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와 방송강의 제3강의 내용을 학습한 후, 황현산의 「비평의 언저리」에 나타난 ‘비평’의 의미와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고 황현산의 비평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16점)
1) 비평의 의미와 역할
(1) 비평의 의미
(2) 비평의 역할
2) 자신의 견해
2. 방송강의 내용을 활용하여 [시에 실어 말하다](제10강)에 실린 漢詩 6편을 읽고 자신의 견해가 드러난 감상평을 작성하시오. (17점)
1) 구일(九日) 감상평 2) 규정(閨精)감상평
3) 효발연안(曉發延安) 감상평 4) 도망(悼亡) 감상평
5) 재가야산독서당(在伽倻山讀書堂) 감상평 6) 박연(朴淵) 감상평
3. 로만 야콥슨이 제시한 ‘언어의 여섯가지 기능’에 대하여 교재와 방송강의 제11강을 학습한 바탕 위에서,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새로운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17점)
①정보적 기능 ②표출적 기능 ③명령적 기능
④친교적 기능 ⑤관어적 기능 ⑥미학적 기능
4. 참고문헌
1) 비평의 의미와 역할
(1) 비평의 의미
(2) 비평의 역할
2) 자신의 견해
2. 방송강의 내용을 활용하여 [시에 실어 말하다](제10강)에 실린 漢詩 6편을 읽고 자신의 견해가 드러난 감상평을 작성하시오. (17점)
1) 구일(九日) 감상평 2) 규정(閨精)감상평
3) 효발연안(曉發延安) 감상평 4) 도망(悼亡) 감상평
5) 재가야산독서당(在伽倻山讀書堂) 감상평 6) 박연(朴淵) 감상평
3. 로만 야콥슨이 제시한 ‘언어의 여섯가지 기능’에 대하여 교재와 방송강의 제11강을 학습한 바탕 위에서,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새로운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17점)
①정보적 기능 ②표출적 기능 ③명령적 기능
④친교적 기능 ⑤관어적 기능 ⑥미학적 기능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알맞거나 그렇지 않은 행동적 태도적 반응을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언어의 명령적 기능은 청자에게 그 초점이 놓여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식사 시간을 앞두고 남편이 아내에게 “배고프지 않아” 또는 “집에 칼국수 있어?”라고 말하면, 이는 식사를 준비해달라거나 칼국수를 만들어 달라는 명령적 의미가 있는 것이다.
④친교적 기능
언어 행위의 요소 중 환경(의사소통의 경로)과 관련된 기능으로 상황적 기능이라고도 하는데,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언제고 필요하기만 하다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전제의 확인과도 같은 언어행위이다. 이는 언어 행위의 요소 중 환경(의사소통의 경로)과 관련된 기능이다. 예를 들면, 지인과 만났을 때 “밥 먹었어?”나, 지인과 헤어질 때 “언제 식사 한 하자.”라는 말은 진짜 밥 먹었는지 궁금하거나, 진짜 날을 잡아서 식사하자는 의미라기보다는 만날 때나 헤어질 때 의례하는 친교적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지인과 오랜만에 만나서“옷 참 이쁘네.”, “얼굴 좋아졌네.”라고 하면 이 또한 예의상 또는 형식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결국 언어의 친교적 기능은 언어 표현이 사회적 유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언어 표현이 친교적 기능으로 사용될 때에는 개념적 의미는 적용괴지 않고 형식적 의례적인 의사소통의 목적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언어 표현의 친교적 기능에서는 화자와 청자가 말하는 내용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그냥 말한다는 사실이 더 중요한 것이다.
⑤관어적 기능
관어적 기능은 언어 행위의 요소 중 언어 자체에 대한 것으로 언어와 언어끼리 관계를 맺는 기능이다. 이는 말을 통하여 새로운 말을 배우는 기능으로 메타언어적 기능이라고도 한다. 이는 언어 행위의 요소 중 언어(Code) 자체에 대한 기능이다. 새로운 어휘를 습득하고 외국어를 배우며 어떤 특정한 지식을 체계화하려 할 때, 관어적 기능이 없다면 크게 불편할 것이다. 예를 들면, 어머니는 한자로 母라고 한다. 이 예문으로 알 수 있듯이 관어적 기능은 A계열에 속하는 언어로 B계열에 속하는 언어를 설명한다. 또한‘언어’의 의미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보면,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 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그 음성이나 문자 따위의 사회 관습적인 체계’으로 그 뜻풀이를 하면서 표제어 언어와 뜻풀이끼리 관계를 맺는다.
⑥미학적 기능
언어 행위의 요소 중 전언(傳言, Message) 자체에 초점을 맞추는 기능으로 시적 기능이라고도 한다. 이 기능은 말하는 사람의 의식적·무의식적 노력에 의해서 되도록이면 듣기 좋은 짜임새를 가지려 하는 말(전언)의 속성을 의미한다. “그대 그리고 나”, \"물결이 밀려와 부서지는 소리가 해변을 채우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등이 그러한 예가 된다.
미학적 기능은 언어를 예술적 재료로 삼는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지배적 기능이다. 다음은 이효석의 메일꽃 필 무렵의 한 구절로 이 또한 미학적 기능을 보여주는 글이다.“ 방울 소리가 시원스럽게 딸랑딸랑 메밀밭께로 흘러간다.” 그러나 문학뿐 아니라 일상의 대화에서도 미학적 기능을 의식하여 언어를 사용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대구형식의 속담이 대표적인 예이다.
언어 표현이 미학적 기능으로 사용될 때에는 가능한 모든 의사 전달의 수단과 모든 종류의 의미가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시인과 시의 독자는 시적 의사소통의 행위에 관여하기 위해서, 의미에 관한 고도화된 감수성을 발휘해야 한다.
4. 참고문헌
임유경·박종성·이호권, 『글과 생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23.
④친교적 기능
언어 행위의 요소 중 환경(의사소통의 경로)과 관련된 기능으로 상황적 기능이라고도 하는데,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언제고 필요하기만 하다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전제의 확인과도 같은 언어행위이다. 이는 언어 행위의 요소 중 환경(의사소통의 경로)과 관련된 기능이다. 예를 들면, 지인과 만났을 때 “밥 먹었어?”나, 지인과 헤어질 때 “언제 식사 한 하자.”라는 말은 진짜 밥 먹었는지 궁금하거나, 진짜 날을 잡아서 식사하자는 의미라기보다는 만날 때나 헤어질 때 의례하는 친교적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지인과 오랜만에 만나서“옷 참 이쁘네.”, “얼굴 좋아졌네.”라고 하면 이 또한 예의상 또는 형식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결국 언어의 친교적 기능은 언어 표현이 사회적 유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언어 표현이 친교적 기능으로 사용될 때에는 개념적 의미는 적용괴지 않고 형식적 의례적인 의사소통의 목적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언어 표현의 친교적 기능에서는 화자와 청자가 말하는 내용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그냥 말한다는 사실이 더 중요한 것이다.
⑤관어적 기능
관어적 기능은 언어 행위의 요소 중 언어 자체에 대한 것으로 언어와 언어끼리 관계를 맺는 기능이다. 이는 말을 통하여 새로운 말을 배우는 기능으로 메타언어적 기능이라고도 한다. 이는 언어 행위의 요소 중 언어(Code) 자체에 대한 기능이다. 새로운 어휘를 습득하고 외국어를 배우며 어떤 특정한 지식을 체계화하려 할 때, 관어적 기능이 없다면 크게 불편할 것이다. 예를 들면, 어머니는 한자로 母라고 한다. 이 예문으로 알 수 있듯이 관어적 기능은 A계열에 속하는 언어로 B계열에 속하는 언어를 설명한다. 또한‘언어’의 의미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보면,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 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그 음성이나 문자 따위의 사회 관습적인 체계’으로 그 뜻풀이를 하면서 표제어 언어와 뜻풀이끼리 관계를 맺는다.
⑥미학적 기능
언어 행위의 요소 중 전언(傳言, Message) 자체에 초점을 맞추는 기능으로 시적 기능이라고도 한다. 이 기능은 말하는 사람의 의식적·무의식적 노력에 의해서 되도록이면 듣기 좋은 짜임새를 가지려 하는 말(전언)의 속성을 의미한다. “그대 그리고 나”, \"물결이 밀려와 부서지는 소리가 해변을 채우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등이 그러한 예가 된다.
미학적 기능은 언어를 예술적 재료로 삼는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지배적 기능이다. 다음은 이효석의 메일꽃 필 무렵의 한 구절로 이 또한 미학적 기능을 보여주는 글이다.“ 방울 소리가 시원스럽게 딸랑딸랑 메밀밭께로 흘러간다.” 그러나 문학뿐 아니라 일상의 대화에서도 미학적 기능을 의식하여 언어를 사용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대구형식의 속담이 대표적인 예이다.
언어 표현이 미학적 기능으로 사용될 때에는 가능한 모든 의사 전달의 수단과 모든 종류의 의미가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시인과 시의 독자는 시적 의사소통의 행위에 관여하기 위해서, 의미에 관한 고도화된 감수성을 발휘해야 한다.
4. 참고문헌
임유경·박종성·이호권, 『글과 생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23.
추천자료
사회복지법제와실천 2023년) 1.사회복지법을 학습해야 하는 이유와 사회복지법과 실천의 연계...
학교사회복지론 2023년 중간과제물) 1.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목적 개념 학교사회복지론 2.자...
한국사의이해 2023년 중간과제물) 1.아래 문제 중 2개를 선택하고, 교재를 참조하여 각각 서...
자원봉사론 2023년) 현대사회에서 자원봉사가 왜 더 필요하게 되는지 그 이유,자원봉사론 자...
2023년 성인간호학 중간과제물 1) 경장영양의 정의와 정맥영양과의 차이 및 경장영양액의 보...
2023년 방송통신대 한국사의이해 중간과제물) 1.아래 문제 중 2개를 선택하고, 교재를 참조하...
방송통신대 사회복지와인권 2023년 중간과제) 1. 세계인권선언문 중 사회 경제 문화적 권리를...
한국사의이해 2023년 기말)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한...
2023 자원봉사론 기말시험과제물) 특정 자원봉사활동의 주체와 대상을 선정하여 그 자원활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