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무엇을 하는지 안전하게 확인하는 과정에서 내 마음속에 어떤 풀리지 않은 감정과 경험이 숨겨져 있는지를 알아내고자 노력한다.
14) 마음속 깊이 넣어두고 꺼내지 않은, 혼자 꺼내기 어려웠던 부모님에 대한 감정과 말을 생각하고 표현한다.
학습 자료, 매체 해당 없음
종결
5분
1) 작은 벨이나 박수소리로 종료시간을 알린다.
“여러분 훈련 프로그램 피드백 시간입니다. 다들 자신의 감정을 최대한 표현하고자 노력하셨나요? 그럼 이제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이 조금이라도 느낀 변화에 대해 이야기 해보는 시간을 가져볼까요?”
2) 타 학습자와의 대화에서 얻은 피드백을 공유한다. 이때 강요하지 않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든다. 종료시간에 학습자는 다음과 같은 피드백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①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표현할 때 부정적이고 저항적인 태도를 보이더라도 받아들이는 것
② 시간을 절약하고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발표 방향을 결정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순서를 정한다.
③ 지나치게 심각하거나 장난스럽거나 불성실한 분위기에 휘말리지 않도록 조절한다.
④ 시간이 촉박하다는 느낌을 주거나 학습자의 피드백 시간을 제한하지 않는다.
3) 종료
1) 학습자의 감정을 온전히 받아들이고 피드백 한다.
학습 자료, 매체 해당 없음
[참고문헌]
- 이향숙, & 신애자. (2018). 교도관의 감수성훈련 집단상담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7(2), 239-263.
- 이상희, & 정민정. (2007). 감수성훈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및 자기의식에 미치는 효과. 아동복지연구, 5(3), 39-57.
14) 마음속 깊이 넣어두고 꺼내지 않은, 혼자 꺼내기 어려웠던 부모님에 대한 감정과 말을 생각하고 표현한다.
학습 자료, 매체 해당 없음
종결
5분
1) 작은 벨이나 박수소리로 종료시간을 알린다.
“여러분 훈련 프로그램 피드백 시간입니다. 다들 자신의 감정을 최대한 표현하고자 노력하셨나요? 그럼 이제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이 조금이라도 느낀 변화에 대해 이야기 해보는 시간을 가져볼까요?”
2) 타 학습자와의 대화에서 얻은 피드백을 공유한다. 이때 강요하지 않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든다. 종료시간에 학습자는 다음과 같은 피드백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①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표현할 때 부정적이고 저항적인 태도를 보이더라도 받아들이는 것
② 시간을 절약하고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발표 방향을 결정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순서를 정한다.
③ 지나치게 심각하거나 장난스럽거나 불성실한 분위기에 휘말리지 않도록 조절한다.
④ 시간이 촉박하다는 느낌을 주거나 학습자의 피드백 시간을 제한하지 않는다.
3) 종료
1) 학습자의 감정을 온전히 받아들이고 피드백 한다.
학습 자료, 매체 해당 없음
[참고문헌]
- 이향숙, & 신애자. (2018). 교도관의 감수성훈련 집단상담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7(2), 239-263.
- 이상희, & 정민정. (2007). 감수성훈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및 자기의식에 미치는 효과. 아동복지연구, 5(3), 39-5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