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술부위 지지는 수술부위를 움직이지 않게 해 자극을 적게 해주어 통증을 감소시킨다.
다리에 압박이 가해지면 통증은 더욱 심해진다. 다리상승은 부종과 혈전을 예방할 수 있다.
편안한 환경은 대상자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교육적 계획
대상자에게 질병에 대한 느낌과 통증을 말하도록 격려한다.
대상자에게 PCA사용법과 관리방법을 교육한다.
① 통증과 신체적 불편감을 확인하고, 신뢰함으로써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수행한다.
② 스스로 통증조절을 함으로써 통증완화를 할 수 있다.
간호중재
진단적 계획
①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 by SN 김혜진, 3/12 q4hr v/s측정
시간
v/s
8:00
130/90-78-20-37.6
12:00
130/85-80-20-37.6
16:00
135/95-83-20-37.5
20:00
134/93-86-20-37.5
② 통증평가도구를 이용해 통증의 강도, 양상, 빈도를 사정했다.
: by SN 김혜진, 3/12 q4hr
시간
통증점수(NRS)
8:00
7
12:00
6
16:00
6
20:00
5
③ 통증 이외에도 주변에 다른 동반징후들이 있는지 사정했다. (오심, 구토, 현기증 등)
: by SN 김혜진, 10/25 지속적으로 관찰, 오심, 구토 증상은 없었음.
④ 약물 투여 후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했다.
: by RN, SN 약물 투여 후 1시간 후
치료적 계획
①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 by RN, 3/12, 트리돌주 50mg (IV), q4hr
식후 1시간과 3시간, 취침 시 복용
② 통증이 있는 부위에 Ice Bag을 대준다
: by RN, 3/12
③ 통증 완화를 위해 편안한 자세를 취하고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했다.
: by RN 3/12
④ 수술부위 밑에 푹신한 스펀지 쿠션을 대주어 다리를 상승시켰다.
: by RN, 3/12
불편감에 대한 환자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조절했다.
: by RN, 3/12, 조용한 환경을 위해 조명을 끄고, 창문을 닫아주었다.
교육적 계획
대상자에게 질병에 대한 느낌과 통증을 말하도록 격려했다.
: by RN, SN 3/12
대상자에게 PCA사용법과 관리방법을 교육한다.
: by RN, SN 3/12, 통증이 심할 시 PCA 버튼을 누를 것을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3일 이내 통증점수가 7점에서 2점으로 감소되었다고 말했다.(미달성, 환자는 3일이내 NRS점수가 4점임)
대상자는 4일 이내 WBC수치가 정상수치로 돌아왔다.(달성)
대상자는 1일 이내 PCA를 통해 스스로 통증 조절을 할 수 있다.(달성, 환자는 통증심할 시 PCA를 통해 스스로 조절했다고 간호사에게 말함)
대상자는 퇴원 시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달성: 환자는 통증이 많이 사라졌다고 말함)
주증상
(건강문제)
primary gonarthrosis bilateral 양측 원발성 무릎관절증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아파서 걷기 힘들어요 ’ ‘걸을 때 넘어질 거 같아서 혼자 못 걷겠어요“
객관적 자료
- 물리치료실에서 치료받으러 갈 때 휠체어를 사용하여 이동한다.
간호진단
# 2. 통증과 관련된 신체기동성 장애
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스스로 보행을 할 수 있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 기동성이 증가한다.
대상자는 5일이내 스스로 일어나서 걷을 수 있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① 활동정도 및 운동능력을 사정한다.
② 신체기동성 장애에 따른 낙상위험도를 사정한다.
보행능력정도는 활동정도와 운동능력을 사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활동정도와 운동능력이 감소된 경우라면 보행능력의 어려움이 있다.
낙상위험도는 신체기동성 장애로 쉽게 넘어지거나 침대에서 떨어질 수 있는 경우를 사정하기 위함이다.
치료적 계획
① 통증을 견딜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기동성을 유지한다.
② CPM 기구를 사용하여 관절운동을 시행한다.
최대한 기동성을 유지하는 것은 관절의 강직과 구축예방하기 위함이다.
CPM은 통증이 심하여 스스로 운동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수술 직후부터 수동적으로 운동을 시작하게 해줌으로써 관절의 경직이나 유착, 변형을 유지하고 운동범위를 회복하기 위함이다.
교육적 계획
능동적으로 관절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② 단계적으로 활동수준을 높이도록 격려한다.
③ 낙상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능동적 관절운동은 관절의 강직과 변형을 예방하고 근육 또한 강화되어 통증 감소 및 관절의 범위를 증가시킨다.
활동수준을 단계적으로 높이는 것은 무릎관절 회복을 돕기위함이다.
기동성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낙상위험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진단적 계획
① 활동정도 및 운동능력을 사정했다.
: by RN, 3/13 걷기를 힘들어하며, 걸음걸이에 위험성이 보임. 활동정도 및 운동능력이 낮은 상태임.
② 신체기동성 장애에 따른 낙상위험도를 사정한다.
: by RN, 3/13 낙상위험척도(Morse): 53점으로 위험수준임을 확인함.
치료적 계획
① 통증을 견딜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기동성을 유지한다.
: by RN, 3/13 CPM기구를 사용함(최대각도 135도 설정)
② CPM 기구를 사용하여 관절운동을 시행한다.
: by RN, SN, 3/13 CPM기구를 사용함 3회 시행함.
교육적 계획
능동적으로 관절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by RN, 3/13 환자가 스스로 걸을 수 있을 정도가 되면 보호자와 같이 걷는 연습을 하도록 교육함
② 단계적으로 활동수준을 높이도록 격려한다.
: by RN, 3/13, 복도 거리를 점점 늘리도록 교육함.(걷기)
③ 낙상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 by RN, 3/13 화장실을 가거나 일어설 때 반드시 보호자와 함께 동반할 것을 교육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7일 이내 기동성이 증가한다.(달성/환자는 걸을 수 있는 거리가 증가하였다고 말함.)
대상자는 4일이내 스스로 일어나서 걷을 수 있다고 말한다.(미달성/ 환자는 스스로 일어설 수는 있지만 스스로 화장실을 가거나 복도를 걷는 것은 아직 잘 못한다고 말함.)
대상자는 퇴원 시 스스로 보행할 수 있다.(달성/ 환자는 퇴원 시 스스로 보행했다.)
다리에 압박이 가해지면 통증은 더욱 심해진다. 다리상승은 부종과 혈전을 예방할 수 있다.
편안한 환경은 대상자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교육적 계획
대상자에게 질병에 대한 느낌과 통증을 말하도록 격려한다.
대상자에게 PCA사용법과 관리방법을 교육한다.
① 통증과 신체적 불편감을 확인하고, 신뢰함으로써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수행한다.
② 스스로 통증조절을 함으로써 통증완화를 할 수 있다.
간호중재
진단적 계획
①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 by SN 김혜진, 3/12 q4hr v/s측정
시간
v/s
8:00
130/90-78-20-37.6
12:00
130/85-80-20-37.6
16:00
135/95-83-20-37.5
20:00
134/93-86-20-37.5
② 통증평가도구를 이용해 통증의 강도, 양상, 빈도를 사정했다.
: by SN 김혜진, 3/12 q4hr
시간
통증점수(NRS)
8:00
7
12:00
6
16:00
6
20:00
5
③ 통증 이외에도 주변에 다른 동반징후들이 있는지 사정했다. (오심, 구토, 현기증 등)
: by SN 김혜진, 10/25 지속적으로 관찰, 오심, 구토 증상은 없었음.
④ 약물 투여 후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했다.
: by RN, SN 약물 투여 후 1시간 후
치료적 계획
①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 by RN, 3/12, 트리돌주 50mg (IV), q4hr
식후 1시간과 3시간, 취침 시 복용
② 통증이 있는 부위에 Ice Bag을 대준다
: by RN, 3/12
③ 통증 완화를 위해 편안한 자세를 취하고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했다.
: by RN 3/12
④ 수술부위 밑에 푹신한 스펀지 쿠션을 대주어 다리를 상승시켰다.
: by RN, 3/12
불편감에 대한 환자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조절했다.
: by RN, 3/12, 조용한 환경을 위해 조명을 끄고, 창문을 닫아주었다.
교육적 계획
대상자에게 질병에 대한 느낌과 통증을 말하도록 격려했다.
: by RN, SN 3/12
대상자에게 PCA사용법과 관리방법을 교육한다.
: by RN, SN 3/12, 통증이 심할 시 PCA 버튼을 누를 것을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3일 이내 통증점수가 7점에서 2점으로 감소되었다고 말했다.(미달성, 환자는 3일이내 NRS점수가 4점임)
대상자는 4일 이내 WBC수치가 정상수치로 돌아왔다.(달성)
대상자는 1일 이내 PCA를 통해 스스로 통증 조절을 할 수 있다.(달성, 환자는 통증심할 시 PCA를 통해 스스로 조절했다고 간호사에게 말함)
대상자는 퇴원 시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달성: 환자는 통증이 많이 사라졌다고 말함)
주증상
(건강문제)
primary gonarthrosis bilateral 양측 원발성 무릎관절증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아파서 걷기 힘들어요 ’ ‘걸을 때 넘어질 거 같아서 혼자 못 걷겠어요“
객관적 자료
- 물리치료실에서 치료받으러 갈 때 휠체어를 사용하여 이동한다.
간호진단
# 2. 통증과 관련된 신체기동성 장애
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스스로 보행을 할 수 있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 기동성이 증가한다.
대상자는 5일이내 스스로 일어나서 걷을 수 있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① 활동정도 및 운동능력을 사정한다.
② 신체기동성 장애에 따른 낙상위험도를 사정한다.
보행능력정도는 활동정도와 운동능력을 사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활동정도와 운동능력이 감소된 경우라면 보행능력의 어려움이 있다.
낙상위험도는 신체기동성 장애로 쉽게 넘어지거나 침대에서 떨어질 수 있는 경우를 사정하기 위함이다.
치료적 계획
① 통증을 견딜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기동성을 유지한다.
② CPM 기구를 사용하여 관절운동을 시행한다.
최대한 기동성을 유지하는 것은 관절의 강직과 구축예방하기 위함이다.
CPM은 통증이 심하여 스스로 운동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수술 직후부터 수동적으로 운동을 시작하게 해줌으로써 관절의 경직이나 유착, 변형을 유지하고 운동범위를 회복하기 위함이다.
교육적 계획
능동적으로 관절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② 단계적으로 활동수준을 높이도록 격려한다.
③ 낙상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능동적 관절운동은 관절의 강직과 변형을 예방하고 근육 또한 강화되어 통증 감소 및 관절의 범위를 증가시킨다.
활동수준을 단계적으로 높이는 것은 무릎관절 회복을 돕기위함이다.
기동성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낙상위험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진단적 계획
① 활동정도 및 운동능력을 사정했다.
: by RN, 3/13 걷기를 힘들어하며, 걸음걸이에 위험성이 보임. 활동정도 및 운동능력이 낮은 상태임.
② 신체기동성 장애에 따른 낙상위험도를 사정한다.
: by RN, 3/13 낙상위험척도(Morse): 53점으로 위험수준임을 확인함.
치료적 계획
① 통증을 견딜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기동성을 유지한다.
: by RN, 3/13 CPM기구를 사용함(최대각도 135도 설정)
② CPM 기구를 사용하여 관절운동을 시행한다.
: by RN, SN, 3/13 CPM기구를 사용함 3회 시행함.
교육적 계획
능동적으로 관절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by RN, 3/13 환자가 스스로 걸을 수 있을 정도가 되면 보호자와 같이 걷는 연습을 하도록 교육함
② 단계적으로 활동수준을 높이도록 격려한다.
: by RN, 3/13, 복도 거리를 점점 늘리도록 교육함.(걷기)
③ 낙상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 by RN, 3/13 화장실을 가거나 일어설 때 반드시 보호자와 함께 동반할 것을 교육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7일 이내 기동성이 증가한다.(달성/환자는 걸을 수 있는 거리가 증가하였다고 말함.)
대상자는 4일이내 스스로 일어나서 걷을 수 있다고 말한다.(미달성/ 환자는 스스로 일어설 수는 있지만 스스로 화장실을 가거나 복도를 걷는 것은 아직 잘 못한다고 말함.)
대상자는 퇴원 시 스스로 보행할 수 있다.(달성/ 환자는 퇴원 시 스스로 보행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