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성] 논어에서 공자가 이야기하는 예禮와 인仁이 무엇인지 원문을 통해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사성] 논어에서 공자가 이야기하는 예禮와 인仁이 무엇인지 원문을 통해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논어에 나타난 예(禮)
(2) 논어에 나타난 의(仁)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천하가 인의 길로 돌아온다. 인을 실천하는 것은 자신의 의지에 달린 것이지 다른 사람에게 달린 것이겠느냐?” 안연이 물었다. “좀 더 구체적인 방법을 말해주십시오.” 공자가 답했다. “예가 아니면 보지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 말며, 예가 아니면 말조차 건네지 말고, 예가 아니면 행하지 말라.” 안연이 말했다. “제가 총명하지 못하지만 이 말씀을 명심하여 따르겠습니다.”(안연 1) 공자(김형찬 옮김), 『논어』, 홍익출판사, 1999,132~133쪽.
사람의 행동에는 예가 바탕이 되어 인의 길로 갈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예는 사람과의 관계를 부드럽게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예도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만든 삶의 규범이라 할 수 있다. 신정근, 『사람다움이란 무엇인가』, 글항아리, 2011, 110~119쪽.
오늘날 『논어』의 내용이 통하는 부분이 없을지라도 공자가 말한 개인이 가져야할 마음가짐과 태도는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살아가는데 의미 있는 지점이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과학과 기술의 발전은 많은 혜택을 가져다 주었지만 물질을 중시하고, 변화에 적응하는데 급급하여 가치관의 혼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문명의 발전에 따라가지 못하는 이들은 고통과 소외를 당하고 있다. 인간에게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는 것이 사람다운 것인지를 망각한 채 살아가고 있다. 어떻게 사는 삶이 사람다운 것인지, 개인을 넘어 사회 구성원으로 어떤 역할과 태도가 필요한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시기이다.
3. 결론
공자의 사상을 『논어』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공자는 형식을 중시하고, 본질보다는 외적인 것을 중시하는 당시 사회를 비판하였는데 지금의 사회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문명의 발전 또한 중요하지만 발전에 앞서 왜 발전이 필요한 것인지, 발전을 하는 과정에서 희생되고, 소외되는 것은 없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발전의 본질과 그 안에 인간의 삶에서도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공자(김형찬 옮김), 『논어』, 홍익출판사, 1999.
곽춘금, 「논어를 통해본 사람됨의 철학 -인, 효, 예를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논어, 두피디아.
신정근, 『사람다움이란 무엇인가』, 글항아리, 2011.
이미영, 「공자의 교학사상에 나타난 인성교육 연구」, 경희대학교지식, 2009.
정현희, 「공자의 인과 예 개념 연구: 논어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2.28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8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