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다세대가족치료 모델
(1) 자기분화, 만성불안의 원리
(2) 삼각관계
(3) 핵가족 정서체계
(4) 가족투사과정
2)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이 가족의 문제를 이해하는데 제공하는 함의
(1) 가족의 문제를 포괄적인 시야로 해석
(2) 나에게 주는 함의
3. 결론
4. 출처
2. 본론
1) 다세대가족치료 모델
(1) 자기분화, 만성불안의 원리
(2) 삼각관계
(3) 핵가족 정서체계
(4) 가족투사과정
2)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이 가족의 문제를 이해하는데 제공하는 함의
(1) 가족의 문제를 포괄적인 시야로 해석
(2) 나에게 주는 함의
3. 결론
4. 출처
본문내용
족에 내재된 불안감이 특정 자녀의 손상된 기능으로 흡수되어 역기능이 발생하는 유형이다.
(4) 가족투사과정
가족투사과정은 세대에 걸친 미분화를 하게 되는데, 분화수준이 낮은 가정일 경우에 투사하는 경향이 더욱 심하다. 해당 이론에서는 자아분화 수준이 낮은 부모가 미분화에서 오는 불안을 위에서 설명한 삼각관계를 통해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으며, 가족투사과정은 다음 세대를 희생시키면서까지 불안을 경감시키려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하였다. 더불어 이때 투사대상이 된 자녀는 최소한의 자기분화의 수준을 유지한 채로, 부모와 밀착관계를 갖게 된다.
2)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이 가족의 문제를 이해하는데 제공하는 함의
(1) 가족의 문제를 포괄적인 시야로 해석
보웬의 해당 이론은 가족을 체계로 보았다는 점에서 다른 가족치료이론과 약간의 차별점을 보이고, 더불어 분화개념을 통해 이상적인 결혼에 대해 분석하고 설명하며 정의를 내렸다는 점이 인상깊다. 보웬의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모든 가족들이 연계되어있다는 사실을 전제로 하여 가족 그 자체의 문제와 개인에 대한 문제에 대해 넓은 시야로 해석하게 만들어주는 점이 믿음직하다.
(2) 나에게 주는 함의
해당 이론을 접하기 전까지 알고 있었던 가족치료와 가족관계, 그 이론에 대한 폭이 단번에 넓어진 기분을 느낀다. 특히 가족이라고 해서 한데 뭉쳐져 있는 것이 아니라 각자 분화되어 개인의 지적 기능을 적절하게 기능하고 있는 상태가 가장 이상적인 건강상태라고 정의내린 점이 옳다고 봤다. 가족은 누구보다 가까운 존재지만 동시에 구분되고 긍정적인 부분만 시너지를 받으며 슬픔은 덜어내는 동반자의 개념에 가깝다. 어느 한 가족구성원의 부정적인 영향이 한 가족을 망가뜨리는 일은 존재해서는 안 될 것이다.
3. 결론
머리 보웬이 발전시킨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개인에 국한되어있던 시야를 가족으로 넓히는 것은 물론이요, 가족이라는 틀에 갇혀있던 시야를 다시 개인으로 분화시키는 데 지대한 공을 세운 이론이다. 문제를 더욱 다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어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가족상황을 보다 넓게 볼 수 있는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앞으로도 많은 가족치료에 응용될 것이고, 비단 가족 뿐만이 아니라 깊게 마음을 나누고 교류하는 친목집단에 대해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 출처
김용태(2000). 『가족치료이론』. 학지사
송성자(2004). 『가족과 가족치료』. 법문사
(4) 가족투사과정
가족투사과정은 세대에 걸친 미분화를 하게 되는데, 분화수준이 낮은 가정일 경우에 투사하는 경향이 더욱 심하다. 해당 이론에서는 자아분화 수준이 낮은 부모가 미분화에서 오는 불안을 위에서 설명한 삼각관계를 통해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으며, 가족투사과정은 다음 세대를 희생시키면서까지 불안을 경감시키려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하였다. 더불어 이때 투사대상이 된 자녀는 최소한의 자기분화의 수준을 유지한 채로, 부모와 밀착관계를 갖게 된다.
2)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이 가족의 문제를 이해하는데 제공하는 함의
(1) 가족의 문제를 포괄적인 시야로 해석
보웬의 해당 이론은 가족을 체계로 보았다는 점에서 다른 가족치료이론과 약간의 차별점을 보이고, 더불어 분화개념을 통해 이상적인 결혼에 대해 분석하고 설명하며 정의를 내렸다는 점이 인상깊다. 보웬의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모든 가족들이 연계되어있다는 사실을 전제로 하여 가족 그 자체의 문제와 개인에 대한 문제에 대해 넓은 시야로 해석하게 만들어주는 점이 믿음직하다.
(2) 나에게 주는 함의
해당 이론을 접하기 전까지 알고 있었던 가족치료와 가족관계, 그 이론에 대한 폭이 단번에 넓어진 기분을 느낀다. 특히 가족이라고 해서 한데 뭉쳐져 있는 것이 아니라 각자 분화되어 개인의 지적 기능을 적절하게 기능하고 있는 상태가 가장 이상적인 건강상태라고 정의내린 점이 옳다고 봤다. 가족은 누구보다 가까운 존재지만 동시에 구분되고 긍정적인 부분만 시너지를 받으며 슬픔은 덜어내는 동반자의 개념에 가깝다. 어느 한 가족구성원의 부정적인 영향이 한 가족을 망가뜨리는 일은 존재해서는 안 될 것이다.
3. 결론
머리 보웬이 발전시킨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개인에 국한되어있던 시야를 가족으로 넓히는 것은 물론이요, 가족이라는 틀에 갇혀있던 시야를 다시 개인으로 분화시키는 데 지대한 공을 세운 이론이다. 문제를 더욱 다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어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가족상황을 보다 넓게 볼 수 있는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앞으로도 많은 가족치료에 응용될 것이고, 비단 가족 뿐만이 아니라 깊게 마음을 나누고 교류하는 친목집단에 대해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 출처
김용태(2000). 『가족치료이론』. 학지사
송성자(2004). 『가족과 가족치료』. 법문사
추천자료
(심리학에게묻다, 공통)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
심리학에게묻다 2022]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의...
심리학에게묻다 2022]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의...
심리학에게묻다 2022년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
[2022 심리학에게묻다]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
심리학에게묻다 [2022]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
심리학에게묻다 = )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 다세대가족치료 모델 되물림되는 가족 문제 이...
심리학에게묻다 = )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 다세대가족치료 모델 되물림되는 가족 문제 이...
심리 - Murray Bowen에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의 문제를 이해하는데 ...
심리학 Murray Bowen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의 문제를 이해하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