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행정과 정책A+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행정과 정책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화창조 기반의 정비
○ 문화적 획일화에 대한 대응과 정보 발신
○ 정체성 확립과 문화 진흥
8. 도시의 정체성과 문화
□ 도시의 正體性 = “그 도시답다”는 同一性 + “다른 도시와 다르고 더 낫다”는 個別性
○ “그” 도시답다(同一性)
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변화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그 무엇은 변함없음(連續性).
② 그 도시 시민인 나는 그 도시와 동일하다는 감정을 가짐(投入에 의한 同一化).
③ 나는 주위의 사람들과 환경에 대해 잘 어울린다는 귀속감을 가짐(整合에 의한 同一化)
○ 그 도시는 다른 도시와 다르고, 더 낫다(個別性)
① 그 도시는 다른 도시와 “다르다”(特異性에 의한 個別性).
② 그 도시는 다른 도시와 다르면서, 그 무언가 “뛰어나다”(秀越性에 의한 個別性).
다른 도시에도 있는 공통요소(예: 공원, 가로)를 비교해 볼 때 더 낫다.
다른 도시에도 없는 고유요소(예: 문화재, 바다)가 있어 더 낫다.
□ 문화적 관점에서 도시행정의 전 분야를 비춰보고, 모든 시정에 문화성을 투입하고자 하는 도시행정의 문화화는 우선 종래의 행정시책이 효율성, 기능성을 우선시하여 도시의 모든 부문이 획일적이고 비인간화되어 간다는 점에 문제제기를 하는 것으로 부터 출발.
그리고 그에 대한 반성과 대안으로 도시정부가 도시정체성 확립에 관련된 제반 시책들을 수립·집행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4가지의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함.
① 인간성(편안함, 여유, 배려 등)
② 지역성(상징성, 친근함, 역사와의 결부 등)
③ 창조성(독창성, 손수제작 등)
④ 미관성(아름다움 등)

키워드

  • 가격4,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3.03.02
  • 저작시기202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88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