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과 환율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환과 환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외환과 환율]

1. 외환

2. 환율



*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되는 환율을 선물 환율(forward rate)라고 한다. 또한 외국은행 간의 거래에서 적용되는 환율을 은행 간 환율(inter-bank rate)이라 하며, 외환 은행과 고객과의 거래에 적용되는 환율을 대고객 환율(customer rate)라고 한다.
2) 환율제도
(1) 환율 제도의 유형
1/ 고정 환율제도
고정 환율 제도(fixed exchange rate system)란 정부에서 사전에 환율을 일
정한 수준으로 고정시키는 제도를 말하며, 일체의 환율 변동을 인정하지 않는 엄격한 고정 환율 제도와 일정한 범위를 정해두고 그 범위 내에서의 변동은 허용해주는 고정 환율 제도로 나누어진다.
이 제도는 환율의 안정을 통해 환위험을 줄여서 국제 무역이나 투자를 확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환율이 조정되는 환율 자동 조정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기 때문에 국제수지가 불균형이 될 때마다 인위적으로 환율을 변동시켜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2/ 변동 환율제도
변동 환율 제도(floating exchange rate system)란 환율이 외환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제도를 말한다. 변동 환율 제도는 국제 수지 불균형의 해소가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조정됨으로써 정부의 개입 노력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잦은 환율 변동으로 인해서 국제 거래 규모가 축소될 수 있으며, 환율 변동을 이용한 환투기가 성행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3/ 관리 변동 환율제도
관리 변동 환율제도(managed floating exchange rate)란 고정 환율 제도와 자유 변동 환율 제도가 절충된 형태이다. 기본적으로는 변동 환율 제도를 유지하지만, 외환 시장의 불균형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환투기와 같은 요인을 제거할 목적으로 정부가 개입하게 된다.
(2) 우리나라 환율 제도의 변화 과정
1/ 고정 환율제도(1945.10 - 1964.5)
1945년 10월 1일 미군정 당국에 의해 처음으로 미화 1달러 당 15원으로 공식 환율이 정해져서 적용되다가, 이후 1948년 2월 한국정부에 의한 최초의 공정 환율이 1달러 당 450원으로 공표되었다. 그러나 6 - 25에 따른 미 달러 환율의 급상승, 그리고 원화 환을 바꿔가면서 시행된 1955년과 1962년의 통화 개혁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공정 환율이 상승하여 1962년 미국 달러 환율은 130원으로 책정되었으며, 이 환율은 1964년까지 지속되었다.
2/ 단일 변동 환율제도(1964. 5-1980. 2)
해방 이후 계속된 국제 수지 적자에 따른 외환의 부족으로 지속적인 평가 절하를 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항상 실질 환율과 공정 환율이 괴리된 상태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환율의 모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단일 환율 제도로 이행 하게 되었다.
공식적으로는 변동 환율 제도로 이행되었으나 실질적으로는 전과 다름없이 달러에 연동된 고정 환율 제도로 운용되었다. 환율은 2-3년 만에 한 번씩 대폭적으론 평가가 조정되었다. 제도 시행 첫 해의 환율은 130원에서 250원으로 급상승하였으며 1973년 1차 석유 파동 이후에는 480원 그리고 1979년 2차 석유 파동 이후에는 580원으로 수직 상승의 상태를 보였다.
3/ 복수 통화 바스켓 제도(1980. 3-1990. 2)
우리나라 환율이 실질적으로 변동 환율로 운용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 3월 복수 바스켓(basket)제도를 채택한 이후부터이다. 두 차례의 석유 파동으로 인해 악화된 우리나라의 국제 수지는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에 따른 무역장벽의 강화로 더욱 심화되었다. 따라서 단일 변동 환율제에 정부의 개입이 점점 더 빈번해졌고, 이에 따라 외환 시장의 환율 변동에 의한 국제 수지 조정 기능이 더욱더 약화되었으며, 다른 국가의 통화 환율의 변동에 관계없이
오로지 미국 달러화에 따라 환율이 등락하는 현상이 초래되었다. 이에 미국 달러화에 탈피하여 자율적으로 환율 변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환율제도가 필요하게 되어 시행된 것이 복수 통화 바스켓 제도이이다.
복수 통화 바스켓(basket)제도란 자국과 교역 비중이 높은 복수 국가의 통화를 선택하여 통화군(basket)을 구성하고 이 바스켓을 구성하는 통화들의 가치가 변동할 경우 각각 교역 가중치에 따라 자국 통화의 환율에 이를 반영하는 환율 제도를 말한다.
4/ 시장 평균 환율제도(1990. 3-1997. 2)
시장 평균 환율이란 국내의 모든 외환 은행 사이에서 거래된 현물환 거래환율을 거래량으로 가중 평균하여 산출한 환율을 말한다. 시장 평균 환율 제도에서는 제한적이나마 국내 외환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환율이 결정 되었으며, 외환 은행의 자율성이 어느 정도 허용되었다. 따라서 시장 평균 환율 제도는 지금까지의 환율 제도에서 결여되었던 시장 기능을 강화하고 외환 시장을 활성화하여 궁극적으로는 자유 변동 환율 제도로 이행하기 위한 과도기적인 제도라 할 수 있다.
5/ 자유 변동 환율 제도(1997.12-현재)
자유 변동 환율제란 외환의 수급 상황에 따라 외환 시장에서 자유로이 환율을 변동시키는 제도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환율 제도는 1997년 12월 IMF가 외환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긴급 자금을 지원하는 조건으로 제시한 여러조건을 받아들임으로써 자유 변동 환율제로 이행하게 되었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키워드

  • 가격6,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3.05.09
  • 저작시기202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6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