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난내화설계 ) 피난로의 구성과 피난안전성 평가기법 1) 피난로의 구성을 설명해주세요 2) 피난안전성 평가기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피난내화설계 ) 피난로의 구성과 피난안전성 평가기법 1) 피난로의 구성을 설명해주세요 2) 피난안전성 평가기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피난로의 구성을 설명해주세요
2) 피난안전성 평가기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는 심리적 및 신체적 과정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피난자가 화재 및 연기가 발생한 상황에서 어떠한 심리적 변화가 나타났는지 확인할 수 있는 준거가 되었다.
③ 성능위주 설계에서 점유자 특성 및 가정: 2002년에서 미국의 건축물 구조 및 안전 코드(NFPA 5000) 2006년판에서 성능위주 설계를 위한 건물, 점유자, 비상사태 대응 요원, 기타 다른 분야의 설계 특성과 가정을 통해 점유자가 피난 상황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피난 성능평가에서 반드시 활용가능한 항목들이 제시 되어있다. 먼저 일반사항으로 설계시 점유자 특성의 선정은 관할 기관에서 승인하며, 예상 건물 수용인원을 정확하게 반영하여야 한다. 다음은 점유자 특성을 평균화 하여 점유자의 상태를 명시하여야 하며, 민감도, 반응성, 이동성, 감수성을 고려하여 점유자의 반응 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점유자가 있는 모든 방과 지역에서 최소한 한 사람은 피난통로에서 가장 먼 지점에 위치하여야 하며, 점유자가 있는 모든 방과 지역에서 최대한 많은 점유자가 있다는 가정하에 설계한다. 또한, 훈련된 보조원을 배치하여 이를 문서화하여 보조원의 능력을 수치화 할 수 있도록 한다.
④피난 설계의 평가: 피해 상황이 발생하기 이전에 건물 내 사람이 안전한 장소로 피난이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하여야 한다. 이는 공간 내부의 거주자들이 화재 발생 시 위험한 상황에 도달하는 시간과 거주자들이 피난을 완료하는 시간을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는데, 최소피난요구시간은 거주자들이 대상공간에서 피난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최소시간을 말한다. 허용가능피난시간은 화재로 인하여 위험에 도달하는 시간을 말한다. 화재에 대한 인명 안전이 달성되기 위해서는 피난요구시간이 허용가능피난시간보다 짧아야 하며, 허용가능피난시간은 점유공간 혹은 건물 내에서 화재로 인하여 견딜 수 없는 상태가 되는 시간으로 정의하므로, 피난요구시간이 허용가능피난시간보다 길어지면 건축물의 피난 안정성은 확보되지 못한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피난요구 시간은 피난 인원의 특성과 피난 경로의 효율성, 안전구획까지의 거리로 측정하며, 허용가능피난시간은 화재 전파속도와 플래시오버 도달시간, 연기층 하강시간을 통해 측정한다.
3) 참고문헌
-힌국화재보험협회, KFS 100, 피난로기준, 2018.
-김은, 화재와 피난 안전; 피난 안정성 확보를 위한 성능평가, 한국화재보험협회,2008.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2.15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63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