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학 ) 단청의 색채를 (색채지각론, 색채체계론)적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색채학 ) 단청의 색채를 (색채지각론, 색채체계론)적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색채지각론적 분석
(2) 색채체계론적 분석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 밖에 없다. 인간이 마지막에 기댈 곳은 자연이다. 자연은 인간 존재랑 격리된 별개의 세계가 아니다. 크게 보면 우주 자체가 큰 생명체이고, 자연은 생명체의 본질이다”라고 이야기한다. 이런 법정의 생각처럼 주택 안에서 생활하면서 자연을 통하여 삶의 에너지를 받으려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는 자연이랑 조화를 이루는 전통 가옥의 색채를 만들어 낸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의 전통 가옥이 동질성이랑 정체성을 보여줬다고 해서 늘 주위 환경이랑 조화를 이룬 것은 아니다. 예나 지금이나 다를 것이 없이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 혹은 부와 권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자기를 돋보여서 사람들을 지배하려는 욕망을 가지고 있다. 이런 생각에 따라서 왕이 사는 궁궐 혹은 절에 단청을 사용했다. 다른 한편, 단청은 인간의 지배욕의 발현이기도 하였지만, 건축물을 외부 자극에서 건강하게 지켜주는 쓰임이기도 하였다. 단청은 화려한 색채 예술이다.
자연이랑 대비가 되는 화려한 색으로 이뤄져 있는 단청은 위엄을 나타내는 건물을 위한 배려였다. 단청에 나타난 색상을 확인해보면 그 속에 청, 적, 황, 흑, 백의 오방색이랑 벽색, 홍색, 녹색, 자색, 황색의 오간색을 찾아낼 수 있다.
서양의 근대건축이 순수함과 같은 특성을 강조하며 상징성에 집착하다 보니까 인간의 본성이랑 괴리가 있는, 다시 이야기를 하자면 인간이 친근하게 받아들이기 힘든 인공적인 색상을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서양의 근대 건축물에서 대체로 사람들은 편안함이랑 인간 친화적인 느낌을 받기 어려워한다.
산업화로 대표가 되는 기계주의는 인간의 심리적인 측면을 충분하게 반영하고 있지 않고, 인간이랑 인간의 관계를 중시하는 휴머니즘이 미흡하다. 유토피아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해서 우리가 받아들인 서양 근대건축을 탈피해서 이제 우리는 새로운 방향을 찾아가야 할 시점에 서 있는지도 모른다.
21세기의 감성을 중시하는 드림 소사이어티를 꿈꾼다. 이성의 형태랑 상반되는 색채는 감성적인 측면을 많이 가지고 있다. 색채에 대한 적절한 사용은 사람들의 마음을 부드럽고 편안하게 만들며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다. 색채를 환경 측면으로 적절하게 사용을 한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전통 건축에 응축이 되어 있다. 그동안은 우리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서 색채에 대한 관심을 소홀하게 했다.
따로 비용이 들지 않아도 우리는 더 좋은 환경과 생동감 넘치는 삶의 장소를 만들 수가 있다. 전통 색채를 현대의 건물에 그대로 적용을 하는 것은 많은 무리가 있다. 단청만 본다고 해도 우리가 현대사회에서 사용하기엔 자극적인 색상이라 사용하기가 어렵다. 그렇지만 우리의 전통 색채 속에 담겨있는 색채 조화의 기본 원리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전통 색채의 현대화를 이루면 문화의 독자성이랑 정체성을 정화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화의 가속화에 따라서 획일화가 되는 현대 도시를 소생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는 전통 색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요즘은 우리의 것이라고 해서 많은 사람이 우리의 색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 한복, 김치 등이 자신의 것이라고 이야기하면서 우리가 더 우리의 것임을 강조를 하며 지켜가려고 노력하고 있다. 우리의 색도 매력적이고 충분히 요즘 세대에서 이야기를 하는 “힙”한 감성이 많다. 우리가 우리의 것을 먼저 사랑을 해야 지킬 수 있는 것처럼 우리의 것을 더 많이 관심을 가지고 사용을 하며 활용을 하는 문화가 많아졌으면 좋겠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색과 삶] 단청』, 성기혁, 국민일보, 2017,04,20
-『단청색의 정서 관점에서 본 한국 현대건축의 사회적 표현』, 문정필, 사회사상과문화18권1호, 2015
  • 가격4,1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3.02.22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77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