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enzae가 원인균인 경우, H. influenzae에 대해 완전히 면역화되지 않았거나 면역저하 상태에 있는 48개월 미만의 아동에게는 rifampin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
기도유지를 위해 기관 내 삽관을 실시함
배양검사에 따른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함
염증에 의한 부종완화를 위해 스테로이드제제를 투여함
수액공급을 통해 탈수증상 및 끈적한 가래를 연화시킴
가습된 산소를 비강캐뉼러를 통해 주입함
아세트아미노펜을 투여함으로써 열을 낮추고 통증을 완화시킴
간호
아동이 삽관할 때까지 아동이 편안한 자세, 즉 대부분 앉아 있는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아동의 호흡기 및 기도상태를 지속적으로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아동의 의식수준 변화 즉, 저산소증이 증가함에 따라 불안에서 무기력으로 또는 반의식상태로 의식 수준이 바뀌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초기에 가습된 산소를 보충하여 저산소혈증을 예방한다
기도 개방성을 유지하고 좀 더 쉽게 호흡하도록 똑바로 앉거나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해준다.
불안과 울음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한 스트레스가 적은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울음은 기도를 자극하고 산소소비를 증가시키며 후두경련을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기도폐쇄가 증가되면 천천히 아주 크게 집중하여 호흡한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고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한다. 아동은 일단 산소, 항생제 및 수액요법을 시작하면 급속한 개선을 보인다.
아동의 목소리 상실은 일시적이라고 설명하면서 부모와 아동을 안심시킨다.
부모에게 자녀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자녀 옆에서 차분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삽관할 때까지 앉은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해줌
아동의 호흡기 및 기도상태를 지속적으로 면밀히 관찰함
아동은 저산소증으로 인해 안절부절못함을 관찰하여 의사에게 보고함
열을 낮추기 위해 물에 적신 수건으로 아동의 몸을 닦아줌
처방된 ceftiaxone 항생제를 투여함
비강캐뉼러를 통해 가습된 산소를 투여함으로써 끈적한 가래를 연화시킴
숨 쉬기 편한 앉은 자세를 취하도록 함
아동은 계속 울고 안절부절 못해 진정시키기 위해 조용한 병실로 옮겨 진정시킴
부모에게 아동의 목소리는 일시적인 현상이니 치료 후에는 회복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 부모를 안정시킴
자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함
Ⅳ. 참고문헌
심인옥 외(2021) 아동간호학 학지사 메디컬
후두개염/질환백과/의료정보/건강정보 서울아산병원
기도유지를 위해 기관 내 삽관을 실시함
배양검사에 따른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함
염증에 의한 부종완화를 위해 스테로이드제제를 투여함
수액공급을 통해 탈수증상 및 끈적한 가래를 연화시킴
가습된 산소를 비강캐뉼러를 통해 주입함
아세트아미노펜을 투여함으로써 열을 낮추고 통증을 완화시킴
간호
아동이 삽관할 때까지 아동이 편안한 자세, 즉 대부분 앉아 있는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아동의 호흡기 및 기도상태를 지속적으로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아동의 의식수준 변화 즉, 저산소증이 증가함에 따라 불안에서 무기력으로 또는 반의식상태로 의식 수준이 바뀌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초기에 가습된 산소를 보충하여 저산소혈증을 예방한다
기도 개방성을 유지하고 좀 더 쉽게 호흡하도록 똑바로 앉거나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해준다.
불안과 울음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한 스트레스가 적은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울음은 기도를 자극하고 산소소비를 증가시키며 후두경련을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기도폐쇄가 증가되면 천천히 아주 크게 집중하여 호흡한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고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한다. 아동은 일단 산소, 항생제 및 수액요법을 시작하면 급속한 개선을 보인다.
아동의 목소리 상실은 일시적이라고 설명하면서 부모와 아동을 안심시킨다.
부모에게 자녀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자녀 옆에서 차분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삽관할 때까지 앉은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해줌
아동의 호흡기 및 기도상태를 지속적으로 면밀히 관찰함
아동은 저산소증으로 인해 안절부절못함을 관찰하여 의사에게 보고함
열을 낮추기 위해 물에 적신 수건으로 아동의 몸을 닦아줌
처방된 ceftiaxone 항생제를 투여함
비강캐뉼러를 통해 가습된 산소를 투여함으로써 끈적한 가래를 연화시킴
숨 쉬기 편한 앉은 자세를 취하도록 함
아동은 계속 울고 안절부절 못해 진정시키기 위해 조용한 병실로 옮겨 진정시킴
부모에게 아동의 목소리는 일시적인 현상이니 치료 후에는 회복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 부모를 안정시킴
자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함
Ⅳ. 참고문헌
심인옥 외(2021) 아동간호학 학지사 메디컬
후두개염/질환백과/의료정보/건강정보 서울아산병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