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디지털 사회 갈등이란?
2) 디지털 사회 갈등의 사례
(1) 정보통신기술 확산 시기
(2) Web 2.0 시기
(3) 스마트 미디어 시기
(4) 사례를 통한 분석
3) 디지털 사회 갈등의 특징
(1) 진실성
(2) 가치, 당파성 결집
(3) 갈등의 네트워크화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디지털 사회 갈등이란?
2) 디지털 사회 갈등의 사례
(1) 정보통신기술 확산 시기
(2) Web 2.0 시기
(3) 스마트 미디어 시기
(4) 사례를 통한 분석
3) 디지털 사회 갈등의 특징
(1) 진실성
(2) 가치, 당파성 결집
(3) 갈등의 네트워크화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태다.
이러한 상황을 사전에 방비하기 위해서는 하루에도 수없이 쏟아지는 정보의 리터러시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본인의 리터러시 능력을 계발해야 한다는 뜻이다. 미심쩍은 기사가 있다면 바로 믿기 보다는 해당 사실의 진실을 규명할 수 있는 공신력을 갖춘 외부기관에서 그 근거를 찾아보고, 만약 어떠한 자극적인 정보나 사실이 거짓임을 알게 되었다면 바르게 정정한 정보를 여러 사람에게 알리는 것 또한 중요할 것이다. 인터넷의 빠른 확산력은 나쁘게 사용하면 치명적인 독이고, 바르게 사용하면 헤르메스의 신발이다.
(2) 가치, 당파성 결집
디지털 사회갈등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가치나 당파성 갈등을 꼽을 수 있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사람을 꼭 대면으로 만나지 않아도 인터넷을 통해 만난 같은 취미를 가진 사람들, 같은 성향을 지닌 사람들과 쉽게 인터넷 친구가 되고 교류를 지속할 수 있게 되었다.
이가 단순 운동 등의 건강한 취미에 한정해서 이루어지는 교우 관계이면 좋겠지만, 이러한 친목 관계는 가치관 등 대립할 수 있고 예민한 부분에 관련해서도 이루어진다. 비슷한 정치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끼리 만나 맺어지기도 하고, 심하면 자기 파괴적인 성향 등 바람직하지 못한 특징을 가진 사람들끼리도 SNS 해시태그 등을 사용하여 쉽게 친해지곤 한다. 사람을 사귀고 교류하는 법이 무척이나 쉬워진 디지털 세상인 탓이다.
이렇게 친해진 사람들은 본인들과 반대편에 서 있는 가치를 가진 사람들과 대립하게 되며, 개인과 개인 간의 갈등이 아닌 집단 간 집단 간의 갈등으로 확대되어 더욱 큰 갈등 상황을 초래한다. 같은 생각을 가치관을 지닌 사람들끼리 한 곳에 모여있다 보면 그 안에서 곪듯이, 각자의 위치에서 고착화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어느 순간으로 극화되면 그들은 반대 의견에 반박하기 위해 사실과 거짓을 무자비하게 섞어 집단들만의 최고의 무기를 만들어낸다.
(3) 갈등의 네트워크화
더불어 갈등의 네트워크 화도 디지털 사회갈등의 특징 중 하나로 꼽힐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언급되었던 화제들과 마찬가지로 문제를 쟁점화시킬 의향이 있는 사람들이 마음만 먹으면 해당 이슈들이 큰 규모로 번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은 수혈 등 도움을 구하는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시켜 좋은 방향으로 사용된다면 좋겠지만, 때로는 좋지 못한 방향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 한 번 번져나간 잘못된 소식이나 험담은 사람들의 기억에서 오래 남는다. 만약 해당 내용이 거짓이라 할지라도, 해당 이슈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없다면 악의적인 정보에 한 번 노출된 사람들은 끝까지 특정 대상에 대한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쉽게 SNS에 접속해 사람들이 많이 보는 이슈를 추천받아 살펴볼 수 있고, 이렇게 편리한 특성은 그렇게 많은 사람이 보는 정보를 더욱더 많은 사람이 보게 만든다. 사람이 사람을 낳는 셈이다.
지금까지 디지털 사회갈등이 무엇인지, 사례와 특징들을 살펴봤다. 같은 디지털 사회인데도 매체의 발달에 따라 사회갈등에 다양한 특성이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그 근본적인 특징은 변하거나 사라지지 않으리라고 전망되므로, 앞으로 벌어질 여러 사회 이슈들을 살펴볼 때도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본인이 지나친 허위 정보를 맹신하고 있는지 구분할 수 있는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
3. 결론
앞으로도 디지털 사회는 더욱 더 발전할 것이고, 그에 따라 다양한 갈등 양상이 드러나며 여러 가지 사회 문제점이 생길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기존의 문제점이나 갈등 현상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기에, 디지털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러한 사항들을 인지하고 디지털 사회갈등 상황을 바르게 볼 수 있는 안목을 키워야 한다. 진위를 판별할 수 없는 정보가 무작위로 생성되고 거짓을 쉽게 믿도록 유도하는 상황에서 본인의 주관이 흔들리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디지털 사회가 발전되었다고는 하지만 사회갈등을 예방하기 위해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하는 일과 더불어 실제 사람을 많이 만나고 개인의 역량을 키우는 데에도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 참고문헌
이원태/김종길/김희연. (2012). 디지털 사회갈등의 새로운 양상과 사회통합의 정책방향, 요약문 x~ xii page, 본문 38pg~41pg
유성운, \"마약사건보다 치명타\"…\'왕따 논란\'과 함께 사라진 걸그룹”. The JoongAng,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04837
이러한 상황을 사전에 방비하기 위해서는 하루에도 수없이 쏟아지는 정보의 리터러시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본인의 리터러시 능력을 계발해야 한다는 뜻이다. 미심쩍은 기사가 있다면 바로 믿기 보다는 해당 사실의 진실을 규명할 수 있는 공신력을 갖춘 외부기관에서 그 근거를 찾아보고, 만약 어떠한 자극적인 정보나 사실이 거짓임을 알게 되었다면 바르게 정정한 정보를 여러 사람에게 알리는 것 또한 중요할 것이다. 인터넷의 빠른 확산력은 나쁘게 사용하면 치명적인 독이고, 바르게 사용하면 헤르메스의 신발이다.
(2) 가치, 당파성 결집
디지털 사회갈등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가치나 당파성 갈등을 꼽을 수 있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사람을 꼭 대면으로 만나지 않아도 인터넷을 통해 만난 같은 취미를 가진 사람들, 같은 성향을 지닌 사람들과 쉽게 인터넷 친구가 되고 교류를 지속할 수 있게 되었다.
이가 단순 운동 등의 건강한 취미에 한정해서 이루어지는 교우 관계이면 좋겠지만, 이러한 친목 관계는 가치관 등 대립할 수 있고 예민한 부분에 관련해서도 이루어진다. 비슷한 정치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끼리 만나 맺어지기도 하고, 심하면 자기 파괴적인 성향 등 바람직하지 못한 특징을 가진 사람들끼리도 SNS 해시태그 등을 사용하여 쉽게 친해지곤 한다. 사람을 사귀고 교류하는 법이 무척이나 쉬워진 디지털 세상인 탓이다.
이렇게 친해진 사람들은 본인들과 반대편에 서 있는 가치를 가진 사람들과 대립하게 되며, 개인과 개인 간의 갈등이 아닌 집단 간 집단 간의 갈등으로 확대되어 더욱 큰 갈등 상황을 초래한다. 같은 생각을 가치관을 지닌 사람들끼리 한 곳에 모여있다 보면 그 안에서 곪듯이, 각자의 위치에서 고착화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어느 순간으로 극화되면 그들은 반대 의견에 반박하기 위해 사실과 거짓을 무자비하게 섞어 집단들만의 최고의 무기를 만들어낸다.
(3) 갈등의 네트워크화
더불어 갈등의 네트워크 화도 디지털 사회갈등의 특징 중 하나로 꼽힐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언급되었던 화제들과 마찬가지로 문제를 쟁점화시킬 의향이 있는 사람들이 마음만 먹으면 해당 이슈들이 큰 규모로 번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은 수혈 등 도움을 구하는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시켜 좋은 방향으로 사용된다면 좋겠지만, 때로는 좋지 못한 방향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 한 번 번져나간 잘못된 소식이나 험담은 사람들의 기억에서 오래 남는다. 만약 해당 내용이 거짓이라 할지라도, 해당 이슈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없다면 악의적인 정보에 한 번 노출된 사람들은 끝까지 특정 대상에 대한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쉽게 SNS에 접속해 사람들이 많이 보는 이슈를 추천받아 살펴볼 수 있고, 이렇게 편리한 특성은 그렇게 많은 사람이 보는 정보를 더욱더 많은 사람이 보게 만든다. 사람이 사람을 낳는 셈이다.
지금까지 디지털 사회갈등이 무엇인지, 사례와 특징들을 살펴봤다. 같은 디지털 사회인데도 매체의 발달에 따라 사회갈등에 다양한 특성이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그 근본적인 특징은 변하거나 사라지지 않으리라고 전망되므로, 앞으로 벌어질 여러 사회 이슈들을 살펴볼 때도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본인이 지나친 허위 정보를 맹신하고 있는지 구분할 수 있는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
3. 결론
앞으로도 디지털 사회는 더욱 더 발전할 것이고, 그에 따라 다양한 갈등 양상이 드러나며 여러 가지 사회 문제점이 생길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기존의 문제점이나 갈등 현상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기에, 디지털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러한 사항들을 인지하고 디지털 사회갈등 상황을 바르게 볼 수 있는 안목을 키워야 한다. 진위를 판별할 수 없는 정보가 무작위로 생성되고 거짓을 쉽게 믿도록 유도하는 상황에서 본인의 주관이 흔들리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디지털 사회가 발전되었다고는 하지만 사회갈등을 예방하기 위해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하는 일과 더불어 실제 사람을 많이 만나고 개인의 역량을 키우는 데에도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 참고문헌
이원태/김종길/김희연. (2012). 디지털 사회갈등의 새로운 양상과 사회통합의 정책방향, 요약문 x~ xii page, 본문 38pg~41pg
유성운, \"마약사건보다 치명타\"…\'왕따 논란\'과 함께 사라진 걸그룹”. The JoongAng,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04837
추천자료
걸프전에 관한 정리
산업혁명
[EC][EU][유럽]유럽의 통합과 확대, 유럽공동체(EC)와 유럽연합(EU)의 명칭, 유럽공동체(EC)...
[일본문학][물어문학][군기문학][일기문학][정인문학][전후문학][여성문학]일본문학과 물어문...
[현대의 서양문화 B형] 현대서양의 대중문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들 중에서 비서구 사회에도 널...
[미국외식산업의 발달사] 미국의 외식산업 발전배경 및 발전과정
(문화통합론과북한문학 공통) 월북작가 박태원과 정지용문학의 존재방식(공통점과 차이점)을 ...
[비교문학] 「문화의 수용과 변용」 - 이광수의 ‘무정(無情)’과 후타바테이 시메이의 ‘뜬구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