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질문 및 답변
1. 식물유전자원 2차 대사산물의 중요성과 이용전망을 설명하시오. (20점)
2. 유채의 성분개량 성과를 설명하시오. (15점)
3. 자원식물의 지표성분과 유효성분, 약효성분을 비교 설명하시오. (15점)
II. 참고 문헌
1. 식물유전자원 2차 대사산물의 중요성과 이용전망을 설명하시오. (20점)
2. 유채의 성분개량 성과를 설명하시오. (15점)
3. 자원식물의 지표성분과 유효성분, 약효성분을 비교 설명하시오. (15점)
II. 참고 문헌
본문내용
성분 비교
식물명
주요 유효성분
구기자
betaine, zeaxanthin, diosgenin
당귀
decursin, decursinol, decursinol angelate,
nodakenin,
umbelliferone,
imperatorin 등
산수유
loganin, morroniside등 iridoid류, ursolic acid
산약
mucilage, dioscin,
batatasin류
오미자
shizandrin, gomisin 등 lignan류, chamigrenal
의이인
coixenolide, coixol 등
작약
paeoniflorin,
oxypaeoniflorin,
albiflorin등
주요 한약재에 포함된 유효성분과 지표성분은 다음과 같다. 약효성분은 특정 지을 수 없기 때문에 제외하였다.
식물명
주요 지표성분
함유량
갈근
puerarin, daidzein
2.0%이상,
0.3% 이상
감초
glycyrrhizic acid,
liquiritigenin
2.5% 이상,
0.7% 이상
구기자
betaine
0.5% 이상
도인
amygdalin
0.5% 이상
목단피
paeonol
1.0% 이상
작약
albiflorin, paeoniflorin
합 2.3% 이상
산수유
loganin, morroniside
합 1.2% 이상
시호
saikosaponin
0.3% 이상
행인
amygdalin
3.0% 이상
황금
baicalin 등
합 10.0% 이상
황련
berberine
4.2% 이상
인삼/홍삼
ginsenoside Rg1,
ginsenoside Rb1
0.1% 이상,
0.2% 이상
3-3. 결론
약용식물의 일종인 한약재의 성분은 유효성분, 지표성분, 약효성분으로 분류된다. 유효성분은 화학적으로 규명된 성분으로 직접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며, 지표성분은 화학적으로 규명된 성분 중 약재의 품질관리를 목적으로 설정한 식물체 고유의 성분이다. 약효성분은 약리작용을 가진 성분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특정 물질로 단정 지을 수 없는 약효성분을 제외한 유효성분과 지표 분이 들어간 식물을 분석하였다.
오랜 기간 질병의 예방과 치료 목적으로 활용된 약용 식물은 천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오늘날까지 국민 보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약용, 식품, 공업용 천연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는 점에서 연구 개발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약용 식물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일은 우리의 과제이자 미래라고 볼 수 있다.
II. 참고 문헌
「식물 유전자원의 관리실태와 개선방안」. 김수석. 『농촌경제』. 2005. 28(3).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 유채 품종 개발」. 국립식량과학원. 2019.
「유채 품종 판별 및 스트레스 내성마커 개발」. 국립식량과학원. 2014.
「국내 유통 생약의 산지별 유효성분 함량 비교」. 김성근. 대구대학교 농학석사학위논문. 2010.
『식품과학사전』. 한국식품과학회. 교문사. 2012.
이차대사산물. 미생물학백과.
분자마커. 식물학백과.
유효성분.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식물명
주요 유효성분
구기자
betaine, zeaxanthin, diosgenin
당귀
decursin, decursinol, decursinol angelate,
nodakenin,
umbelliferone,
imperatorin 등
산수유
loganin, morroniside등 iridoid류, ursolic acid
산약
mucilage, dioscin,
batatasin류
오미자
shizandrin, gomisin 등 lignan류, chamigrenal
의이인
coixenolide, coixol 등
작약
paeoniflorin,
oxypaeoniflorin,
albiflorin등
주요 한약재에 포함된 유효성분과 지표성분은 다음과 같다. 약효성분은 특정 지을 수 없기 때문에 제외하였다.
식물명
주요 지표성분
함유량
갈근
puerarin, daidzein
2.0%이상,
0.3% 이상
감초
glycyrrhizic acid,
liquiritigenin
2.5% 이상,
0.7% 이상
구기자
betaine
0.5% 이상
도인
amygdalin
0.5% 이상
목단피
paeonol
1.0% 이상
작약
albiflorin, paeoniflorin
합 2.3% 이상
산수유
loganin, morroniside
합 1.2% 이상
시호
saikosaponin
0.3% 이상
행인
amygdalin
3.0% 이상
황금
baicalin 등
합 10.0% 이상
황련
berberine
4.2% 이상
인삼/홍삼
ginsenoside Rg1,
ginsenoside Rb1
0.1% 이상,
0.2% 이상
3-3. 결론
약용식물의 일종인 한약재의 성분은 유효성분, 지표성분, 약효성분으로 분류된다. 유효성분은 화학적으로 규명된 성분으로 직접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며, 지표성분은 화학적으로 규명된 성분 중 약재의 품질관리를 목적으로 설정한 식물체 고유의 성분이다. 약효성분은 약리작용을 가진 성분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특정 물질로 단정 지을 수 없는 약효성분을 제외한 유효성분과 지표 분이 들어간 식물을 분석하였다.
오랜 기간 질병의 예방과 치료 목적으로 활용된 약용 식물은 천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오늘날까지 국민 보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약용, 식품, 공업용 천연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는 점에서 연구 개발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약용 식물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일은 우리의 과제이자 미래라고 볼 수 있다.
II. 참고 문헌
「식물 유전자원의 관리실태와 개선방안」. 김수석. 『농촌경제』. 2005. 28(3).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 유채 품종 개발」. 국립식량과학원. 2019.
「유채 품종 판별 및 스트레스 내성마커 개발」. 국립식량과학원. 2014.
「국내 유통 생약의 산지별 유효성분 함량 비교」. 김성근. 대구대학교 농학석사학위논문. 2010.
『식품과학사전』. 한국식품과학회. 교문사. 2012.
이차대사산물. 미생물학백과.
분자마커. 식물학백과.
유효성분.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