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본문내용
1. 데이터의 정의
- 데이터는 개별 데이터 자체로는 의미가 중요하지 않은 객관적인 사실(fact) - 추론, 예측, 전망, 추정을 위한 근거(basis)로 기능하는 특성을 갖음
- 다른 객체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가치를 찾음
2. 데이터의 유형
1) 정성적 데이터(qualitative data)
- 자료의 성질, 특징을 자세히 풀어 쓰는 방식
- 언어, 문자로 기술 (예 : 설문조사의 주관식 응답,SNS에 올린 글, 기상특보) - 비정형 데이터 형태로 저장, 분석에 시간과 비용이 필요함
2) 정량적 데이터(quantitative data)
- 수치, 기호, 도형으로 표시 (예 : 지역별 온도, 풍속, 강우량)
- 데이터 양이 증가하더라도 저장, 분석이 용이
암묵지 vs 형식지 1. 암묵지 vs 형식지
가장 널리 알려진 지식의 차원은 polanyi 에 의해 구분된 "암묵지와 형식지" 1) 암묵지
- 학습과 체험을 통해 개인에게 습득 (현장 작업과 같은 경험을 통해 습득) - 시행착오와 오랜 경험을 통해 개인에게 습득된 무형 지식
- 예) 김장김치 담그기, 자전거 타기
- 공유되기 어려움
2) 형식지
- 교과서, 매뉴얼, 비디오, DB 등으로 형상화 된 지식을 의미 - 예) 회계 재무 관련 대차대조표에 요구되는 지식의 매뉴얼 - 외부로 표출되어 여러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지식
- 데이터는 개별 데이터 자체로는 의미가 중요하지 않은 객관적인 사실(fact) - 추론, 예측, 전망, 추정을 위한 근거(basis)로 기능하는 특성을 갖음
- 다른 객체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가치를 찾음
2. 데이터의 유형
1) 정성적 데이터(qualitative data)
- 자료의 성질, 특징을 자세히 풀어 쓰는 방식
- 언어, 문자로 기술 (예 : 설문조사의 주관식 응답,SNS에 올린 글, 기상특보) - 비정형 데이터 형태로 저장, 분석에 시간과 비용이 필요함
2) 정량적 데이터(quantitative data)
- 수치, 기호, 도형으로 표시 (예 : 지역별 온도, 풍속, 강우량)
- 데이터 양이 증가하더라도 저장, 분석이 용이
암묵지 vs 형식지 1. 암묵지 vs 형식지
가장 널리 알려진 지식의 차원은 polanyi 에 의해 구분된 "암묵지와 형식지" 1) 암묵지
- 학습과 체험을 통해 개인에게 습득 (현장 작업과 같은 경험을 통해 습득) - 시행착오와 오랜 경험을 통해 개인에게 습득된 무형 지식
- 예) 김장김치 담그기, 자전거 타기
- 공유되기 어려움
2) 형식지
- 교과서, 매뉴얼, 비디오, DB 등으로 형상화 된 지식을 의미 - 예) 회계 재무 관련 대차대조표에 요구되는 지식의 매뉴얼 - 외부로 표출되어 여러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지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