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 (20점)
교재에서 설명되지 않은 ‘데브옵스(DevOps)’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에 관해 관련 문헌이나 인터넷 상의 자료를 찾아 조사하여 A4 용지 1.5~3쪽 (글자 크기 12pt, 줄간격 160%) 분량으로 알기 쉽게 정리하라.
1. DevOps란 2. 데브옵스의 기원 3. 데브옵스의 목표와 효과
4. 데브옵스 구성 요소
1) 문화적 구성 요소 2) 기술적 구성 요소
5. 데브옵스와 클라우드
6. 데브옵스 성공 사례
1) 넷플릭스 2) 페이스북
문제2 (10점)
일정 계획을 위해 작성한 CPM 네트워크가 다음과 같다. 원과 영문자는 작업을, 숫자는 소요 기간(주)을 의미한다. 시작 작업 A의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시간’은 0으로 가정한다.
(1) 임계 경로는 무엇이며, 프로젝트 완료에 필요한 최소 기간은 얼마인가?(5점)
(2) 작업 C의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시간’과 ‘가장 늦게 시작할 수 있는 시간’은 얼마인가?(5점)
* 참고문헌
교재에서 설명되지 않은 ‘데브옵스(DevOps)’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에 관해 관련 문헌이나 인터넷 상의 자료를 찾아 조사하여 A4 용지 1.5~3쪽 (글자 크기 12pt, 줄간격 160%) 분량으로 알기 쉽게 정리하라.
1. DevOps란 2. 데브옵스의 기원 3. 데브옵스의 목표와 효과
4. 데브옵스 구성 요소
1) 문화적 구성 요소 2) 기술적 구성 요소
5. 데브옵스와 클라우드
6. 데브옵스 성공 사례
1) 넷플릭스 2) 페이스북
문제2 (10점)
일정 계획을 위해 작성한 CPM 네트워크가 다음과 같다. 원과 영문자는 작업을, 숫자는 소요 기간(주)을 의미한다. 시작 작업 A의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시간’은 0으로 가정한다.
(1) 임계 경로는 무엇이며, 프로젝트 완료에 필요한 최소 기간은 얼마인가?(5점)
(2) 작업 C의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시간’과 ‘가장 늦게 시작할 수 있는 시간’은 얼마인가?(5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법은 전체 서비스를 릴리스하기 전에 선택된 특정 사용자에게 새로운 기능을 배포하여 점진적으로 서비스를 배포하는 프로세스이다. 페이스북은 이 프로세스에 데브옵스 원칙을 적용했다.
페이스북의 데브옵스 원칙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기능은 소규모의 특정 사용자에게0만 먼저 배포한다. 서비스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개발 및 테스르를 진행한다. 새로운 기능이 안정화되면 최종적으로 서비스를 배포한다.
다크 론칭 기법을 통해 개발팀은 초기에 사용자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며, 버그를 수정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새롭게 개발된 기능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지속적인 서비스 배포 방법인 Continuous Delivery의 도입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 배포에 대해 기존 애플리케이션 성능에 미치지 않고 원하는 고객에게 배포할 수 있으며, 더 빠르고 편리하게 새로운 서비스를 릴리스할 수 있었다.
문제2 (10점)
일정 계획을 위해 작성한 CPM 네트워크가 다음과 같다. 원과 영문자는 작업을, 숫자는 소요 기간(주)을 의미한다. 시작 작업 A의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시간’은 0으로 가정한다.
(1) 임계 경로는 무엇이며, 프로젝트 완료에 필요한 최소 기간은 얼마인가?(5점)
다수의 개발자가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참여하면 병행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려면 먼저 작업들 간의 선후 관계를 결정해야 한다. 또, 프로젝트 계획자는 임계 경로(critical path) 상의 작업들, 즉 프로젝트의 일정 준수를 위해 지연이 전혀 허용되지 않는 작업들을 식별해야 한다. 따라서 임경 경로는 여유시간=0인 작업들을 연결한 것이다.
CPM은 일정 계획을 위한 알고리즘적 분석 방법이다. 이것은 프로젝트 개발 기간을 결정하는 임계 경로를 식별하고, 각 작업에 대한 경계 시간을 계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임계 경로는 시작에서 종료 작업까지의 경로 중 가장 긴 경로이며, 임계 작업들은 임계 경로상에 위치한 작업들이다. 임계경로를 찾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시작에서 종료까지 모든 가능한 경로를 찾아 해당 경로의 활동들에 소요되는 기간을 합한다. 모든 경로에 대해 기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경로가 임계경로가 된다. 이 방법은 모든 경로를 탐색해야 하므로 망이 복잡한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주어진 CPM 네트워크에서 가능한 경로와 소요 기간은 다음과 같다.
A → B → F → H 1 + 3 + 3 + 2 = 9
A → C → E → H 1 + 2 + 4 + 2 = 9
A → C → F → H 1 + 2 + 3 + 2 = 8
A → D → G → F → H 1 + 2 + 2 + 3 + 2 = 10
“A → D → G → F → H”가 기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임계경로이고, 프로젝트 완료에 필요한 최소 기간은 10주가 된다.
(2) 작업 C의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시간’과 ‘가장 늦게 시작할 수 있는 시간’은 얼마인가?(5점)
작업 C가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시간은 선행작업들의 EFT 중 가장 큰 값이다. C의 선행작업은 시작 작업인 A하나뿐이므로 A의 EFT가 C의 EST가 된다. A는 시작작업이므로 EFT 즉, 가장 일찍 종료할 수 있는 시간은 A의 작업시간인 1이다. 따라서 EST(C) = 1 이다. 쉽게 설명하면, 작업 C가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시간은, 선행작업 A가 종료된 직후 바로 시작하는 경우이므로, A의 작업시간인 1이 된다.
임계 경로의 시간(10주)에서 작업 C의 남아 있는 경로들에서 가장 긴 시간을 뺀 값이 LFT(가장 늦게 종료할 수 있는 시간)이고, LFT에서 작업시간을 뺀 것이 LST이다. 작업 C의 남아 있는 경로는 E-H와 F-H로 소요 시간은 각각 6(=4+2), 5(=3+2)이므로 LFT(C) = 10 - 6 = 4이고, LST(C) = LFT(C) - 2 = 4 - 2 = 2이다.
* 참고문헌
최은만(2020). 소프트웨어 공학의 모든 것. 생능출판.Ian Sommerville(2008). 소프트웨어 공학. 홍릉과학출판사.
권영환(2020), 아마존 웹서비스(AWS)로 시작하는 데브옵스(AWS DevOps Discovery
Book), 정보문화사
요케쉬 라헤자 외 2인(2020), AWS를 통한 효과적인 데브옵스 구축 2판, 에이콘.
임계경로 탐색과 프로젝트 활동 일정 수립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225736641184.pdf)
페이스북의 데브옵스 원칙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기능은 소규모의 특정 사용자에게0만 먼저 배포한다. 서비스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개발 및 테스르를 진행한다. 새로운 기능이 안정화되면 최종적으로 서비스를 배포한다.
다크 론칭 기법을 통해 개발팀은 초기에 사용자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며, 버그를 수정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새롭게 개발된 기능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지속적인 서비스 배포 방법인 Continuous Delivery의 도입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 배포에 대해 기존 애플리케이션 성능에 미치지 않고 원하는 고객에게 배포할 수 있으며, 더 빠르고 편리하게 새로운 서비스를 릴리스할 수 있었다.
문제2 (10점)
일정 계획을 위해 작성한 CPM 네트워크가 다음과 같다. 원과 영문자는 작업을, 숫자는 소요 기간(주)을 의미한다. 시작 작업 A의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시간’은 0으로 가정한다.
(1) 임계 경로는 무엇이며, 프로젝트 완료에 필요한 최소 기간은 얼마인가?(5점)
다수의 개발자가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참여하면 병행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려면 먼저 작업들 간의 선후 관계를 결정해야 한다. 또, 프로젝트 계획자는 임계 경로(critical path) 상의 작업들, 즉 프로젝트의 일정 준수를 위해 지연이 전혀 허용되지 않는 작업들을 식별해야 한다. 따라서 임경 경로는 여유시간=0인 작업들을 연결한 것이다.
CPM은 일정 계획을 위한 알고리즘적 분석 방법이다. 이것은 프로젝트 개발 기간을 결정하는 임계 경로를 식별하고, 각 작업에 대한 경계 시간을 계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임계 경로는 시작에서 종료 작업까지의 경로 중 가장 긴 경로이며, 임계 작업들은 임계 경로상에 위치한 작업들이다. 임계경로를 찾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시작에서 종료까지 모든 가능한 경로를 찾아 해당 경로의 활동들에 소요되는 기간을 합한다. 모든 경로에 대해 기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경로가 임계경로가 된다. 이 방법은 모든 경로를 탐색해야 하므로 망이 복잡한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주어진 CPM 네트워크에서 가능한 경로와 소요 기간은 다음과 같다.
A → B → F → H 1 + 3 + 3 + 2 = 9
A → C → E → H 1 + 2 + 4 + 2 = 9
A → C → F → H 1 + 2 + 3 + 2 = 8
A → D → G → F → H 1 + 2 + 2 + 3 + 2 = 10
“A → D → G → F → H”가 기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임계경로이고, 프로젝트 완료에 필요한 최소 기간은 10주가 된다.
(2) 작업 C의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시간’과 ‘가장 늦게 시작할 수 있는 시간’은 얼마인가?(5점)
작업 C가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시간은 선행작업들의 EFT 중 가장 큰 값이다. C의 선행작업은 시작 작업인 A하나뿐이므로 A의 EFT가 C의 EST가 된다. A는 시작작업이므로 EFT 즉, 가장 일찍 종료할 수 있는 시간은 A의 작업시간인 1이다. 따라서 EST(C) = 1 이다. 쉽게 설명하면, 작업 C가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시간은, 선행작업 A가 종료된 직후 바로 시작하는 경우이므로, A의 작업시간인 1이 된다.
임계 경로의 시간(10주)에서 작업 C의 남아 있는 경로들에서 가장 긴 시간을 뺀 값이 LFT(가장 늦게 종료할 수 있는 시간)이고, LFT에서 작업시간을 뺀 것이 LST이다. 작업 C의 남아 있는 경로는 E-H와 F-H로 소요 시간은 각각 6(=4+2), 5(=3+2)이므로 LFT(C) = 10 - 6 = 4이고, LST(C) = LFT(C) - 2 = 4 - 2 = 2이다.
* 참고문헌
최은만(2020). 소프트웨어 공학의 모든 것. 생능출판.Ian Sommerville(2008). 소프트웨어 공학. 홍릉과학출판사.
권영환(2020), 아마존 웹서비스(AWS)로 시작하는 데브옵스(AWS DevOps Discovery
Book), 정보문화사
요케쉬 라헤자 외 2인(2020), AWS를 통한 효과적인 데브옵스 구축 2판, 에이콘.
임계경로 탐색과 프로젝트 활동 일정 수립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225736641184.pdf)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