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바람이 부는 이유
2. 해륙풍
3. 산곡풍
4. 계절풍
2. 해륙풍
3. 산곡풍
4. 계절풍
본문내용
winds)은 산 정상 부근과 산과 산 사이의 골짜기에서 부는 바람을 말한다. 낮에는 산 정상 부근이 가열되며 상승기류가 나타나며 상승기류로 인해 빠져나간 공기를 채우기 위해 골짜기에서 산등성이로 바람이 분다. 이를 곡풍(valley winds)라고 한다. 반면 밤에는 산 정상 부근이 냉각되며 하강기류가 나타난다. 즉, 산등성이에서 골짜기로 바람이 부는데 이를 산풍(mountain winds)이라고 한다.
4. 계절풍
계절풍(seasonal wind)은 계절에 따라 일반적으로 부는 바람을 말한다. 계절풍의 원리도 해륙풍의 원리와 같다. 물의 비열이 육지의 비열보다 높아 해양은 쉽게 가열 및 냉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마인드로부터 시작된다. 여름철에는 육지가 쉽게 가열되므로 육지 온도가 해양보다 높다. 고로 바람은 해양에서 육지로 불게 되는데 우리나라와 중국 그리고 일본과 같은 중위도 국가들의 경우 여름철에 남동 계절풍이 부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반면, 겨울철에는 육지가 쉽게 냉각되므로 육지 온도가 해양보다 낮다. 고로 바람은 육지에서 해양으로 불게 되는데 이는 겨울철 시베리아 고기압으로부터 유발되는 북서 계절풍의 원인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4. 계절풍
계절풍(seasonal wind)은 계절에 따라 일반적으로 부는 바람을 말한다. 계절풍의 원리도 해륙풍의 원리와 같다. 물의 비열이 육지의 비열보다 높아 해양은 쉽게 가열 및 냉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마인드로부터 시작된다. 여름철에는 육지가 쉽게 가열되므로 육지 온도가 해양보다 높다. 고로 바람은 해양에서 육지로 불게 되는데 우리나라와 중국 그리고 일본과 같은 중위도 국가들의 경우 여름철에 남동 계절풍이 부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반면, 겨울철에는 육지가 쉽게 냉각되므로 육지 온도가 해양보다 낮다. 고로 바람은 육지에서 해양으로 불게 되는데 이는 겨울철 시베리아 고기압으로부터 유발되는 북서 계절풍의 원인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추천자료
대기권, 대기와 기상현상, 계절별 기상현상, 기압과 기상현상, 기단과 기상현상, 전선과 기상...
[기상][바람][구름][비][눈][안개][이슬][기상과 바람][기상과 구름][기상과 비][기상과 눈][...
[대체에너지] 대체에너지 개발의 현황 및 전망 - 기술 개발 이유, 대체 에너지 종류, 시장 동...
바람의 종류
[인간과 지구환경] 대한민국과 외국의 지역에너지 사례소개 및 에너지 정책문제점 분석 [태양...
[글로벌 e-비즈니스와 협업]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정보시스템, 정보시스템의 종류, 협업과 팀...
교량의 종류와 종류별 시공방법 - 교량의 이해, 교량의 구성, 교량의 종류, 교량 형식별 특성...
바람에 대한 조사
온라인게임(Online Game)의 종류와 발전.pptx
남북한 ‘바람’과 관련된 어휘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