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대형 경연 쇼 포맷 - 한국과 할리우드의 트렌드가 서로 가까워진 특성
(2) 댄스 경연 포맷 - 팬데믹에 발 빠르게 대응한 특성
(3) 데이팅 포맷 - 한국적 특수성을 더한 현실도피적 특성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대형 경연 쇼 포맷 - 한국과 할리우드의 트렌드가 서로 가까워진 특성
(2) 댄스 경연 포맷 - 팬데믹에 발 빠르게 대응한 특성
(3) 데이팅 포맷 - 한국적 특수성을 더한 현실도피적 특성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콘텐츠의 유형에 크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예상은 했지만 그에 한국이 가장 발 빠르게 대응하고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퍼스트 무버의 역할을 자처했을 이것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 더불어 한국과 할리우드의 트렌드가 점차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을 또한 예상치 못하였기에, 글로벌 시장을 통한 문화 교류의 힘을 생경하게 느끼게 되는 지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익숙하던 포맷을 답습하는 과정에서 한국만의 문화적 관점이 투영되고, 바로 이 지점이 기존 콘텐츠와의 차별점을 만들어냈다는 사실에서도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이 있는 콘텐츠의 방향\'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한국과 할리우드의 트렌드가 점차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은 \'포스트 TV 시대\'의 특성이라고 걸맞은 현상이 사회적으로 발현되었다는 생각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이 시대의 우리는 \'언제 어디서든지\' 각종 미디어 단말기 등을 통해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이 가능해지며 각국의 문화적 거리가 기하급수적인 빠른 속도를 자랑하며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시간적으로는 \'포스트 TV 시대\', 공간적으로는 글로벌 세계에 살고 있는 이 시대의 시청자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다. 다른 문화권의 콘텐츠가 다양하게 결합하고, 또 다른 콘텐츠와의 결합을 만들어내며 더욱더 다른 콘텐츠들을 만들어낸다. 그렇게 만들어진 콘텐츠들을 언제라도 어디에서든 소비할 수 있는 시대를 현재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텔레비전 시대 이후의 미디어는 더욱 다변화되었고, 그 영향력은 걷잡을 수 없게 되었다. 이 시대의 시청자들은 셀 수 없이 많은 종류의 미디어를 통해서 서로의 문화적 권역을 넘나드는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고, 또한 직접 만들어내기에 이르렀다. 그러면서 동일한 문화권 안으로만 향하던 시각이 밖을 향하게 되었고, 이는 이전까지는 없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화적인 현상을 반영한 콘텐츠는 계속해서 제작되어나갈 것이다. 콘텐츠와 포맷의 수출과 수입 또한 스트리밍 플랫폼을 기반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포스트 TV 시대\'의 몇 년 뒤, 문화 교류를 통한 콘텐츠 교환이 활발하게 일어난 이다음의 시대, 포스트 \'포스트 TV 시대\'를 더욱 기대하게 되는 순간이다. 그때의 우리는 기존에 문화적으로 닫힌 사고를 하던 것에서 나아가 인종, 경제, 편견 등의 주제에서 더욱 열린 토론을 하게 되고, 수십 년간 골머리를 앓아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지금보다 더욱 의미 있는 대화가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사회적 변화가 만들어지기도 하는 이야기가 전개되길 기대하며 이 글을 마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1. 포스트 TV 시대의 테레비전 시청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20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동후, 한국언론정보학보 60호, 2012
http://koreascience.kr/article/JAKO201207339088597.pdf
2. 미국진출 비즈니스전략 특화보고서 (방송분야) 제1편,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특히 한국과 할리우드의 트렌드가 점차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은 \'포스트 TV 시대\'의 특성이라고 걸맞은 현상이 사회적으로 발현되었다는 생각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이 시대의 우리는 \'언제 어디서든지\' 각종 미디어 단말기 등을 통해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이 가능해지며 각국의 문화적 거리가 기하급수적인 빠른 속도를 자랑하며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시간적으로는 \'포스트 TV 시대\', 공간적으로는 글로벌 세계에 살고 있는 이 시대의 시청자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다. 다른 문화권의 콘텐츠가 다양하게 결합하고, 또 다른 콘텐츠와의 결합을 만들어내며 더욱더 다른 콘텐츠들을 만들어낸다. 그렇게 만들어진 콘텐츠들을 언제라도 어디에서든 소비할 수 있는 시대를 현재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텔레비전 시대 이후의 미디어는 더욱 다변화되었고, 그 영향력은 걷잡을 수 없게 되었다. 이 시대의 시청자들은 셀 수 없이 많은 종류의 미디어를 통해서 서로의 문화적 권역을 넘나드는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고, 또한 직접 만들어내기에 이르렀다. 그러면서 동일한 문화권 안으로만 향하던 시각이 밖을 향하게 되었고, 이는 이전까지는 없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화적인 현상을 반영한 콘텐츠는 계속해서 제작되어나갈 것이다. 콘텐츠와 포맷의 수출과 수입 또한 스트리밍 플랫폼을 기반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포스트 TV 시대\'의 몇 년 뒤, 문화 교류를 통한 콘텐츠 교환이 활발하게 일어난 이다음의 시대, 포스트 \'포스트 TV 시대\'를 더욱 기대하게 되는 순간이다. 그때의 우리는 기존에 문화적으로 닫힌 사고를 하던 것에서 나아가 인종, 경제, 편견 등의 주제에서 더욱 열린 토론을 하게 되고, 수십 년간 골머리를 앓아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지금보다 더욱 의미 있는 대화가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사회적 변화가 만들어지기도 하는 이야기가 전개되길 기대하며 이 글을 마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1. 포스트 TV 시대의 테레비전 시청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20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동후, 한국언론정보학보 60호, 2012
http://koreascience.kr/article/JAKO201207339088597.pdf
2. 미국진출 비즈니스전략 특화보고서 (방송분야) 제1편,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추천자료
[한류][한류열풍][문화산업]한류와 문화산업의 효과, 의미, 현황과 전망 및 향후 전략 분석(...
연예오락프로그램의 성격, 연예오락프로그램의 분석항목, 섹션TV연예통신, 연예가중계, 윤도...
국내 포맷 비즈니스의 현황과 문제점
2000년대의 기술연구사업, 2000년대의 디지털기업, 2000년대의 인터넷환경, 2000년대의 인터...
방통대 중간과제 취미와 예술 A형 신관광과 구관광
(방송기획제작의 기초 3학년) 포스트 텔레비전 시대란 무엇인지 설명하고, 해외에 포맷이 수...
2022년 2학기 방송기획제작의기초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포스트 텔레비전 시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