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개발과평가_유성구 독거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셀프요리교실 프로그램 대상 대전 유성구에 거주 중인 독거노인 주제 유성구 독거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셀프요리교실 프로그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로그램개발과평가_유성구 독거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셀프요리교실 프로그램 대상 대전 유성구에 거주 중인 독거노인 주제 유성구 독거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셀프요리교실 프로그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지역복지 자원현황

2) 지역적 환경특성

3) 지역 프로그램

4) 평가와 나의 생각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 65세 이상 노인과 독거노인 현황]
(6) 프로그램 설명
주 2회 2달간 프로그램으로 두 시간동안 요리를 배우도록 한다. 그리고 한 시간 정도 노인들끼리 만든 음식을 시식하며 불편하고 보완해야 할 점을 의논한다. 그리고 셀프요리에 더 할 수 있는 다른 정보도 나누면서 집에서 직접시연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셀프요리는 전문 요리강사님을 위주로 하여 남성분은 기초적인 밥 짓기부터 시작하여 하나씩 요리를 7가지 정도를 배워갈 수 있다. 또 여성분은 8가지의 요리를 배우며, 배웠던 요리에 응용도 가능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또 나이가 들면서 짜지는 현상을 막기 위해 스푼과 종이컵을 이용한 계량법도 배운다. 또 미디어의 발달로 자신의 요리를 소셜에 올리는 서비스도 같이 알려주면서 요리를 배우는 즐거움과 젊은 세대와의 소통의 시간도 가질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 준다.
(7) 사례 평가
복지관의 독거노인 셀프요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고독과 삶에 즐거움이 없던 시간을 또래의 친구 분들과 담소를 나누면서 삶의 증진을 올릴 수 있었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족과 소통에도 더 다가갈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멀리 떨어진 가족들의 방문 시 손수 간단한 요리를 해주면서 자존감도 올라가는 시간도 될 수 있었다. 독거라는 말처럼 혼자 있는 시간들을 보내면서 끼니에 대한 즐거움이 없었다. 하지만 간단한 요리법을 배우면서 요리의 즐거움도 알아가고, 자신의 건강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는 계기 마련도 되었다. 더불어 요리만 배웠던 것이 아니라, 요리를 마치고 모바일 속에 자신의 요리를 올리는 쇼설도 같이 배우면서 즐거움이 두 배가 된 것이다.
4) 평가와 나의 생각
지역 프로그램으로 독거노인을 위한 것은 지역발전에 유용한 것이다. 셀프 요리라는 간단한 것을 배우면서 자존감을 높이며, 노인들의 고독사와 자살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올 수 있다. 그리고 또래의 친구 분들과 모여 담소를 나누고 요리를 알지 못하던 남성분들에게도 새로운 세계를 알게 되는 시간이었을 것이다. 현재 남성 노인들 경우 퇴직 후 기계사용이 힘들어서 밥을 해먹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우리는 티브이를 통해서 남성들이 전기밥솥의 사용법을 몰라 사먹는 사례들도 보았다. 기계의 사용은 알면 쉽지만, 모르면 힘든 기계의 세계이다. 그리고 간단한 밥부터 시작하여 혼자서 할 수 있는 요리는 노인들에게 금상첨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였다. 가족들과 혼자 떨어져 사는 노인들이 가족들의 방문에 자신이 직접 요리를 해서 선보일 경우 뿌듯함도 느끼면서 자존감도 올라갈 수 있는 시간도 마련되어진다. 또 혼자 사시는 부모님이 걱정되는 자녀들도 새로운 느낌과 만족감도 생길 수 있다.
3. 결론
지역프로그램을 통하여 다양한 연령층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의 지역민들이 참여로 지자체와 협업할 수 있는 기관들의 지원으로 더 다양한 프로그램의 마련이 시급한 문제이다. 각 지자체는 주민 센터, 복지관, 지역 센터에서 참여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만들어지는 프로그램들도 프로그램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앞에 요리프로그램 경우 식자제를 지원할 수 있는 협업도 이뤄 혼자서 음식을 할 수 있는 여건마련도 중요하다. 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참여하는 것은 단순한 시스템이 아니라, 모두가 적극적인 참여로 이뤄지고 지속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발전은 국가의 발전에도 도움이 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1. 노인교육과 노인복지 간의 연계 및 역할분담에 대한 고찰 이병준 부산대학교
2020.12
2. 노인여가복지시설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용범 중앙대학교 2010.11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3.05.12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64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