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화사적 의미
2. 개인적인 평가
3. 참고문헌
2. 개인적인 평가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엔 모두 기상천외한 것들뿐이었다. 심지어는 고다르주의 라는 단어가 생겨났으며 평론가들의 찬사가 이어졌기도 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고다르의 영화에 환호하는 것은 아니었다. 일부의 관객들은 그의 영화를 향해 형편없는 쓰레기라고 혹평한 것도 있기 때문이다. 고다르의 영화를 살펴보면 관객들에게 친절한 편은 아니고 아주 솔직한 편이었다. 또 고다르는 영화의 ‘이야기’보다는 이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 가는가. 라는 방식’을 보다 중요하게 여긴 사람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다르는 등장인물들의 행위를 논리정연하게 설명하는 것에 많이 인색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의 배우들이 나누는 대사를 살펴보면 아무런 의미를 알 수 없는 지극히 아주 사적인 얘기들로 채워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시간과 공간의 연속이 허물어지는 것은 물론, 플롯의 비약적 전개와 상황의 희박한 개연성은 관객을 당황하게 만들곤 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영화를 감상하고 나면 ‘그래서? 어쨌다는 거지? 라고 반문하게 되는 이유도 있다.
이 영화의 배경은 세계적인 운동인 68혁명 때를 그리고 있다. 이 당시에는 유럽의 대다수 모든 나라, 미국, 남미, 아시아까지 번졌던 시대고 모든 주변 억압으로부터 해방을 얘기하는 운동이었다. 장 뤽 고다르는 영화에 있어서도 이처럼 새로운 혁명을 도입하고 싶어했다. 정부를 비판하며 칸 영화제에 참석을 하지 않겠다는 선언을 통해 틀어지게 되었다. 또 고다르의 스틸 컷을 살펴보면 프랑스가 토론의 나라인 것처럼 칸 영화제에서 돌아오는 좁아터진 차 안에서 토론장면이 폭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장면을 통해 다양한 계층 간의 생각을 들어볼 수 있는 장면이고 또 한편으론 침묵을 통해 상대적으로 잠잠해진 그 인물의 이면을 즐길 수도 있다. 영화는 혁명과 영화의 열정, 그리고 사랑하는 애인에 대한 불꽃이 타올랐다가 다시 소강, 하강하는 과정 등을 다루고 있다. 고다르는 세상에 일어나는 부조리에 대하여 인정하거나 침묵하지 않았다. 본인의 스타일을 앞세워 영화를 만들거나 본인의 목소리를 주장하는 등 소신 있고 거장다운 모습을 드러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젊은 층에서 일어나는 비판에 상처를 받기도 하였다.
그가 만드는 영화 속에 담는 것은 무엇일까? 영화 속에 나타내야 하는 가치가 현실을 과연 반영을 할지, 각박한 이 세상을 잊게 해줄 이야기를 영화에 담아야 할까?
자신의 목소리를 영화에 넣는 것과 대중의 관심에 맞는 이야기를 담아 전달하는 것. 어느 길을 과연 가는 것이 혁명이냐 또는 영화냐 라는 상황에 이어지고 있는 것일까. 우리의 삶을 살펴보면 우리 삶은 영화 같지가 않다. 그렇기에 나는 영화 속에 담긴 그의 가치관과 그의 세계가 궁금할 뿐이다.
3. 참고문헌
-장일·김예란 (2017). <대중영화의 이해>. KNOU PRESS
-제프리 노웰 스미스 저, 김경식 외 역 (2015). <세계 영화 대사전>. 미메시스
-조재홍 외 - 거름, 세계 영화 기행, 2009.
-잭 C. 엘리스/ 변재란 역, 세계 영화사, 이론과 실천, 2007.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고다르의 영화에 환호하는 것은 아니었다. 일부의 관객들은 그의 영화를 향해 형편없는 쓰레기라고 혹평한 것도 있기 때문이다. 고다르의 영화를 살펴보면 관객들에게 친절한 편은 아니고 아주 솔직한 편이었다. 또 고다르는 영화의 ‘이야기’보다는 이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 가는가. 라는 방식’을 보다 중요하게 여긴 사람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다르는 등장인물들의 행위를 논리정연하게 설명하는 것에 많이 인색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의 배우들이 나누는 대사를 살펴보면 아무런 의미를 알 수 없는 지극히 아주 사적인 얘기들로 채워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시간과 공간의 연속이 허물어지는 것은 물론, 플롯의 비약적 전개와 상황의 희박한 개연성은 관객을 당황하게 만들곤 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영화를 감상하고 나면 ‘그래서? 어쨌다는 거지? 라고 반문하게 되는 이유도 있다.
이 영화의 배경은 세계적인 운동인 68혁명 때를 그리고 있다. 이 당시에는 유럽의 대다수 모든 나라, 미국, 남미, 아시아까지 번졌던 시대고 모든 주변 억압으로부터 해방을 얘기하는 운동이었다. 장 뤽 고다르는 영화에 있어서도 이처럼 새로운 혁명을 도입하고 싶어했다. 정부를 비판하며 칸 영화제에 참석을 하지 않겠다는 선언을 통해 틀어지게 되었다. 또 고다르의 스틸 컷을 살펴보면 프랑스가 토론의 나라인 것처럼 칸 영화제에서 돌아오는 좁아터진 차 안에서 토론장면이 폭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장면을 통해 다양한 계층 간의 생각을 들어볼 수 있는 장면이고 또 한편으론 침묵을 통해 상대적으로 잠잠해진 그 인물의 이면을 즐길 수도 있다. 영화는 혁명과 영화의 열정, 그리고 사랑하는 애인에 대한 불꽃이 타올랐다가 다시 소강, 하강하는 과정 등을 다루고 있다. 고다르는 세상에 일어나는 부조리에 대하여 인정하거나 침묵하지 않았다. 본인의 스타일을 앞세워 영화를 만들거나 본인의 목소리를 주장하는 등 소신 있고 거장다운 모습을 드러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젊은 층에서 일어나는 비판에 상처를 받기도 하였다.
그가 만드는 영화 속에 담는 것은 무엇일까? 영화 속에 나타내야 하는 가치가 현실을 과연 반영을 할지, 각박한 이 세상을 잊게 해줄 이야기를 영화에 담아야 할까?
자신의 목소리를 영화에 넣는 것과 대중의 관심에 맞는 이야기를 담아 전달하는 것. 어느 길을 과연 가는 것이 혁명이냐 또는 영화냐 라는 상황에 이어지고 있는 것일까. 우리의 삶을 살펴보면 우리 삶은 영화 같지가 않다. 그렇기에 나는 영화 속에 담긴 그의 가치관과 그의 세계가 궁금할 뿐이다.
3. 참고문헌
-장일·김예란 (2017). <대중영화의 이해>. KNOU PRESS
-제프리 노웰 스미스 저, 김경식 외 역 (2015). <세계 영화 대사전>. 미메시스
-조재홍 외 - 거름, 세계 영화 기행, 2009.
-잭 C. 엘리스/ 변재란 역, 세계 영화사, 이론과 실천, 2007.
추천자료
2021년 2학기 대중영화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뉴 저먼 시네마 사조에 속하는 영화)
2022년 2학기 대중영화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프랑스 누벨바그나에 속하는 영화)
2022년 2학기 대중영화의이해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프랑스 누벨바그나에 속하는 영화)
방송대_22학년도2학기)_대중영화의이해(공통) - 본 교재 대중영화의 이해에 등장하는 영화들 ...
대중영화의 이해 등장 영화들(사진 및 참고할 영화 등 모든 영화들을 포함) 중 프랑스 누벨바...
영화의이해 ) 대중영화의 이해에 등장하는 영화들(사진 및 참고할 영화 등 모든 영화들을 포...
프랑스 누벨바그나 독일 뉴 저먼 시네마 사조에 속하는 영화 한 편을 보고, 그 영화의 영화사...
대중영화 ) 본 교재 대중영화의 이해에 등장하는 영화들(사진 및 참고할 영화 등 모든 영화들...
영화들(사진 및 참고할 영화 등 모든 영화들을 포함) 중 프랑스 누벨바그나 독일 뉴 저먼 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