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분석 케이스 연구 직무분석 목적,단계,활용분야 분석 우리나라 기업 직무분석 실패원인과 올바른 방향제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직무분석 케이스 연구 직무분석 목적,단계,활용분야 분석 우리나라 기업 직무분석 실패원인과 올바른 방향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직무분석 정의

2. 직부분석의 목적

3. 직무분석의 6가지 단계

4. 직무분석을 통해 알수있는 정보

5. 직무분석 활용분야

6. 직무분석 케이스 연구
(1) 직무소개
(2) 요구되는 역량
(3) 요구되는 자격
(4) 업무내용
(5) 업무특성

7. 우리나라 기업 직무분석 실패원인

8. 직무분석의 올바른 방향 제시

본문내용

여 이루어지고 있다.
6. 직무분석 케이스 연구
(1) 직무소개
모바일 (안드로이드, IOS) 게임 앱 개발
(2) 요구되는 역량
- 분석력
앱에서 문제가 발생할 시 어떤 부분에서 발생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앱의 부족한 부분들을 점진적으로 개선해나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 협동력
개인 게임 프로그램 개발역량도 중요하지만 업무 특성상 개인보다는 회사 동료와 업무를 협동하여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협업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 습득력
시대가 바뀔수록 새로운 기술을 나타나 이 기술을 빠르게 습득할 수 있어야 한다. 세계 최초의 모바일 게임이 등장한 시점은 1997년(Snake)이다. 최초로 게임이 등장하고 나서 25년이 지났다. 과거의 게임을 비교하면 현재의 게임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그래서 모바일 게임 개발자는 새로운 기술을 항상 공부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3) 요구되는 자격
- Java 또는 Kotlin 개발 가능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대한 이해
- swift 개발 가능
- iOS 플랫폼에 대한 이해
- 개인 혹은 공동 프로젝트를 통한 앱 개발 경험
- HTTP, REST API 등 인터넷 기반 프로토콜과 기술에 대한 이해
- PC와 모바일 게임과 관련된 자격증 (게임 프로그래밍 전문가, 게임 그래픽 전문가, 게임 기획 전문가, 모바일앱개발전문가)
(4) 업무내용
- 모바일 운영체제에 내부 소프트웨어(Android, IOS 어플리케이션)을 구상하고 개발
- 모바일 개발자는 안드로이드 및 IOS 등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모바일 개발자에게는 JAVA, Kotlin 등 앱에 대한 지식이 요구된다.
(5) 업무특성
- 스마트폰 출시 이후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가지고 다니며 생활을 하고 있다. 그래서 모바일과 관련되는 업종도 늘어나 고용도 늘어날 전망
- VR, AI, 메타버스 등 새로운 기술을 모바일 게임과 결합해 개발하여 IT개발 산업군도 각광을 받으며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일자리가 늘어날 전망
7. 우리나라 기업 직무분석 실패원인
- 한 직무내에 업무의 난이도중요도 등 업무특성이 매우 상이한 업무들이 공존하고 있어서 하나의 단위로 관리 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 직급 및 사람중심의 업무분장과 이에 따른 직무분석이 행해지고 있어서 직무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부서의 인원수, 직급구조에 따라 업무가 유동적인 경우가 많다.
- 직무기술서에 의한 직무수행보다는 위에서 그때 그때 시키는 수명(受命)업무 중심으로 수행해왔다.
- 직무의 프로세스나 동태성을 무시하고 정태적이고 단편적인 직무를 기업내부적 관점에서 분석 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 직무분류 및 직무관리를 개인의 직급, 근속년수 등 인적특성을 지나치게 고려함으로써 직무분류체계와 업무의 특성간 상관관계가 낮은 경우가 많다.
- 호칭과 직급, 직무 타이틀에 너무 민감하다보니 직무의 내용보다도 직무의 외적인 데 치중했다.
- 개인의 전문영역(개발에 실패하고 중간관리자의 고유업무를 개발하여 부여하는데 실패했다.
- 유사한 직무를 여러 부서, 여러 계층에서 수행하는 폐단을 직무분석을 통해서 제대로 개선하지 못하였다.
8. 직무분석의 올바른 방향 제시
먼저 업무를 내용보다는 프로세스(process)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여야한다.
과거 설문지 방법에 의존하던 직무분석 방식을 탈피하고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기법 중의 하나인 \'Process Mapping\' 기법을 도입하여 조직의 직무구조와 직무수행방법, 직무수행자의 자격요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업무의 흐름, 즉 프로세스에 초점을 두고 수직적수평적 업무 프로세스가 직무수행자의 업무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는 \'Impact Assessment\' 분석을 통해서 직무와 직무의 연관관계 및 과업내용의 변화와 결과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해야 한다.
그리고 단위직무를 지나치게 세분화하기 보다는 유사한 직무를 크게 묶어야 하며 이러한 직무의 묶음(clustering of works)을 통해서 유연한 인사관리 (flexibility in HRM)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기업구조의 조정을 통해 과거 피라미드조직, 관료제적 조직, 다계층 조직 처럼 수직적인 긴 의사결정 체계를 가진 조직이 납작하고 단순한, 즉 \'Flat Organization\'으로 변화하는 추세에 맞추어 직무의 Broadbanding 현상을 가속화 하여야 한다.
  • 가격4,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03.22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13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