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과 무역결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환과 무역결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외환과 무역결제]

[1] 외환

[2] 환율

[3] 외환시장

[4] 국제금융시장

[5] 파생금융상품시장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로 보유하고 있는 타국통화표시 고정금리 채무의 원리금 상환의무를 서로 교환하기로 약정하는 거래이며, 직접통화스왑은 두 거래당사자간에 서로 필요로 하는 타국통화표시자금을 오늘 현물환율을 이용해서 매매하고 미래의 약정일(예를 들어 3개월 뒤)에 그 날의
현물환율로 다시 동일금액을 역으로 재매매하는 거래방식이다.
가령 A라는 기업이 1억엔의 엔화차관을 들여왔는데 엔화강세(엔화의 평가절상)를 예상하면서 미달러화의 악세를 동시에 예상한다면 이 기업은 엔화를 즉각 미달러화로 바꿔 놓는 통화스왑을 하고 이 예상이 맞는다면 상당한 이득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2) 금리스왑
금리스왑(interest rate swap)이란 두 채무자가 각각의 채무에 대한 이자지급의 무를 일정기간 동안 서로 바꾸어 부담하기로 약정하는 거래를 말하는 것으로 통화스왑과는 달리 거래당사자간 이자지급의무만 있고 원금상환의무는 없다.
금리스왑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AAA와 BBB 등의 상대적인 기업신용도에 대한 스왑거래자간의 생각이 달라야 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A기업이 미화 1억달러를 차입한 경우 금리상승을 예상하여 계약시의 변동금리를 5년짜리 고정금리로 교체하는 스왑거래를 했다고 하자. 이때 A기업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국제금리가 더 올라갔다면 위험회피는 물론 상당한 수익까지 올릴 수 있을 것이다.
2. 선물
선물계약(futures contract)이란 금융자산 또는 수량 품질 등이 규격화되어 있는 상품에 대하여 현재 시점에서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 일정 시점에서 인수 인도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으로 시카고 상업거래소(CME)와 같은 일정한 거래소에서 규정된 방법으로만 거래된다. 금융자산에 대한 선물계약에는 통화선물 계약, 금리선물계약, 주가지수선물계약이 있다.
선물거래의 개념은 외환거래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원유나 소맥 등과 같이 1차산품의 거래와 증권거래에도 적용되고 있다. 선물거래는 1차산품의 경우 이들의 시세를 연중 평준화시켜 주기도 한다. 즉 4월에 수확되는 소맥이나 12월에 수확되는 원면을 몇 개월 앞서서 매매함으로써 수확시의 가격폭락이나 다른 기간의 가편폭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1) 통화선물(currency futures)
이는 장래에 인수 인도될 외환의 가격, 즉 환율을 미리 결정하여 거래한다는 점에서 선물환거래와 동일하나 거래액과 결제일이 표준화되어 있고 조직화된 거래소에서 공개경쟁 입찰방식(open outcry)으로 행해진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이다. 그밖에 통화선물은 만기일에 외환의 인수도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드물고 만기 이전에 반대거래로 상쇄되고 차액만 결제되며, 일정액의 증거금 제도에 의해 거래상대방의 신용위험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오늘날 시카고 상업거래소, 런던 국제금음선물거래소(LIFFE), 싱가폴 국제통화거래소(SIMEX) 등에서 대부분의 주요 통화에 대한 선물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2) 금리선물(interest rate futures)
금리선물은 시장금리가 변동하여 금융자산의 가격변동위험이 있을 때 이를 헷징하거나 투자수익을 높이기 위하여 장래 일정시점에서의 특정 금융자산의 예상수익률을 매매하는 거래이다. 그러나 실제로 거래되는 것은 금리 자체가 아니라 이자소득을 발생시키는 금융자산의 선물거래이며 통화선물거래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3) 주가지수선물(stock index futures)
주가지수선물은 다수 특정회사의 주식을 한데 묶어서 이들의 주가를 가중평균하여 산출한 일종의 이론적인 종합주가지수, 즉 지수상품을 매매하는 선물거래이다. 따라서 주가지수선물거래에서는 주가지수라는 형체가 없는 지수상품을 대상으로 거래하기 때문에 현물결제가 불가능하다. 이것도 다른 선물거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3. 옵션
옵션(option)이란 옵션매입자가 옵션계약에 명시된 조건을 옵션의 만기일(또는 그 이전)에 옵션매도자에게 이행하도록 요구하거나 또는 요구하지 않을 수도 있는 두 가지 권리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따라서 옵션 매입자는 매도자로부터 미리 정한 가격의 특정상품을 매매할 수 있는 권리를 취득하는 대가로 프리미엄을 지불해야 하는데 이를 옵션가격(option price or premium)이 라고 한다.
옵션의 특징은 매입자는 매매의 권리는 있지만 계약상 의무는 전혀 없으며, 반대로 옵션 매도자는 매입자가 권리를 행사할 경우 반드시 매입자의 요구에 응해야 할 의무만을 가지며 권리는 전혀 없다는 것이다. 선물계약에서는 매입자와 매도자가 권리 및 의무를 동시에 가지는 대칭적인 관계인데 비해 옵션계약 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 차이이다.
옵션거래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는 주식, 채권, 선물계약, 이자율, 외국통화 등이 있다. 현재 선물거래소에서 취급하는 옵션의 형태는 통화옵션, 금리옵션, 개별주식 옵션(individual stock option), 주가지 수옵션(stock index option) 등이 있으며 옵션의 일종으로 신주인수권(warrant)이 있다.
대표적으로 통화옵션은 특정통화 일정액을 미래 일정기간내 또는 특정일에 미리 정하는 환율로 다른 통화와 교환으로(다른 통화를 대가로) 매입 또는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다. 금리옵션은 계약시 미리 결정된 이자율을 행사가격으로 하여 만기시의 시장이자율과 행사가격의 차액을 지급하는 옵션이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키워드

  • 가격6,8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23.05.09
  • 저작시기202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6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