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2023년] 1. 좋은 글의 요건을 요약,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 예문 1) 으로서와 으로써 2) 데와 대 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4) 어떻게와 어떡해 5) 데다와 데이다 3. 적절한 어휘의 선택 단어 중 15개를 선정, 예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글쓰기 2023년] 1. 좋은 글의 요건을 요약,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 예문 1) 으로서와 으로써 2) 데와 대 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4) 어떻게와 어떡해 5) 데다와 데이다 3. 적절한 어휘의 선택 단어 중 15개를 선정, 예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글쓰기 2023년]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러한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한 단락으로 설명하시오. (10점)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1) ’으로서‘와 ’으로써‘
(2) ’-데‘와 ’-대‘
(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4) ’어떻게‘와 ’어떡해‘
(5) ’데다‘와 ’데이다‘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에 대해 설명하고, 그 단어가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2023년 1학기 글쓰기 중간과제 작성하기에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교재와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본문내용

두 쓸 수 있다.)
적어도 세 곱절은 쳐줘야 일을 시작할 수 있어.
(8) \'돋구다\'와 \'돋우다\'
\'돋구다\'는 안경 따위의 도수를 더 높게 하다. 양기 따위를 보강하다의 뜻이 있다. 이에 비해 \'돋우다\'는 ① 위로 끌어 올리거나 높아지게 하다. ② 기분·느낌·의용 등의 감정을 자극하여 일어나게 하다. ③ 입맛이 좋아지게 하다. 뜻이 있다.
< 예 >
안경의 도수를 돋구다.
행사장의 분위기를 돋우다. / 친구의 용기를 돋우다.
(9) 염치 불고하고
‘체면을 차릴 줄 알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을 뜻하는 ‘염치’는 ‘돌아보지 아니하다’는 뜻의 ‘불고(不顧)하다’와 어울려 ‘염치 불고하다’와 같이 쓰인다.
< 예 >
염치 불고하고 저녁식사 맛있게 먹고 가겠습니다.
(10) 주의
주의 (注意)의 뜻에는 ① 마음에 새겨 두고 조심함. ② 어떤 한 곳이나 일에 관심을 집중하여 기울임. ③ 경고나 훈계의 뜻으로 일깨움. 의 뜻이 있다.
이에 비해 \'주위\'의 뜻에는 ① 어떤 곳의 바깥 둘레. ② 어떤 사물이나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것 또는 그 환경. ③ 어떤 사람의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 의 뜻이 있다.
< 예 >
저 어린이는 주의가 산만하다.
(11) ‘제치다’와 ‘제끼다’
제치다의 뜻에는 ① 거치적거리지 않게 처리하다. ② 일정한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다. ③ 경쟁 상대보다 우위에 서다. ④ 일을 미루다
그리고 \'제끼다\'는 \'제치다\'의 틀린 표현이다.
< 예 >
어떻게 나를 제쳐 두고 너희들끼리 콘서트에 갈 수 있니? / 우리 팀이 상대 팀을 제치고 5연승을 올렸다.
(12) \'주인공\'과 \'장본인\'
주인공은 어떤 일에서 중심이 되거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을 뜻하고, 주인공은 좋은 뜻으로 쓰인다.
이에 비해 장본인은 어떤 일을 꾀하여 일으킨 바로 그 사람을 뜻하고, 장본인은 주로 바람직하지 못한 일을 한 데에 쓰인다.
< 예 >
저 선수가 우리 팀의 승리를 이끈 주인공이다.
그는 우리 학교의 명예를 짓밟은 장본인이다.
(13) ‘사단’과 ‘사달’
\'사단\'은 사건의 단서 또는 실마리를 뜻한다. 이에 비해 \'사달\'은 사고나 탈을 뜻한다.
< 예 >
이제는 이 문제에 대해 각자의 사단을 늘어놓기보다 중론을 모아야 할 때이다.
전력 공급이 중단되어 사달이 났다.
(14) 모둠
\'모둠\'의 뜻에는 ① 초·중등학교에서 효율적인 학습을 위하여 학생들을 작은 규모로 묶은 모임 ② 어떤 목적을 위하여, 또는 어떤 일을 함께하기 위하여 여러 사람이 모인 모임의 의미가 있다.
< 예 >
저 식당은 모둠꼬지가 유명하다. / 모둠회가 너무 맛있다.
(15) 역임(歷任)
역임(歷任)이란 여러 직위를 두루 거쳐 지내는 것을 뜻한다.
< 예 >
외삼촌은 A회사에서 고위직을 두루 역임했다.
(16) 수여(授與)
수여(授與)란 증서, 상장, 훈장 따위를 줌의 뜻이다.
< 예 >
한영란 학생은 우수한 성적을 올렸으므로 이에 상장을 수여합니다.
(17) 봇물
‘봇물’은 보에 괸 물 또는, 보에서 흘러내리는 물이라는 뜻이다.
< 예 >
행사가 마치자 사람들이 봇물 터지듯 행사장을 쏟아져 나왔다.
(18) ‘임신부’와 ‘임산부’
\'임신부\'는 임신 중인 여자를 일컫는다. 이에 비해 \'임산부\'는 임신한 여인과 출산한 여인을 모두 일컫는 말이다. 임신 중인 여자만을 일컬을 때는 임신부라고 말하는 것이 맞다.
< 예 >
그는 배가 불러 거동이 불편한 임신부에게 자리를 양보했다.
흡연은 뱃속에 아이를 가지고 있거나 아이에게 젖을 먹여야 하는 임산부에게는 절대적으로 금물이다.
4. 참고문헌
고성환,이상진(2019). 글쓰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정선(2015). 동사의 맛. 유유.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3.03.28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18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