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월평정수장
(2) 처리계통도 및 단위공정
(3) 대전하수처리장
(4) 처리계통도 및 단위공정
(5) MF 공정 특성
(6) UF 공정 특성
(7) NF 공정 특성
(8) RO 공정 특성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월평정수장
(2) 처리계통도 및 단위공정
(3) 대전하수처리장
(4) 처리계통도 및 단위공정
(5) MF 공정 특성
(6) UF 공정 특성
(7) NF 공정 특성
(8) RO 공정 특성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filtration(NF)로 1980년대 초에 처음 개발되기 시작해 1986년에 상용화된 막이다. 주로 폴리아미드, 술폰화폴리술촌 등을 이용해서 만든 복합적인 막이다. RO막과 같은 방식으로 용액의 확산 원리를 이용하는 일종의 RO 막이라고 생각해도 좋다. 하지만 RO막처럼 성능이 좋지 못하고 역삼투막(RO)와 한외여과막(UF)막의 중간크기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1분당 200~500개의 분자를 제거하고 1㎚의 크기까지 제거할 수 있다. 물속에 용해된 유기물 즉, 농약이나 항생제를 제거하고 탈염과 연수화에 사용된다.
(8) RO 공정 특성
역삼투법은 Reverse osmosis(RO)로 막여과 현상 중 하나이다. 역삼투법은 1960년대부터 해수 담수화를 이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지금은 반도체나 전자산업분야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역삼투법을 이용하면 용해된 거의 모든 불순물과 이온 상태의 물질까지 대부분 제거된다. 따라서 최근 정수 및 하·폐수 처리장에서는 저압 RO의 공정 사용을 증대하는 추세이다. RO공정에는 세 가지의 종류가 있다. 삼투압에 따라서 분류하는데 해수 담수화나 1가 용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압 RO공정을 사용해야 한다. 고압 RO공정의 분획분자량은 350 이하이고 운전압력은 5,500을 훌쩍 넘어간다. 다음으로는 저압 RO공정이다. 저압 RO공정은 염수를 제거하고 연수화를 위해 사용되며 이 또한 분획분자량은 350 이하이다. 운전압력은 1000에서 4000사이 이다. 마지막은 위에서 알아봤던 NF공정이다. NF공정은 약한 RO공정으로 보고 있다. RO공정보다 운전압력은 낮지만 그래도 많은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3. 결론
이렇게 정수장과 하수처리장은 우리에게 꼭 필요한 시설이다. 우리 몸에 수분은 꼭 필요한 요소인 만큼 깨끗한 정수된 물을 섭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중세 시대에 오염된 하천수를 음용해서 페스트 등 여러 질병이 대 유행된 만큼 오염된 물은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사람들 몸에 안전한 정수장과 하수처리장은 필수적이다. 우리나라에서 오염된 물을 섭취해 콜레라가 번성하면서 하수처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 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하수를 처리할 수 있는 공정 기술을 개발하게 되고 다른 화학물질을 첨가하면서 물을 소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 사람들이 이용하는 물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정수장과 하폐수처리장이 증대되었다. 우리나라는 1975년에 청계천 하수처리장이 설치되었다. 또한 정수된 물을 계속 체크하면서 정수처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 정수장과 하·폐수 처리장에서 정수된 물이 배출되면서 하천수나 다른 지표수의 수질을 보호할 수 있고 물이 부족한 우리나라처럼 식용수가 부족한 나라에 높은 기술의 정수장으로 식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앞으로도 적은 비용으로 정수 기술을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신천하수처리장 등 5개소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일요신문, 이동주, 2015.06.24
(8) RO 공정 특성
역삼투법은 Reverse osmosis(RO)로 막여과 현상 중 하나이다. 역삼투법은 1960년대부터 해수 담수화를 이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지금은 반도체나 전자산업분야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역삼투법을 이용하면 용해된 거의 모든 불순물과 이온 상태의 물질까지 대부분 제거된다. 따라서 최근 정수 및 하·폐수 처리장에서는 저압 RO의 공정 사용을 증대하는 추세이다. RO공정에는 세 가지의 종류가 있다. 삼투압에 따라서 분류하는데 해수 담수화나 1가 용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압 RO공정을 사용해야 한다. 고압 RO공정의 분획분자량은 350 이하이고 운전압력은 5,500을 훌쩍 넘어간다. 다음으로는 저압 RO공정이다. 저압 RO공정은 염수를 제거하고 연수화를 위해 사용되며 이 또한 분획분자량은 350 이하이다. 운전압력은 1000에서 4000사이 이다. 마지막은 위에서 알아봤던 NF공정이다. NF공정은 약한 RO공정으로 보고 있다. RO공정보다 운전압력은 낮지만 그래도 많은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3. 결론
이렇게 정수장과 하수처리장은 우리에게 꼭 필요한 시설이다. 우리 몸에 수분은 꼭 필요한 요소인 만큼 깨끗한 정수된 물을 섭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중세 시대에 오염된 하천수를 음용해서 페스트 등 여러 질병이 대 유행된 만큼 오염된 물은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사람들 몸에 안전한 정수장과 하수처리장은 필수적이다. 우리나라에서 오염된 물을 섭취해 콜레라가 번성하면서 하수처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 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하수를 처리할 수 있는 공정 기술을 개발하게 되고 다른 화학물질을 첨가하면서 물을 소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 사람들이 이용하는 물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정수장과 하폐수처리장이 증대되었다. 우리나라는 1975년에 청계천 하수처리장이 설치되었다. 또한 정수된 물을 계속 체크하면서 정수처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 정수장과 하·폐수 처리장에서 정수된 물이 배출되면서 하천수나 다른 지표수의 수질을 보호할 수 있고 물이 부족한 우리나라처럼 식용수가 부족한 나라에 높은 기술의 정수장으로 식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앞으로도 적은 비용으로 정수 기술을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신천하수처리장 등 5개소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일요신문, 이동주, 2015.06.24
추천자료
용수및하폐수처리 ) 학생들 거주지역(광역시 기준)에서 운영되고 있는 정수장 및 하(폐)수처...
용수및하폐수처리C형 ) 학생들 거주지역(광역시 기준)에서 운영되고 있는 정수장 및 하(폐)수...
2020년 2학기 용수및하폐수처리 중간시험과제물 E형(완속모래여과와 급속모래여과 비교)
2021년 2학기 용수및하폐수처리 중간시험과제물 C형(완속모래여과와 급속모래여과)
용수및하폐수처리 ) 학생들 거주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수장 및 하(폐)수처리장 각각 한 ...
용수및하폐수처리 ) 거주지역에서 운영하는 정수장 및 하(폐)수처리장 각각 한 곳을 직접 방...
2022년 2학기 용수및하폐수처리 중간시험과제물 A형(침전의 종류 4가지)
2022년 2학기 용수및하폐수처리 중간시험과제물 E형(완속모래여과와 급속모래여과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