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실습케이스 - AGE(급성위장염) A+ 자세한 간호사정 및 병태생리, 간호진단 7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실습케이스 - AGE(급성위장염) A+ 자세한 간호사정 및 병태생리, 간호진단 7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 본론
1. 대상자 사정
1) 대상자 간호력
2) 신체검진
2. 진단적 검사 및 특수검사
1) 일반화학검사
2) 일반혈액검사
3) Routine U/A
4) 면역혈청검사
5) X-ray / USG / 특수검사
3. 투약
4. 간호과정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겨줘도 배가 아파서 먹기 싫다고 그래요.”
환아 - “배 아프고 먹으면 속이 아파서 먹기 싫어요.”
O data
검사명
정상치
검사결과
(16.03.02)
임상적 의의
T-protein
6.7-8.1 g/dl
6.6 ▼
▲ 탈수, 구토, 설사, 다발성 골수종, 악성질환
▼ 영양실조, 기아, 심한 간질환
Albumin
4.1-5.1 g/dl
5.2 ▼
▲ 탈수
▼ 만성간질환, 영양실조, 만성신부전
Hb
14.0-17.6 g/dl
12.0 ▼
▲ COPD, 다혈구혈종, 탈수
울혈성 심부전
▼ 빈혈, 암, 신장질환
정맥 내 주입 초과
Hct
34.3-49.9 %
33.1 ▼
▲ 적혈구 증가증, 탈수, 체액손실
▼ 빈혈, 백혈병, 소화성궤양 만성신부전, 실혈
- 여러 차례 구토 이후 아무것도 섭취하지 않은 채 내원.
- 식욕부진 소인 있음
- [16.03.02 12시, 저녁6시] 입원 후 식이 : 소아연식(죽) 50 ~ 60%정도 섭취
- [16.03.01 ~ 16.03.02] 오심, 구토 9차례
- [16.03.02] 묽은 변 2차례 배출
- [16.03.02] 내원 시 평소 체중보다 0.5kg 감소 (19.3kg → 18.8kg)
목표
단기목표 : 하루 내에 환아의 영양섭취가 증가해 기력을 증진시킨다.
장기목표 : 퇴원 시까지 환아가 기력을 회복한다.
계획
1. 구토 후 가글을 하도록 환아에게 교육을 실시한다.
* 근거 : 구토 후 가글을 함으로서 입안에 남아있는 찌꺼기나 불쾌한
냄새를 제거해 식욕을 증진시킨다.
2. 음식을 소량씩 자주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3. 신체검진과 식사양상을 통해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4. 개인위생을 증진시킨다.
* 근거 : 묽은 변 배출로 인해 개인위생손상이나 구토로 인한 의복의
손상을 즉시 제거함으로써 위생을 깨끗하게 해 식욕을 증진시킨다.
5. 가능한 범위 내에서 좋아하는 음식을 먹도록 한다.
수행
1. 환아에게 구토 후 가글을 해야 하는 근거에 대해 설명하고 이해하였는지
확인하였다.
2. 환아에게 조금씩 자주 섭취하여 영양증진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3. 탈수 및 영양 상태를 위해 피부, 머리카락 및 신체를 관찰하였으며,
환아의 식사량과 간식섭취량을 확인하였다.
4. 환아의 구토 및 묽은 변으로 인해 손상된 침구 및 환복을 즉시
교환해준다.
5. 환아가 선호하는 음식을 물어보고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섭취하도록
허락하였다.
평가
환아가 간식으로 맛밤, 스틱감자과자를 섭취하였다.
환아의 병식섭취가 증가하였다.
(소아연식(죽)50 ~ 60% → 80%)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통증
사정
S data
어머니 - “어제 구토한 이후로 아무것도 안 먹고 있어요.
간단히 챙겨줘도 배가 아파서 먹기 싫다고 그래요.”
환아 - “배 아프고 먹으면 속이 아파서 먹기 싫어요.”
O data
- [16.03.02]내원 당시 환아가 복부통증을 호소함
검사명
정상치
결과치
임상적 의의
WBC
3.70 9.80
10^9/L㎕
20.60 ▲
▲ 급성감염, 홍역, 외상, 악성종양, 순환장애
LDH
0-250 IU/L
306 ▲
▲ 악성빈혈, 간질환, 신장질환, 근육질환, 감염
- 신체사정 결과 복부팽만이 보임
- [16.03.02 22:00] BT 38.4℃ checked
- [16.03.01 ~ 16.03.02] 오심, 구토 9차례
- [16.03.02] 묽은 변 2차례 배출
목표
단기목표 : 환아의 통증이 완화된다.
장기목표 : 환아는 더 이상 통증이 없다고 말한다.
계획
1. 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2. 통증완화를 위해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3. 통증을 완화시키는 요인과 악화시키는 요인을 사정한다.
4.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만든다.
5. 보호자에게 환아의 상태를 알리고 지지하도록 교육한다.
수행
1. 환아의 통증의 정도를 직접 사정하였다. (NRS : 4점)
2. 처방된 ANTIBIO GRAN 300mg/1G/pk를 oral로 1PK BIPD 2회
(아침, 저녁 식후 30분)로 투여하고, URANTAC Tab 75mg을 oral로
1T MAMC 2회 (아침 식전 20분, 취침 전)에 투여한다.
3. 환아에게 통증완화 요인과 악화요인을 사정하였다.
(완화요인 : 따뜻한 것을 배에 올리기, 악화요인 : 음식물 섭취)
4. 환아에게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해 주었다.
5. 보호자에게 환아의 질병 및 통증에 대해 설명하고 환아를 지지하도록
권유하였다.
평가
- 환아가 한결 나아졌다고 말했다.
- 보호자가 환아에게 통증에 대해 물어보며 지지해주었다.
- 환아의 통증정도가 감소하였다. (NRS : 1)
5) 결론
AGE는 전염성이 강한 질병이다. 따라서 병동에서도 AGE환아들끼리 묶어 병실에서 생활한다. 이러한 전염성 때문에 병원에서 생활하는 환아와 보호자, 의료진들에게 일반적인 위생이 가장 중요하다. 제일 우선시되는 것은 손씻기이다. 전염성 질병은 청결한 환경의 유지만으로도 감염을 예방하고 전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AGE의 주요증상인 설사, 구토, 고체온은 보통 자연적으로 개선되지만, 체액부족, 영양부족, 전해질불균형 등으로 인해 탈수가 일어날 위험성이 크므로 탈수예방을 위한 치료가 이루어져야한다. 영아들의 경우 잦은 설사로 인한 피부손상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기저귀를 착용한 영아의 경우에는 환기를 잘 시켜주어야 하며, 젖은 기저귀로 인해 피부가 젖어있지 않도록 기저귀를 정기적으로 갈아주며 관리해야한다. 이 밖에 여러 간호중재들의 시행으로 AGE의 증상 및 개선이 일어나게 될 것이다.
6) 참고문헌
- 김희순 외 다수. (2014). 아동청소년간호학 Ⅱ. 서울 : 수문사
- 김미예 외 다수. (2015). 최신 아동 건강간호학[각론]. 서울 : 수문사
- 김조자 외. (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서울: 수문사
김미예 외 다수. (2014). 아동건강간호학. 서울 : 수문사
홍경자 외 다수. (2012). Won’s 영아와 아동을 위한 아동간호학. 서울 : 수문사
(인터넷)
- http://www.kmle.co.kr/
http://www.health.kr/
- http://drugabout.co.kr
  • 가격5,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23.03.29
  • 저작시기202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1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