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
2.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차이점
1) 정신분석 상담이론
2) 분석치료 상담이론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
2.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차이점
1) 정신분석 상담이론
2) 분석치료 상담이론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고, 그 목적을 인간의 전체성을 이루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융에 의하면, 목적론적 관점(그 현상의 궁극적 목적은 무엇인가?)은 프로이트의 원인론적 관점(그것이 왜 생겨났는가?)에 비해 인간 정신을 좀 더 높은 단계로까지 고양 시킬 수 있다고 했는데, 그것은 인간 정신을 전체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모든 정신 현상은 그 목적을 향해서 나아가는 것으로 파악했기 때문이다. 다섯째, 역사적 사실에 대한 흥미는 그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융이 주장하는 ‘집단적 무의식’은 많은 세대를 거쳐 반복된 경험들의 결과가 축적된 것으로, 이것은 우리들 속에 조상과 같은 방식으로 지각하고 생각하고, 느끼는 소인(素因-predisposition)이 존재한다는 것을 말한다. 즉, 융에 의한 집단적 무의식은 인류가 쌓아놓은 정신적발달의 창고로서, 현재의 행동을 지시하는 성격의 가장 강력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여섯째, 융의 사상은 폐쇄된 체계가 아니라 열려 있고, 항상 변화해 갔다. 융의 사상은 모든 과학에 열려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언제나 더욱 완성되는 과정에 있었다. 그는 심리학을 형성하는데 있어 신화, 설화, 종교, 문학 등인간의 정신 현상과 관계되는 모든 분야들과 대화하고자 하였고, 그것들에서 그의 생각과 관련되는 것이 있으면 받아들였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진리였기에 사상은 언제나 발전되어 갔으며, 초기 사상과 그 이후 사상 사이에 변천되는 모습이 많이 나타난다. 융은 자신의 여러 개념의 종합적인 체계화를 꺼렸으며, 낡은 통찰을 요약하기보다는 관찰을 축적함으로써 새로운 통찰을 추출해내기를 좋아했다. 그는 되풀이해서 ‘사실’을 알아내고 이해하고 싶다고 주장했다. 그에게 있어 이론은 어디까지나 잠정적인 추측에 지나지 않았다. 이론은 현실의 확고한 사실과 모순 될 때에는 사라져야 한다는 것이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융의 분석적 접근은 과학적 객관성이 결여되었다고 정통 정신분석가로 부터 비판을 받으나, 인간의 경험을 초월하는 종교적 신비와 일맥상통한다. 융 분석심리학에서 인간은 스스로 자기 길을 찾아가는 존재가 아니라 개인을 초월하는 무의식의 힘에 의하여 행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융 분석심리학에서인간 행동은 과거의 무의식과 함께 개인의 장래에 대한 희망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 인간에 대하여 낙관적 견해를 갖고 있다. 융은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정신병리에 대한 인과론적 접근에 비판적이었으며, 정신 현상에 대하여 목적론적으로 접근하였다. 정신병리에도 개인의 삶을 통하여 나타내고자 하는 목적과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이부영, 『분석심리학』, 서울: 일조각, 2002.
김성민. 융의 심리학과 종교. 서울:동명사, 2010.
강영계.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이야기』 서울: 해냄출판사, 2007.
김충기, 강봉규.『현대 상담 이론과 실제』서울: 교육과학사, 2001.
Jung, C, G 외.『Jung 심리학 해설』 설영환 역, 서울: 선영사, 2001.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융의 분석적 접근은 과학적 객관성이 결여되었다고 정통 정신분석가로 부터 비판을 받으나, 인간의 경험을 초월하는 종교적 신비와 일맥상통한다. 융 분석심리학에서 인간은 스스로 자기 길을 찾아가는 존재가 아니라 개인을 초월하는 무의식의 힘에 의하여 행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융 분석심리학에서인간 행동은 과거의 무의식과 함께 개인의 장래에 대한 희망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 인간에 대하여 낙관적 견해를 갖고 있다. 융은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정신병리에 대한 인과론적 접근에 비판적이었으며, 정신 현상에 대하여 목적론적으로 접근하였다. 정신병리에도 개인의 삶을 통하여 나타내고자 하는 목적과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이부영, 『분석심리학』, 서울: 일조각, 2002.
김성민. 융의 심리학과 종교. 서울:동명사, 2010.
강영계.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이야기』 서울: 해냄출판사, 2007.
김충기, 강봉규.『현대 상담 이론과 실제』서울: 교육과학사, 2001.
Jung, C, G 외.『Jung 심리학 해설』 설영환 역, 서울: 선영사, 2001.
추천자료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상담이론과실제)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방통대 중간과제물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
[상담이론과실제 과제]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
[상담이론과실제]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상담이론과실제 )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상담심리학 2023]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엘리스의 합리정...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상담심리학 중간과제물)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