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받은 여성간호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간호과정 2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받은 여성간호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간호과정 2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질병 연구

2. 자료수집
1) 간호력
2) 건강검진
3) 치료계획과 치료방법
4) 수술 후 간호

3. 간호진단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관기관지액 분비, 인두분비, 위액의 유리산 분비 감소
②마취시나 마취유도시 심장미주신경 억제반사의 방지
배뇨장애, 요정체, 안압증가, 빈맥, 심계항진, 발한감소, 미각상실, 두통, 신경과민, 졸음, 쇠약, 어지러움, 불면증, 구역, 구토, 유즙 분비억제
본제에 과민증 환자, 소화성 궤양의 보조시
녹내장 환자ㆍ폐쇄성 요질환 환자ㆍ폐쇄성 위장관 질환 환자
Post-Op.
Botropase 3ml
IV
mix to fluid(youbasol 250ml)
출혈, 1차 및 2차 출혈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
가려움증, 발적, 때때로 발진, 두드러기, 안면홍조, 드물게 쇽
본제에 과민 반응 환자, 혈전증ㆍ색전증 환자, 혈전증 일으킬 우려가 있는 환자
cefazedone 1.0g
IV bid
자궁내 감염/자궁 부속기염 등 부인과 감염증,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 외과/소아과의 감염 예방 및 잠재 감염치료
구토, 현기, 구역, 피부발진, 발열, 대장염, 복통, 설사, 기침, 구내염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조산아 및 신생아
netilmicin 100mg
IM bid
(1일 kg당 3~4mg 2회 분할 투여)
비뇨생식기 감염증, 피부 및 피부 연조직 감염증, 화상·외상 및 수술 후 감염예방
발진, 가려움, 발열, 간 장애, 신장애, 어지러움, 빈혈, 구역, 설사, 비타민B군 결핍증상
본제 또는 다른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 및 바시트라신에 과민증 기왕력자
bromhexine 1A
IV tid
급·만성 기관지염, 폐결핵, 진폐증, 수술 후 기관지 확장증에서의 객담 배출 곤란
설사, 구역, 구토, 식욕부진, 위부불쾌감, 상복부통증, 발진, 호흡곤란, 일시적 오한
본제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갈락토오스 불내성의 유전적 소인을 가지고 있는 환자
②사용 약물
4) 수술 후 간호
수술직후
1일
2일
3일
활력증후
BP : 130/80
P : 72
R : 14
T : 37.2
BP : 130/80
P : 92
R : 18
T : 36.6
BP : 120/70
P : 86
R : 20
T : 36.5
BP : 120/80
R : 84
R : 16
T : 36.5
통증 호소 완화법
PCA연결
PCA 사용
진통제 IV 투약
Bed rest
PCA 사용
진통제 IV 투약
Bed rest
PCA remove
수술 부위 상태
no bleeding
no pain
no bleeding
mild pain
wound site oozing
mild pain
no bleeding
no pain
섭 취 량
NPO
drink some water c juice
regular diet
regular diet
배출량
배액(B-vac)
E 50cc
N 30cc
D 15cc
E 20cc
N 30cc
D 30cc
E 25cc
N 15cc
B-vac
remove
배뇨
E 1000
N 1800
D 50
E 60
N 45
Foley catheter remove.
self voiding.
self voiding.
수면

통증으로 잠에서 깬 후 밤새 뒤척임.
통증으로 쉽게 잠들지 못하였으나 잠들고 난 후 수면 양상 괜찮음.

신체적 불편감

수술부위 통증.
속이 답답함, 오심.
수술부위 통증.
속이 답답함.

운동
Bed rest
ambulation
ambulation
ambulation
정서 상태
drowsy,
자극하면 눈뜨고 반응함.
alert,
불안해하며 질문을 많이 함.
alert,
불안한 모습.
alert,
많이 나아졌지만 조금 걱정스러워 하는 모습 보임.
교육내용
기침, 심호흡을 격려 하였으며 한동안 베개를 베지 않도록 하였다.
PCA사용법과 한동안 NPO하기를 설명하였고, 체위변경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체위 변경과 early ambulation을 권장하였다.
self voiding에 대해 교육하였고 ambulation 계속 격려하였다.
퇴원 후 약 복용에 대해 교육하였다.
Ⅰ. 간 호 진 단
문제
번호
발생
날짜
간 호 진 단
1
2
3/13
3/14
수술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한 불안.
<주관적 근거>
① “답답하고 불안하다..”
② “잠이 잘 안 와요.”
③ “꼭 죽을 것만 같이 답답하네요.”
④ “다른 사람들도 이 수술 많이 하죠? 이 수술 한 사람들 아무런 이상 없죠?”
⑤ “물어 볼 게 있는데 간호사 좀 불러주세요.”
<객관적 근거>
① 수술과 관련한(여성 생식기 제거) 질문을 했을 때 잘 모른다고 대답하였다.
② 혈압이나 체온에 대해 과민하게 반응하였다.
③ 정상혈압인데도 조금 낮게 나오면 120/80과 가까운 수치가 나올 때까지 다시 재달라고 하였다.
④ 여러 가지 질문이 많았고 했던 질문을 다시 반복하기도 했다.
⑤ 수술 전 호흡수가 약 24~26회/분으로 증가되어 있었으며 맥박도 약 100회/분을 유지하였다.
<이론적 근거>
침습적 절차는 대상자에게 위협이 되므로 불안이나 두려움을 일으킬 수 있다. 불안한 경우 경증 불안일 때 질문이 많아지며 경각심이 증가하고, 중정도 불안이 되면 목소리가 떨리고 호흡과 맥박이 증가하며 가벼운 위장증상을 보인다.
조직 손상과 관련한 통증.
<주관적 근거>
① “따끔따끔하다.”
② “진통제 좀 더 줄 수 있나요? 먹는 약에 진통제가 들어가나요?”
③ “안에서부터 욱신욱신한게 아프네요.”
④ “왜 어제보다 더 아픈 것 같은지 모르겠네..”
⑤ “수술하면 원래 이렇게 아픈지...진통제도 안 듣고..”
<객관적 근거>
① 5~6정도의 통증이라고 함.
② 계속 얼굴을 찡그리고 있음.
③ 통증으로 인해 밤에 잠을 잘 자지 못함.
④ PCA를 달고 있으며, 투여 할 수 있는 최대한으로 계속 투여하고 있음.
<이론적 근거>
수술부위 상처는 의도적인 상처이며 개방적 상처이고 절개상이다. 이러한 상처는 통증을 동반하며 통증은 조직손상시의 신경손상이나 상처치료 과정에서 발생한다. 불안, 스트레스가 통증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며 불안이 통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생각이 통증에 사로잡히면 모든 활동이 통증에 집중 된다.
<참고문헌>
손정태 외(2017), 기본간호학Ⅱ, 서울:현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18), 제6판 여성건강간호학1(수정판), 서울:수문사

키워드

간호,   실습,   학점,   모성,   여성,   자궁근종,   부인과,   myoma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3.04.29
  • 저작시기202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50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