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사정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2. 간호진단, 장기목표, 단기목표
3. 진단적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수행
4. 치료적계획 (+이론적 근거), 치료적 수행
5. 교육적계획 (+이론적 근거), 교육적 수행
6. 간호평가
2. 간호진단, 장기목표, 단기목표
3. 진단적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수행
4. 치료적계획 (+이론적 근거), 치료적 수행
5. 교육적계획 (+이론적 근거), 교육적 수행
6. 간호평가
본문내용
호자에게 힘들다며 짜증을 내는 모습을 보였다. 보호자는 대상자의 손을 잡아주며 공감하고 격려하였다.
5. 보호자에게 참석 시 가운, 마스크, 모자, 신발 덮개를 착용하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보호자는 산모 곁에서 격려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적 수행
1. 분만은 산부의 수의적인 힘주기가 필요하며, 복압을 느끼며 변의를 호소할 경우 아래로 힘을 주도록 교육하였다. 힘은 6~7초 이상 지속하지 않도록 하며, 각 수축기에 3~5회 정도만 실시하며, 성문을 연채로 힘주기를 하고 가볍게 숨을 내쉬도록 한다. 선진부가 회음을 누르기 전에는 억지로 힘을 주면 안되며, 자연히 힘이 주어져 열상 등의 염려가 있을 경우 힘의 분산을 위해 팔을 위로 뻗어 머리말의 침대를 잡도록 한다.
2. 대상자에게 분만 호흡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분만 호흡법의 효과]
호흡을 함으로써 진통이 시작되었을 때 산소를 충분히 공급해 근육 및 체내 조직의 이완을 도모하고, 태아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과 동시에 호흡 쪽으로 관심을 돌려 진통을 조금이라도 경감시키는 두 가지 효과를 볼 수 있다.
[분만 단계에 따른 호흡법]
우선 각자에게 적합한 호흡을 알기 위해서는 본인의 1분간 정상 호흡횟수를 알아야 한다. 보통 1분간의 정상 호흡수는 17~22회 정도이다.
1기 잠재기 (호흡 자궁구가 0에서 2.5~3㎝열렸을 때)
진통이 시작되면 심호흡을 하고 느린 흉식호흡을 한다. 이때의 호흡수는 산모의 정상 호흡수의 1/2~2/3가 된다. (예를 들어 1분에 정상 호흡수가 20회인 경우 10~13회가 적당) 입으로 호흡을 하게 되면 입안이 말라 탈수증에 걸릴 우려가 있으므로 숨은 코로 들이쉬고 내쉴 때도 코로 서서히 내쉰다.
1기 활동기, 이행기 (호흡 자궁구가 2.5~3㎝에서 7~8㎝열렸을 때)
이때의 호흡수는 산모의 정상 호흡수의 1.5~2배가량이 좋다. (예를 들어 1분에 정상 호흡수가 20회인 경우 1.5배이면 30회가 되므로 1회 호흡 당 소요시간은 2초가 된다. 결국 짧게 1초 들이 마시고 1초 내쉬는 호흡이 된다.) 숨을 들이쉬고 내쉬기를 같은 호흡량으로 얕고 빠르게 한다. 중기의 호흡 역시 코로 하나, 전기의 호흡보다 빠르고 얕게 하도록 한다.
2기 (호흡 자궁구가 7~8㎝에서 완전히 열릴 때)
이때의 호흡은 중기 호흡과 같으나 3회에 한 번씩 한숨 쉬는 듯 한 호흡을 하면 된다. 가장 힘들고 배에 저절로 힘이 들어갈 때이지만 자궁구가 완전히 벌어질 때까지 힘주는 것을 참아야 하므로 호흡이 가장 중요하다. 힘주기를 피하기 위해 \'히히\' 하면서 아픔을 견디고 \'후\' 하면서 고통을 잊도록한다.
3기 만출기 (호흡 자궁문이 열리고 마침내 아기가 태어나는 순간까지의 힘주기호흡)
우선 심호흡을 크게 두 번 한 뒤 숨을 멈추고 가능한 한 길게 힘주기를 한다. 입을 다물고 대변 보듯 힘을 주어 그 숨을 못 참을 때 까지 속으로 하나, 둘 수를 세어 본다. 다시 숨을 크게 들이 마신 뒤 다시 힘주기를 반복한다. 만출기 호흡법은 자세가 매우 중요하다. 양 다리를 벌리고 무릎 뒤에 손을 걸쳐 가슴으로 잡아 당긴 뒤에 턱을 당긴 자세로 시선을 배꼽을 보고 힘을 준다. 한 진통에 3~5회 반복하도록 한다.
3. 대상자에게 분만 체위에 대해 교육하였다.
①원위 (Vertex): 태아의 머리가 자궁 출구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향하고 있을 때를 말한다. 가장 일반적인 체위로 약 95%의 태아가 이 체위에서 분만된다.
②골리위 (Breech): 태아의 엉덩이 혹은 다리가 자궁 출구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향하고 있을 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머리가 아닌 엉덩이가 먼저 출생하게 되는데, 이는 분만을 더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골리위 체위에서는 태아의 종류에 따라 다시 여러 가지 하위 체위로 나뉠 수 있다.
③외관위 (Transverse): 태아가 자궁 출구에 수평적으로 위치하고 있어 머리나 엉덩이가 출생하려는 방향으로 향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이 체위에서는 분만이 어렵고 자연분만이 불가능하므로 의료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④경부위 (Face): 태아의 머리가 위로 향하고 얼굴이 자궁 출구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향하고 있을 때를 말한다. 이 체위는 드물게 발생하며, 분만이 복잡할 수 있다.
4. 대상자에게 경막 뫼 마취(무통주사)에 대해 교육하였다.
[경막외 마취란]
척추에는 척추 뼈 외에 여러 구조물들이 중앙의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데, 그 구조물중의 하나인 경막의 바깥쪽에 약물을 주입하여 마취를 하는 것을 경막외 마취라고 한다. 이때 사용되는 약물은 적은 농도이기 때문에 진통 시 발생하는 통증을 전달하는 신경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경막외 마취분만의 과정]
자궁경부가 4-5cm 정도 열렸을 때 시행한다. 이는 너무 빨리 마취를 시행하게 되면 태아가 골반을 빠져 나오는 과정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먼저 임산부는 왼쪽 편으로 돌아누운 상태에서 등의 중앙에 경막외 마취를 시술한다. 피하조직에 국소마취를 한 후 바늘을 진입시켜 척추의 구조물인 경막의 바깥쪽 공간을 확인하고 바늘을 통해 가느다란 튜브(카테터, catheter)를 경막외 공간에 거치시킨 후 바늘만 제거한다. 이렇게 거치된 카테터를 통해 약물을 주입하게 되면 경막외 공간으로 약이 확산되면서 신경을 차단하게 되어 진통 작용이 나타나게 된다. 보통 한번 약물주입 후 약효지속시간은 1-2시간 정도이고 분만이 마칠 때까지 반복 투여한다.
[경막외 마취의 효과]
경막 외 마취는 산모의 하반신의 감각과 운동을 차단하여 분만 동안 무통화를 제공한다. 이는 산모가 분만 과정에서 뚜렷한 통증을 느끼지 않게 해주어, 분만을 더 편안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경막외 마취의 부작용]
경막외 마취는 혈관을 확장시켜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요통, 오심, 구토, 드물게 전신 쇼크를 유발할 수 있다.
간호 평가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현재 분만 진행과정에 대해 이해한다고 표현하였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분만 종료 전까지 경막 외 마취(무통주사)에 대해 이해한다고 표현하였다.
2. 대상자는 분만 종료 전까지 힘주기, 호흡법을 적용하여 원활한 분만을 하였다.
5. 보호자에게 참석 시 가운, 마스크, 모자, 신발 덮개를 착용하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보호자는 산모 곁에서 격려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적 수행
1. 분만은 산부의 수의적인 힘주기가 필요하며, 복압을 느끼며 변의를 호소할 경우 아래로 힘을 주도록 교육하였다. 힘은 6~7초 이상 지속하지 않도록 하며, 각 수축기에 3~5회 정도만 실시하며, 성문을 연채로 힘주기를 하고 가볍게 숨을 내쉬도록 한다. 선진부가 회음을 누르기 전에는 억지로 힘을 주면 안되며, 자연히 힘이 주어져 열상 등의 염려가 있을 경우 힘의 분산을 위해 팔을 위로 뻗어 머리말의 침대를 잡도록 한다.
2. 대상자에게 분만 호흡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분만 호흡법의 효과]
호흡을 함으로써 진통이 시작되었을 때 산소를 충분히 공급해 근육 및 체내 조직의 이완을 도모하고, 태아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과 동시에 호흡 쪽으로 관심을 돌려 진통을 조금이라도 경감시키는 두 가지 효과를 볼 수 있다.
[분만 단계에 따른 호흡법]
우선 각자에게 적합한 호흡을 알기 위해서는 본인의 1분간 정상 호흡횟수를 알아야 한다. 보통 1분간의 정상 호흡수는 17~22회 정도이다.
1기 잠재기 (호흡 자궁구가 0에서 2.5~3㎝열렸을 때)
진통이 시작되면 심호흡을 하고 느린 흉식호흡을 한다. 이때의 호흡수는 산모의 정상 호흡수의 1/2~2/3가 된다. (예를 들어 1분에 정상 호흡수가 20회인 경우 10~13회가 적당) 입으로 호흡을 하게 되면 입안이 말라 탈수증에 걸릴 우려가 있으므로 숨은 코로 들이쉬고 내쉴 때도 코로 서서히 내쉰다.
1기 활동기, 이행기 (호흡 자궁구가 2.5~3㎝에서 7~8㎝열렸을 때)
이때의 호흡수는 산모의 정상 호흡수의 1.5~2배가량이 좋다. (예를 들어 1분에 정상 호흡수가 20회인 경우 1.5배이면 30회가 되므로 1회 호흡 당 소요시간은 2초가 된다. 결국 짧게 1초 들이 마시고 1초 내쉬는 호흡이 된다.) 숨을 들이쉬고 내쉬기를 같은 호흡량으로 얕고 빠르게 한다. 중기의 호흡 역시 코로 하나, 전기의 호흡보다 빠르고 얕게 하도록 한다.
2기 (호흡 자궁구가 7~8㎝에서 완전히 열릴 때)
이때의 호흡은 중기 호흡과 같으나 3회에 한 번씩 한숨 쉬는 듯 한 호흡을 하면 된다. 가장 힘들고 배에 저절로 힘이 들어갈 때이지만 자궁구가 완전히 벌어질 때까지 힘주는 것을 참아야 하므로 호흡이 가장 중요하다. 힘주기를 피하기 위해 \'히히\' 하면서 아픔을 견디고 \'후\' 하면서 고통을 잊도록한다.
3기 만출기 (호흡 자궁문이 열리고 마침내 아기가 태어나는 순간까지의 힘주기호흡)
우선 심호흡을 크게 두 번 한 뒤 숨을 멈추고 가능한 한 길게 힘주기를 한다. 입을 다물고 대변 보듯 힘을 주어 그 숨을 못 참을 때 까지 속으로 하나, 둘 수를 세어 본다. 다시 숨을 크게 들이 마신 뒤 다시 힘주기를 반복한다. 만출기 호흡법은 자세가 매우 중요하다. 양 다리를 벌리고 무릎 뒤에 손을 걸쳐 가슴으로 잡아 당긴 뒤에 턱을 당긴 자세로 시선을 배꼽을 보고 힘을 준다. 한 진통에 3~5회 반복하도록 한다.
3. 대상자에게 분만 체위에 대해 교육하였다.
①원위 (Vertex): 태아의 머리가 자궁 출구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향하고 있을 때를 말한다. 가장 일반적인 체위로 약 95%의 태아가 이 체위에서 분만된다.
②골리위 (Breech): 태아의 엉덩이 혹은 다리가 자궁 출구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향하고 있을 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머리가 아닌 엉덩이가 먼저 출생하게 되는데, 이는 분만을 더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골리위 체위에서는 태아의 종류에 따라 다시 여러 가지 하위 체위로 나뉠 수 있다.
③외관위 (Transverse): 태아가 자궁 출구에 수평적으로 위치하고 있어 머리나 엉덩이가 출생하려는 방향으로 향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이 체위에서는 분만이 어렵고 자연분만이 불가능하므로 의료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④경부위 (Face): 태아의 머리가 위로 향하고 얼굴이 자궁 출구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향하고 있을 때를 말한다. 이 체위는 드물게 발생하며, 분만이 복잡할 수 있다.
4. 대상자에게 경막 뫼 마취(무통주사)에 대해 교육하였다.
[경막외 마취란]
척추에는 척추 뼈 외에 여러 구조물들이 중앙의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데, 그 구조물중의 하나인 경막의 바깥쪽에 약물을 주입하여 마취를 하는 것을 경막외 마취라고 한다. 이때 사용되는 약물은 적은 농도이기 때문에 진통 시 발생하는 통증을 전달하는 신경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경막외 마취분만의 과정]
자궁경부가 4-5cm 정도 열렸을 때 시행한다. 이는 너무 빨리 마취를 시행하게 되면 태아가 골반을 빠져 나오는 과정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먼저 임산부는 왼쪽 편으로 돌아누운 상태에서 등의 중앙에 경막외 마취를 시술한다. 피하조직에 국소마취를 한 후 바늘을 진입시켜 척추의 구조물인 경막의 바깥쪽 공간을 확인하고 바늘을 통해 가느다란 튜브(카테터, catheter)를 경막외 공간에 거치시킨 후 바늘만 제거한다. 이렇게 거치된 카테터를 통해 약물을 주입하게 되면 경막외 공간으로 약이 확산되면서 신경을 차단하게 되어 진통 작용이 나타나게 된다. 보통 한번 약물주입 후 약효지속시간은 1-2시간 정도이고 분만이 마칠 때까지 반복 투여한다.
[경막외 마취의 효과]
경막 외 마취는 산모의 하반신의 감각과 운동을 차단하여 분만 동안 무통화를 제공한다. 이는 산모가 분만 과정에서 뚜렷한 통증을 느끼지 않게 해주어, 분만을 더 편안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경막외 마취의 부작용]
경막외 마취는 혈관을 확장시켜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요통, 오심, 구토, 드물게 전신 쇼크를 유발할 수 있다.
간호 평가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현재 분만 진행과정에 대해 이해한다고 표현하였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분만 종료 전까지 경막 외 마취(무통주사)에 대해 이해한다고 표현하였다.
2. 대상자는 분만 종료 전까지 힘주기, 호흡법을 적용하여 원활한 분만을 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