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맥도날드가 처했던 일반환경과 산업환경 분석
1) 일반환경
2) 산업환경
① 기존기업간의 경쟁
② 대체품의 위협
③ 구매자의 교섭력
④ 공급자의 교섭력
⑤ 잠재적 진입기업의 위협
3. 맥도날드가 회생할 수 있었던 이유
1) 달러메뉴의 판매량 증가
2) 서비스와 제품의 개선 노력
3) 성공적인 마케팅
4) 신메뉴 개발
2. 맥도날드가 처했던 일반환경과 산업환경 분석
1) 일반환경
2) 산업환경
① 기존기업간의 경쟁
② 대체품의 위협
③ 구매자의 교섭력
④ 공급자의 교섭력
⑤ 잠재적 진입기업의 위협
3. 맥도날드가 회생할 수 있었던 이유
1) 달러메뉴의 판매량 증가
2) 서비스와 제품의 개선 노력
3) 성공적인 마케팅
4) 신메뉴 개발
본문내용
장 기업 3선』, 2009.04.02., 김상범
반 맥도날드 운동과 웰빙 열풍 등으로 인해 낮아진 맥도날드의 신뢰성과 위상을 회복하기 위하여 맥도날드는 매장의 수를 늘리면서 기업의 규모를 키워나가는 기존의 전략을 포기하는 대신 기존 매장의 환경을 개선하고,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와 제품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3) 성공적인 마케팅
맥도날드는 자사의 매출 증가에 가장 크게 기여를 한 달러메뉴를 소비하는 주 고객층이 흑인과 히스패닉 등 빈곤층임을 파악했다. 그들을 타겟 시장으로 잡은 맥도날드는 흑인들을 대상으로 한 광고에 유행하는 음악과 말을 사용했으며, 히스패닉이 대상인 스페인어 광고를 60% 늘리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로서 맥도날드의 주 고객층이 다른 브랜드의 제품을 소비하는 것을 저지하고, 지속적인 고객으로 남도록 하였다. 또한 슬로건 “I’m Lovin’ it.”을 채택하여 광고를 지속적으로 내보냄으로서 상표 충성도를 높여 소비자의 대체가능성을 낮추었다.
그들은 또한 사회의 비판 여론을 무시하지 않고,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맥도날드는 자사의 제품이 건강에 나쁘다는 인식을 줄이기 위해 메뉴에 샌드위치와 샐러드 등의 건강메뉴를 추가했고 대외적으로 건강메뉴를 크게 홍보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맥도날드는 나빠진 이미지를 쇄신할 수 있었다.
4) 신메뉴 개발
(전략)
2) CEO직속으로 ‘요리혁신팀’ 만들어 신상품 개발의 돌파구 마련
- 요리혁신팀은 60초 이내에 완성하는 1,800가지 요리를 직접 실험하는 등 노력
- 스낵랩, 맥카페 등 빅 히트상품 출시하여 점포당 매출액을 8.2% 증가시킴(후략) SERI 경영노트 제 1호 : 『불황기 지속성장 기업 3선』, 2009.04.02., 김상범
맥도날드는 2004년에 전사차원에서「요리혁신팀」을 신설합니다. 이것은 신상품 개발에 집중하겠다는 CEO의 의지 표명인데요. 요리혁신팀은 패스트푸드산업의 특성을 고려해 1분 안에 할 수 있는 요리로 무려 1,800여 가지를 직접 개발, 실험했습니다. 그리고 1년 만에 스낵 랩과 함께 이태리식 원두커피와 라떼 등을 즐길 수 있는 맥 카페 메뉴 같은 신메뉴들을 출시했죠. 새로운 소비자의 입맛에 맞춘 이 제품들이 빅히트를 기록하면서, 점포당 매출액이 평균 8.2% 증가했고, 그 결과 맥도날드는 새로운 성장엔진을 성공적으로 재점화할 수 있었죠. seri.org 지식/전문가 SOS, 2007.08.23., SERI 경영전략실 김상범 연구원
당시 패스트푸드 시장은 포화상태였기 때문에 대체품의 위협이 상당히 높은 상태였다. 따라서 맥도날드는 제품차별화를 통해 대체품의 위협을 줄이기 위해 신메뉴 개발에 힘썼는데, 대표적으로 샌드위치, 샐러드, 요구르트와 같은 건강메뉴와 커피를 메뉴에 추가했다. 특히 맛은 비슷하지만 가격은 저렴한 맥커피의 성공으로 맥도날드는 스타벅스와 던킨도너츠의 고객을 잠식했으며 성공을 거두었다. 이렇게 맥도날드는 지속적인 제품개발을 통해 고객들에게 선택의 폭을 타 브랜드보다 넓게 제공하여,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
반 맥도날드 운동과 웰빙 열풍 등으로 인해 낮아진 맥도날드의 신뢰성과 위상을 회복하기 위하여 맥도날드는 매장의 수를 늘리면서 기업의 규모를 키워나가는 기존의 전략을 포기하는 대신 기존 매장의 환경을 개선하고,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와 제품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3) 성공적인 마케팅
맥도날드는 자사의 매출 증가에 가장 크게 기여를 한 달러메뉴를 소비하는 주 고객층이 흑인과 히스패닉 등 빈곤층임을 파악했다. 그들을 타겟 시장으로 잡은 맥도날드는 흑인들을 대상으로 한 광고에 유행하는 음악과 말을 사용했으며, 히스패닉이 대상인 스페인어 광고를 60% 늘리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로서 맥도날드의 주 고객층이 다른 브랜드의 제품을 소비하는 것을 저지하고, 지속적인 고객으로 남도록 하였다. 또한 슬로건 “I’m Lovin’ it.”을 채택하여 광고를 지속적으로 내보냄으로서 상표 충성도를 높여 소비자의 대체가능성을 낮추었다.
그들은 또한 사회의 비판 여론을 무시하지 않고,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맥도날드는 자사의 제품이 건강에 나쁘다는 인식을 줄이기 위해 메뉴에 샌드위치와 샐러드 등의 건강메뉴를 추가했고 대외적으로 건강메뉴를 크게 홍보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맥도날드는 나빠진 이미지를 쇄신할 수 있었다.
4) 신메뉴 개발
(전략)
2) CEO직속으로 ‘요리혁신팀’ 만들어 신상품 개발의 돌파구 마련
- 요리혁신팀은 60초 이내에 완성하는 1,800가지 요리를 직접 실험하는 등 노력
- 스낵랩, 맥카페 등 빅 히트상품 출시하여 점포당 매출액을 8.2% 증가시킴(후략) SERI 경영노트 제 1호 : 『불황기 지속성장 기업 3선』, 2009.04.02., 김상범
맥도날드는 2004년에 전사차원에서「요리혁신팀」을 신설합니다. 이것은 신상품 개발에 집중하겠다는 CEO의 의지 표명인데요. 요리혁신팀은 패스트푸드산업의 특성을 고려해 1분 안에 할 수 있는 요리로 무려 1,800여 가지를 직접 개발, 실험했습니다. 그리고 1년 만에 스낵 랩과 함께 이태리식 원두커피와 라떼 등을 즐길 수 있는 맥 카페 메뉴 같은 신메뉴들을 출시했죠. 새로운 소비자의 입맛에 맞춘 이 제품들이 빅히트를 기록하면서, 점포당 매출액이 평균 8.2% 증가했고, 그 결과 맥도날드는 새로운 성장엔진을 성공적으로 재점화할 수 있었죠. seri.org 지식/전문가 SOS, 2007.08.23., SERI 경영전략실 김상범 연구원
당시 패스트푸드 시장은 포화상태였기 때문에 대체품의 위협이 상당히 높은 상태였다. 따라서 맥도날드는 제품차별화를 통해 대체품의 위협을 줄이기 위해 신메뉴 개발에 힘썼는데, 대표적으로 샌드위치, 샐러드, 요구르트와 같은 건강메뉴와 커피를 메뉴에 추가했다. 특히 맛은 비슷하지만 가격은 저렴한 맥커피의 성공으로 맥도날드는 스타벅스와 던킨도너츠의 고객을 잠식했으며 성공을 거두었다. 이렇게 맥도날드는 지속적인 제품개발을 통해 고객들에게 선택의 폭을 타 브랜드보다 넓게 제공하여,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
추천자료
회교권 미제 불매운동의 최대 수혜자 ‘잠잠콜라’
고객관계관리의 고객적,통합적,사회적 마케팅의 성공한 사례와 실패한 사례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health plan 2010)중[건강생활실천] 분야의 계...
패스트푸드(인스턴트 식품)의 실태와 문제점 및 대안
[패스트푸드] 패스트푸드의 생산과정과 실태 및 패스트푸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패스트푸드...
마케팅관련 기사와 분석
외식업계의 공동마케팅 사례 분석 및 전망
커피가 아닌 문화를 파는 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
[외식업]외식업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맥도날드), 외식업 프랜차이즈 패밀리레스토랑(아웃...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