시 140/90 88 20 36.5 95%
11시 130/90 88 20 36.5 97%
12시 130/80 88 20 36.5 97%
13시 120/80 90 20 36.5 98%
2. 침상에서 휴식하고 가능한 앉아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
-활력징후 측정시 호흡곤란이나 다른 불편한 증상이 없으신지 물어보고, 침상안정 할 수 있도록 함.
-이론적근거: 무리한 활동은 호흡곤란을 초래할 수 있다.
3. flower’s 자세를 취해주고,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함.
-이론적근거:
파울러씨 체위는 침상의 각도를 지면에 45~60도로 하여 앉아있는 자세이다. 폐확장을 최대한 도울 수 있는 체위 이므로 심장질환이나 호흡기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적당하다. 또한 폐흡입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간호평가
1. 호흡양상이 기준선으로 돌아옴.
-청진시 쌕쌕거리는 천명음도 많이 줄어들었으며, 맥박산소포화도
측정결과 정상 범위 내에 유지함.
2.비강캐눌러를 제거한 후 호흡을 자연스럽게 함,
-얕고 불규칙적인 호흡양상과 보조근 사용이 줄어듦
3.퇴원후 호흡곤란이 없고 편안하다고 말함.
#3. 화학적 자극제(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흡인기)와 관련된 구강점막손상
#3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입안에 자꾸 입병이나.” “입이 자꾸 써.”
객관적자료
-설태가 끼며, 구강점막이 약간 손상된 것이 관찰됨.
- nebulizer사용 후 입을 헹구지 않는 것이 관찰됨.
간호목표
단기 1. 구강점막손상이 없어 편안감이 증진되었다고 말한다.
-------------------------------------------------------------------------------
장기: 1. 구강의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한다.
간호계획
구강위생 실천을 교육시키고, 대상자가 시범해 보이도록 한다.
2. 도움이 되는 지지를 제공한다.
간호수행
1. 대상자에게 구강 위생 간호를 교육하고 직접 직접 시범해 보이도록 함.
a. 물로 가글 하는 등의 일상적인 구강 청결법을 시범해 보임.
b.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도록 함.
c. 껌을 씹거나, 무설탕 사탕을 빨아먹게 함으로써 침 분비를 자극시키라 고 말함.
-이론적 근거:
물을 통해 입안의 수분을 유지하고, 침분비를 자극하여 음식찌꺼기가 치아에 붙는 것을 방지하여 입안 박테리아의 번식을 억제한다.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므로써 물리적인 손상이 가지않도록한다,
3. 대상자에게 도움이 되는 지지를 제공함.
a. 식사전후에 구강위생을 하도록 도움.
b. nebulizer후에 꼭 구강을 헹구거나 양치할 수 있도록 함.
c. 입술이 건조하지않도록 입술보습제를 바르도록 함.
-이론적근거:
구강위생을 통해 구강손상을 막고, nebulizer를 하고나면, 입안에 약물이 남아있어 구강점막이 손상될수있기 때문에 꼭 헹구거나 양치할 수 있도록해야한다.
간호평가
단기 1. 구강점막손상이 없어 편안감이 증진되었다고 말함.
-------------------------------------------------------------------------------
장기: 1. 구강의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함.
Ⅲ.결론- 실습소감문
처음 병원임상실습을 나갔던 성빈센트 병원과는 달리, 가족같은 간호사실 분위기에 매우 신기하고 정감이 갔다. 그런 환경에서 일을 해서 그런지 선생님들이 환자를 대하는 태도도 정이 묻어났다. 만성질환이 대부분인 내과 특성에 맞게 간호사선생님들은 입원환자의 과거력부터 현재력까지 세세히 알고계셨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과 특성상 단기 입원하고, 대신 입원하는 횟수가 많아, 2주 실습하는 우리들에게는 빨리 퇴원하는 케이스 환자를 보며 더 소통하지 못해 아쉬웠다.
평소에 어르신을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았는 데, 입원환자 대부분이 노인분들이여서 처음엔 말 걸기가 쉽지 않았는 데, 한마디걸면 열마디를 더해주시는 할머니, 할아버지 덕분에 살갑게 그분들을 대할 수 있었다. 학교에서 이론으로 간호를 공부도 어렵고, 학교성적에 매달려 계산적인 생각뿐이였는 데, 실습을 하면서 학교에서 배운 것이 다가 아니라, 임상에서는 어떤 마음자세로 환자를 대하고 간호를 해나가야 할지 더 깊이 생각하게 되는 기회가 되었다.
Ⅳ.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유승미, 김숙영 외, 성인간호학Ⅰ, (2020, 수문사, 경기도)
이강이외, 간호실무를 위한 건강사정, (2012, 현문사, 서울)
김양호외, 병리학, (2020, 현문사, 서울)
차영남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2013, 현문사, 서울)
Joyce M. Black, Jane Hokanson Hawks 저 ,이영휘 외 1명 역, 성인간호학 2 (2017, 정담미디어)
양선희, 원종순 외 3명 저 , 기본간호학2, (2020, 현문사)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23.02.14
  • 저작시기2020.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5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